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3P

검색결과 87,584건 처리시간 0.119초

부추 김치 우세 유산균의 항유전독성 효과와 항암 효과

  • 육진영;권은혜;조규성;신현길;정구용
    • 한국축산식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축산식품학회 2004년도 정기총회 및 제33차 춘계 학술대회
    • /
    • pp.357-361
    • /
    • 2004
  • 반복적인 실험을 통해 부추 김치에서 분리된 대부분의 유산균은 항유전독성 효과를 갖는 것으로 보인다. 이는 전에 시행되었던 각종 김치의 유산균을 이용한 항유전독성 효과 조사에서도 다른 김치유산균에 비해서 부추김치의 유산균이 항유전독성효과가 높다는 것을 통해서도 증명되었다. 유산균 섭취시에 균주가 장내의 혐기성 상태에서 존재하게 되는데 아직까지는 혐기성 상태에서 배양된 균주의 항유전독성효과가 그다지 높지 않은 것으로 보여진다. 따라서 혐기성 상태에서 배양된 항유전독성효과가 높은 균주를 찾는 것이 시급하다고 본다. 그러나 호기성 상태에서 배양된 항유전독성이 높은 균주들이 혐기성 상태에서도 배양되는 것을 확인하였고 이 균주들의 장내 생존 가능성을 예측할 수 있다. 물론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서 이 유산균들이 위와 장내의 조건에서 생존가능하는지에 대해 pH 생존 조사를 해야 할 것이다. 또한 혐기성 상태에서 배양되었을 때에도 이 균주들이 항유전독성 효과가 있는지도 앞으로 실시되어야 할 과제일 것이다. 항유전독성 효과와 달리 항암효과에 대해서는 높은 효과를 보이지 않았지만 본래 CT-26 세포가 대장암 세포이기에 이 세포 자체의 DNA에 손상 복구율을 부여했다는 것에 의미를 둘 수 있겠다. 항유전독성효과와 항암효과가 있는 유산균의 분리를 통해 우리가 다음으로 해야 될 일은 첫째로 이 균주들에 대해 여러 가지 특성을 찾아 동정하고 둘째로 지금까지 밝혀진 결과를 in vivo상에서 검증하는 것이다. 지금까지 밝혀진 유산균은 대부분 발효 유제품에서 자라는 유산균인데 한국인이 주로 섭취하는 각종 김치나 부추김치 등에서 분리한 균주에서도 이 기능이 있음을 밝힌다면 이들의 소비에 도움이 될 것이고 또한 이 균주들을 이용해 향유전독성, 항암성 등이 있는 기능성 제품을 만들어 낼 수 있을 것이다.첨가한 햄보다 적었다.분산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고기를 단계별 복합처리로 저 allergy 처리는 단계별로 점차적으로 allergy가 감소되었다. 즉 단계별로 억제가 안되는 것부터 억제되는 처리를 복합적으로 처리한 것으로 그 단계는 천연효소처리에 인산염 처리, 여기에 초음파 처리, 마지막 단계로 3분 끓이면 억제율이 68%까지 억제되었다. 이는 단일처리시 전혀 억제를 못하는 처리를 단계별로 한 단계씩 더해가면 allergy 억제효과가 나타난다고 할 수 있겠다. 초음파 처리도 역시 저 allergy 처리 공정에 이용될 수 있는데 이것은 그 처리로 인해 새로운 알러젠이 생성될 수도 있다. 또한 복합처리로 allergy를 감소시키면 연속적이고 동시적으로 하기 때문에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환경현안에 대한 정치경제적 접근을 외면하지 말고 교과서 저작의 소재로 삼을 수 있어야 하며, 이는 '환경관리주의'와 '녹색소비'에 머물러 있는 '환경 지식교육'과 실천을 한단계 진전시키는 작업으로 이어질 것이다. 이후 10년의 환경교육은 바로 '생태적 합리성'과 '환경정의'라는 두 '화두'에 터하여 세워져야 한다.배액에서 약해를 보였으나, 25% 야자지방산의 경우 50 ${\sim}$ 100배액 어디에서도 액해를 보이지 않았다. 별도로 적용한 시험에서, 토마토의 경우에도 25% 야자지방산 비누 50 ${\sim}$ 100배액 모두 약해를 발생하지 않았으나, 오이에서는 25% 야자지방산 비누 100배액에도 약해를 나타내었다. 12. 이상의 결과, 천연지방산을 이용하여 유기농업에 허용되는 각종의 살충비누를 제조할 수 있었으며, 방제가 조사결과 진딧물, 응애 등 껍질이 연약한 곤충의 방제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제조된 살충비누를 활용하면 환경친화적인 해

