• 제목/요약/키워드: 3T3-L1 adipocyte cell

검색결과 175건 처리시간 0.021초

상심자와 건조상심자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및 전지방세포 분화억제 효과에 관한 연구 (Study of Mori Fructus and Dried Mori Fructus Extracts on the Antioxidant Effect and the Inhibitory Effect on Adipocyte Differentiation)

  • 김형구;왕경화;임동우;채희성;진영원;최한석;김호준
    •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1-13
    • /
    • 2014
  • Objectives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ntioxidative capacity, antiobesity effect and anti-diabetes effects of Mori Fructus and dried Mori Fructus in Raw 264.7 cells and 3T3-L1 cells. Methods 3 different types of Mori Fructus extracts (water 100%, ethanol 30%, ethanol 100%) were used in this study. And 3 different types of dried Mori Fructus extracts (water 100%, ethanol 30%, ethanol 100%) were used in this study. Total polyphenol compund, total favonoid compound, DPPH radical scavenging, ROS activity, NO, cell proliferation were measured in the experiment. Expressions of adipogenic transcription factors including $C/EBP-{\alpha}$, $C/EBP-{\beta}$, $PPAR-{\alpha}$, $PPAR-{\gamma}$, $AMPK-{\alpha}$ were analyzed by Real time PCR. Results Mori Fructus extracts measurements are higher than dried Mori Fructus extracts measurements at Total flavonoid compound and total flavonoid compound. Mori Fructus extracts measurements are lower than dried Mori Fructus extracts measurements at DPPH radical scavenging, ROS activity, NO. In RT-PCR analysis, there is a tendency that dried Mori Fructus extracts inhibit the expression of $C/EBP-{\alpha}$, $C/EBP-{\beta}$ genes. In RT-PCR analysis, there is a tendency that dried Mori Fructus extracts promote the expression of $PPAR-{\alpha}$, $PPAR-{\gamma}$, $AMPK-{\alpha}$ genes. Conclusions Mori Fructus is effective on inhibiting the oxidation and dried Mori Fructus is effective on inhibiting the obesity and diabetes.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추출물의 지방세포 분화 및 지방 독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Garcinia cambogia Extract on the Adipogenic Differentiation and Lipotoxicity)

  • 강은실;함선아;황정석;이창권;서한극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411-416
    • /
    • 2013
  • 본 연구는 가르시니아 캄보지아의 항비만 효과의 분자기전을 알아보기 위하여 지방전구세포인 3T3-L1세포의 지방세포로의 분화 시,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추출물을 처리하여 세포 내 지질 적의 형성 및 중성지방의 축적, 지방 분화 특이 지표 단백질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3T3-L1세포의 지방 세포로의 분화는 MDI로 유도 후, 2일째부터 지방 적 및 중성 지방이 유의하게 축적되기 시작하였는데, 1%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추출물을 동시에 처리한 세포에서 이러한 지방 적 및 중성 지방의 축적이 유의하게 억제되는 것을 실험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지방세포 분화 특이 지표 단백질로 알려진 $PPAR{\gamma}2$, $C/EBP{\alpha}$, aP2와 같은 단백질의 발현 또한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추출물이 효과적으로 억제하고 있음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추출물은 palmitate를 처리한 HepG2 세포에서 중성지방의 축적 및 세포사멸을 유의하게 억제함으로써 유리 지방산의 축적에 의한 지속적인 염증 반응으로 유발되는 지방독성(lipotoxicity)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추출물이 세포 수준에서 비교적 낮은 농도로도 효과적으로 비만을 억제할 수 있으며, 기존에 알려지지 않았던 유리지방산에 의한 지방독성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음을 본 연구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발아와 고압처리가 검정콩 사포닌 추출물의 암세포주 증식억제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High Hydrostatic Pressure Treatment after Germination on Anti-proliferation Effects of Soyasaponin-rich Fraction in Black Soybean (Glycine max L.))

  • 김민영;이윤정;송명섭;오현아;김경미;강태수;이연리;이준수;정헌상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836-843
    • /
    • 2018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high hydrostatic pressure (HHP) treatment on proliferation of human cancer cell lines (MCF-7, HCT-116, PC-3 and AGS) of crude soyasaponin extracts in germinated black soybean. Black soybean was germinated and subjected to HHP, followed by preparation of crude soyasaponin extracts. Cell treatments done with extracts less than $400{\mu}g/mL$ concentrations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3T3-L1 adipocyte cell viability. The inhibitory effect of crude soyasaponin extracts with germination periods and applied pressure on breast cancer cell (MCF-7), human colon cancer cell (HCT-116), human gastriccancer cell (AGS) and prostate cancer cell (PC-3) growth were investigated using MTT assay. The highest anti-proliferation of human cancer cell line of crude soyasaponin extracts was observed at 150 MPa treatment after germination for 4 days (150 MPa-Day 4). The cell viability on MCF-7, HCT-116, PC-3 and AGS cell lines of crude soyasaponin extract in 150 MPa-Day4 was 48.82%, 57.37%, 39.89% and 23.94% at $400{\mu}g/mL$, respective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soyasaponin extracts from black soybean subjected to HHP after germination may mediate physiological activity.

Silibnin의 지방세포분화 억제 및 세포사멸 유도 효과 (Silibinin Inhibits Adipogenesis and Induces Apoptosis in 3T3-L1 Adipocytes)

  • 이슬기;권택규;남주옥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27-34
    • /
    • 2017
  • CCAAT/enhancer-binding protein beta, delta ($C/EBP{\beta}$, ${\delta}$)는 지방세포분화 과정의 초기에 필수적으로 요구되며 지방생성 주요 조절인자인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gamma ($PPAR{\gamma}$) and CCAAT/enhancer-binding protein-alpha ($C/EBP{\alpha}$)의 발현을 유도한다. 본 연구에서는 silibinin의 지방세포 분화 억제 효과 및 이러한 효과가 지방세포 분화초기에 $C/EBP{\beta}$$C/EBP{\delta}$의 발현 조절을 통해 일어난 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Silibinin은 지방세포 내 지질축적을 억제하고 세포분화 과정 동안 관여하는 다양한 유전자의 mRNA 발현을 억제하였다. 또한 lipoprotein lipase (LPL), fatty acid binding protein 4 (AP2) 및 adiponectin과 같은 지방세포 분화 관련 유전자의 발현을 억제시켰다. 따라서, Silibinin의 지방세포 분화 억제효과는 $C/EBP{\beta}$$C/EBP{\delta}$의 발현억제에 의한 것으로 보인다. 더불어, Silibinin은 capspase-3 활성을 통해 분화하는 세포에 특이적으로 세포사멸을 유도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지방세포 3T3-L1에 인삼 사포닌 Re와 의이인 추출액 처리시 비만관련 유전자인 TNF-α, lipoprotein lipase, leptin 및 resistin 발현 조절에 미치는 영향 (Ginseng Saponin-Re and Coix lachrymajobi var. mayuen Regulate Obesity Related Genes Expressions, TNF-alpha, Leptin, Lipoprotein Lipase and Resistin in 3T3-L1 Adipocytes)

  • 김성옥
    • 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11호
    • /
    • pp.1523-1532
    • /
    • 2007
  • 전통적인 한방약물로 이용되는 인삼(사포닌 Re)과 의이인 추출물을 분화단계별 지방세포에 $100\;{\mu}g/ml$ 씩 12일간 이틀에 한번씩 각각의 물질을 처리하였다. 비만지표 유전자로 알려져 있는 여러 유전자의 발현양을 mRNA와 단백질 수준에서 조사하였다. 완전성숙 지방세포에서 약물의 처리에 따라 $TNF-{\alpha}$ 발현이 비처리 세포에 비해 현저히 억제되었고, lipoprotein lipase는 mRNA와 단백질수준에서 그 발현 양이 증가하였다. 약물처리 세포에서 leptin과 resistin의 유전자 발현은 비처리세포에 비해 유의적인 감소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인삼 사포닌 뿐 아니라 의이인 추출액에서도 유사한 영향이 관찰되어 특히, 곡물인 의이인 추출액이 인삼 사포닌과 거의 비슷한 항비만 활성을 나타내어 장복으로 인한 세포독성을 최소화하면서 지방세포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인슐린 저항성 개선 효과도 기대되어진다. 향후 대사성 질환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비만 관리 향상에 이용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어진다. 따라서 이 결과들을 바탕으로 동물실험을 통한 더 자세한 조절기능의 확인과 특히, 의이인 추출액에서의 생리활성물질에 대해서도 많은 체계적인 분석과 관련연구가 필요 할 것으로 사료된다.

토복령 추출물의 항비만 활성 (The Anti-Obesity Effect of Smilax china Extract)

  • 박정애;진경숙;권현주;김병우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354-360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토복령(S. china) 메탄올 추출물(SCME)의 항비만 활성을 pancreatic lipase 효소 활성 억제능과 세포 실험계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SCME는 농도 의존적으로 lipase 효소 활성을 유의적으로 억제시켰으며, 3T3-L1 preadipocyte에서 MDI로 유도한 지방세포 분화, 세포 내 지방 축적, TG 함량 등을 농도의존적으로 억제하였다. 이러한 토복령의 지방세포 분화 억제능은 핵심 작용 인자인 $C/EBP{\alpha}$, $C/EBP{\beta}$, 그리고 $PPAR{\gamma}$의 유전자 및 단백질 발현조절에서 기인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지방세포 내 중성지방 또한 토복령 추출물의 처리에 의해 유의적으로 분해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토복령이 보유한 pancreatic lipase 활성 저해능, 지방세포 분화 억제능, 지방세포 내 지방 분해능을 통한 항비만 활성을 처음으로 밝혀낸 것이며 추후 계속적인 연구를 통해 활성 물질의 규명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뽕잎 추출물 기원 Flavonoid Rich Fraction의 항비만효과 (Anti-obesity Effect of the Flavonoid Rich Fraction from Mulberry Leaf Extract)

  • 고은지;류병렬;양수진;백종섭;유수지;김현복;임정대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395-411
    • /
    • 2020
  • Background: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nti-obesity effect of the flavonoid rich fraction (FRF) and its constituent, rutin obtained from the leaf of Morus alba L., on the lipid accumulation mechanism in 3T3-L1 adipocyte and C57BL/6 mouse models. Methods and Results: In Oil Red O staining, FRF (1,000 ㎍/㎖) treatments showed inhibition rate of 35.39% in lipid accumulation compared to that in the control. AdipoRedTM assay indicated that the triglyceride content in 3T3-L1 adipocytes treated with FRF (1,000 ㎍/㎖) was reduced to 23.22%, and free glycerol content was increased to 106.04% that of the control. FRF and its major constituent, rutin affected mRNA gene expression. Rutin contributed to the inhibition of Sterol regulatory element binding protein-1c (SREBP-1c) gene expression, and inhibited the transcription factors SREBP-1c,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gamma (PPAR-γ), CCAAT/enhancer binding protein α (C/EBPα), fatty acid synthase (FAS) and acetyl-CoA carboxylase (ACC). In addition, the effect of FRF administration on obesity development in C57BL/6 mice fed high-fat diet (HFD) was investigated. FRF suppressed weight gain, and reduced liver triglyceride and leptin secretion. FRF exerted potential anti-inflammatory effects by improving insulin resistance and adiponectin levels, and could thus be used to help counteract obesity. The mRNA expressions of PPAR-γ, FAS, ACC, and CPT-1 were determined in liver tissue. Quantitative real-time PCR analysis was also performed to evaluate the expression of IL-1β, IL-6, and TNF-α in epididymal adipose tissue.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mice fed the HFD showed the up-regulation in PPAR-γ, FAS, IL-6, and TNF-α genes, and down-regulation in CPT1 gene expression. FRF treatement markedly reduced the expression of PPAR-γ, FAS, IL-6, and TNF-α compared to those in HFD control, whereas increased the expression level of CPT1.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FRF and its major active constituent, rutin, can be used as effective anti-obesity agents.

In vitro 및 In vivo에서 펙틴의 비만 억제 효과 (The Beneficial Effects of Pectin on Obesity In vitro and In vivo)

  • 권진영;안인숙;박건영;최홍식;송영옥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13-20
    • /
    • 2005
  • 펙틴의 비만억제 효과 및 지질저하 효과를 3T3-Ll adipocyte cell culture system과 20% 고지방식이를 섭취시킨 흰쥐에서 살펴보았다 펙틴을 첨가한 3T3-Ll adipocyte cell의 글리세롤 농도는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leptin의 농도는 83% 유의 적으로 감소하여 (p<0.01) adipose 세포에 지방 축적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흰쥐를 이용한 동물실험에서 실험군간의 식이섭취량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20% 지방을 섭취시킨 쥐는 정상식이군에 비해 체중이 50% 증가하였고, 고지방식이에 펙틴을 10%와 20% 첨가시킨 군에서 는 체중이 각각 12% 및 16% 감소하였다. 상대적인 내장지방의 함량(g/100 g body weight)은 ND 4.3 g, ITFD 5.6 g, HFP10은 3.1 g, HFP20은 2.3 g로 펙틴 첨가군의 상대적인 내장 지방 함량이 정상대조군보다 낮아 펙틴의 비만억제 효과가 현저하였다 고지방식이에 의해 상승된 혈장 중성 지질, 총 콜레스테롤 및 LDL-콜레스테롤 농도는 펙틴 첨가에 의해 감소되었고, HDL-콜레스테롤은 증가하여 펙틴의 첨가에 의한 지질 개선 효과가 관찰되었다. 간 및 심장의 지질 농도 역시 고지방식이에 의해 증가하였으나 펙틴의 첨가에 의해 감소되었다. 특히 분변으로의 지질 배설 현상은 펙틴 첨가군에서 현저하게 나타났는데 이러한 펙틴의 효과는 첨가 농도 의존적으로 관찰되었다. 펙틴의 비만 억제 효과내장지방의 축적을 억제하고, 소장에서 지질의 흡수를 방해하여 분변으로의 지질 배설을 촉진시키는 이외에도 다른 생리 활성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상의 결과를 살펴보면 펙틴은 고지방식이를 섭취 하는 경우 복부지방 축적을 억제하는 효과가 체중감소 효과보다 크며 혈장 중성지질, 콜레스테롤 LDL 콜레스테롤을 떨어뜨리고 HDL 콜레스테롤은 상승시키는 효과가 현저한 것으로 나타났다.구 결과, cook-chill생산 시 녹차 추출물의 첨가가 미생물적 품질유지에 효과가 있다고 사료되는 바 본 연구결과를 기초로 급식소에서 음식 생산 시 녹차 추출물 및 천연 항균성 물질 첨가에 따른 미생물적 품질 및 관능적 품질검사를 통한 레시피 개발에 관한 지속적인 연구가 수행되어야 하겠다.다.다리다보니 점심시간을 활용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에 대한 재검토가 필요하다. 따라서 차후 학교급식의 안전성 확보를 위한 급식환경 개선의 일환으로 식당공간 확보 시 신속한 시간 내에 급식이 가능하도록 넓은 공간과 쾌적한 환경의 식당 조성에 대해 관심을 기울여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이상 여부를 반영하는 임상증상의 빈도가 높은 청소년기 남녀 중학생의 경우 아침과 저녁의 결식빈도 및 외식과 간식의 빈도가 높았고, 아침식사의 질과 체형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나 청소년의 건강과 식습관 및 체형만족도가 상호 관련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는 성장기 청소년의 건강 유지를 위하여 바람직한 식습관의 중요성을 재인식할 수 있었으며, 올바른 식습관 확립을 위한 영양교육의 중요성이 재확인되었다.경제적일 것으로 판단된다.er 90 % of good relative dynamic modulus of elasticity due to fineness of formation caused by the increase of the unit powder content and the improvement of flowability, without regard to the replacement of crushed stone fines.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 usage of crushed stone fines can control the strength of super flowing concrete by replacement and reduce heat of hydration.

3T3-L1 Adipocyte와 C57BL/KsJ-db/db Mice에서 KOCAT-D1의 항당뇨 활성 (Anti-diabetic Activities of Kocat-D1 in 3T3-L1 Adipocytes and C57BL/KsJ-db/db Mice)

  • 양지희;원혜진;박호영;남미현;이현순;이중구;김종탁;이광원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5호
    • /
    • pp.692-698
    • /
    • 2010
  • 본 연구는 중국 광동지방에서 민간에서 널리 사용되는 Kocat-D1의 항당뇨 효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진행하였다. Kocat-D1의 포도당 흡수능 증가 활성을 지방구세포인 3T3-L1을 이용하여 측정해본 결과, 0.2 nM 인슐린(낮은 인슐린농도)만 투여한 대조군보다 0.2 nM 인슐린과 $100^{\circ}C$ 열수 추출물을 0.2 mg/mL의 농도로 같이 처리하였을 때 대조군보다 포도당 흡수능이 $165.0{\pm}0.7%$로 증가하였다. 8주령의 C57BL/KsJ-db/db mice를 정상대조군(normal control, db/+ mice 비처리군), 당뇨대조군(DM control, db/db mice 비처리군) 및 Kocat-D1군(db/db mice에 Kocat-D1 $100^{\circ}C$ 열수 추출물을 350 mg/kg/day로 투여한 군)으로 나누었다. 16주간의 처리 후 체중과 식이 섭취량은 Kocat-D1군이 당뇨대조군보다 감소하였다. Kocat-D1군의 혈당은 $14.7{\pm}1.4\;mmol/L$였으며 당뇨대조군($27.1{\pm}0.2\;mmol/L$)보다 유의적 수준으로 감소하였다. 인슐린 농도는 Kocat-D1 투여군이 $0.17{\pm}0.02\;ng/mL$로 당뇨대조군의 $0.05{\pm}0.02\;ng/mL$보다 증가하였다. 신장의 glomeruli 부분의 collagen 축적을 확인하기 위하여 periodic acid-shiff base(PAS)로 염색한 결과 Kocat-D1에서 PAS로 염색된 collagen 부분이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다.

Modulation of Inflammatory Pathways and Adipogenesis by the Action of Gentisic Acid in RAW 264.7 and 3T3-L1 Cell Lines

  • Kang, Min-jae;Choi, Woosuk;Yoo, Seung Hyun;Nam, Soo-Wan;Shin, Pyung-Gyun;Kim, Keun Ki;Kim, Gun-Do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31권8호
    • /
    • pp.1079-1087
    • /
    • 2021
  • Gentisic acid (GA), a benzoic acid derivative present in various food ingredients, has been shown to have diverse pharmaceutical activities such as anti-carcinogenic, antioxidant, and hepatoprotective effects. In this study, we used a co-culture system to investigate the mechanisms of the anti-inflammatory and anti-adipogenic effects of GA on macrophages and adipocytes, respectively, as well as its effect on obesity-related chronic inflammation. We found that GA effectively suppressed lipopolysaccharide-stimulated inflammatory responses by controlling the production of nitric oxide and pro-inflammatory cytokines and modulating inflammation-related protein pathways. GA treatment also inhibited lipid accumulation in adipocytes by modulating the expression of major adipogenic transcription factors and their upstream protein pathways. Furthermore, in the macrophage-adipocyte co-culture system, GA decreased the production of obesity-related cytokine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GA possesses effective anti-inflammatory and anti-adipogenic activities and may be used in developing treatments for the management of obesity-related chronic inflammatory diseas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