  • PDF

전해 산화수의 채소류 표면 살균 효과 (Surface Sterilization Effect of Electrolyzed Acid-water on Vegetable)

  • 정승원;박기재;박경조;박병인;김영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1045-1051
    • /
    • 1996
  • 전해 산화수의 식품가공 분야에의 이용가능성을 확인하고자 미생물에 대한 실험적 살균 효과와 배추, 양배추, 케일 및 상치를 대상으로 표면살균 효과를 검토하였다. 전해 산화수는 제조 초기에 산화환원전위 1,100mV-1,200mv를 나타냈으며, 실온에 16일 방치할 경우 1,000 mV, 30일 방치할 경우 600 mV 수준으로 감소되었다. 시험관 내에서 전해 산화수 처리 시간에 따른 미생물 살균 효과는, E. coli는 20분, S. aureus와 S. cerevisiae는 10분, 그리고 S. typhi는 40분 처리하면 완전히 사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B. cereus는 전해 산화수 처리 60분 후에도 일부 생존하고 있어 미생물 종류에 따라 살균 효과가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배추, 양배추, 케일 및 상치와 같은 채소의 종류에 따른 전해 산화수의 표면살균 효과를 검토하고자 이들 채소류를 수도수 및 전해 산화수에 각각 60분까지 침지하여 침지시간에 따른 잔존 미생물수를 측정하였다. 수도수를 대조구로하여 60분까지 침지하였을 경우 배추, 양배추, 케일 및 상치는 모두 초기의 총균수와 대장균군수를 유지하고 있었으나 전해 산화수를 처리하면 채소의 종류에 따라 약간 다르지만 전반적으로 살균 효과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즉 전해 산화수를 처리하였을 경우, 배추는 침지 60분 후 초기 총균수의 96% 이상이 감소되었으며 대장균군수는 침지 50분 후부터는 검출되지 않았다. 양배추는 침지 60분 후 초기 총균수의 99% 이상이 감소되었고, 대장균군은 검출되지 않았다. 케일은 침지 60분 후 초기 총균수의 97% 이상이 감소되었고, 대장균군수는 침지 30분 후에는 검출되지 않았다. 한편 상치는 침지 60분 후 초기 총균수의 90%이상이 감소되었고, 대장균군수는 98% 수준이 감소되었지만 배추, 양배추, 케일의 경우와는 달리 완전 사멸하지 않는 것으로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는 식품의 종류 및 미생물 종류에 따라 전해 산화수의 살균 효과에 약간의 차이가 있음을 보임과 동시에 식품가공에서의 제균 매체로 그 이용 가능성이 높음을 시사하고 있다.

  • PDF

현대적 응용을 위한 한국 전통무적의 선호도 및 이미지 평가 (Preference and Evaluation of Image for Modern Application of Korean Traditional Patterns)

  • 조지현;김영은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399-409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preference of image for modern application of Korean traditional patterns. A survey was conducted using the random selection among female undergraduate students in Daegu city. The degree of interest and preference in Korean traditional style or something like that measured by 5 scale method. And then they were classified into two groups which were interest/non-interest group, and preference/non-preference group. The image of Korean traditional patterns consisted of semantic differential scales. Frequency, percentage and mean were analyzed, for difference of groups t-test was analyzed. The results were as fellows; 1. For the degree of interest for Korean traditional patterns, it was showed that 53.8% of total respondents took interest and about 40.4% of them had preference for traditional patterns. the correlation coefficient of the degree of interest and preference was 0.782(p<0.01) and showed that the positive correlation was high. 2. Among 20 kinds of Korean traditional patterns, the degree of preference for the patterns of plants and nature was quite high whereas that for the patterns of geometrical things was low relatively. 3. It was evaluated that pattern of nature was fresh, refined and womanly image generally. It was evaluated that pattern of plants was womanly, fresh, weak, light and soft image and that of animals was heavy, splendid, high-class, manly, strong and positive image. It was evaluated that pattern of geometrical things was the most refined image and high-class, rigid and strong. 4.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mean between interest/non-interest group was showed statistically in the patterns of clouds, mountains, lotus, apricot, orchid, dragon, phoenix and bogey. In case of pattern of orchids, the degree of preference was most different between interest/non-interest group. 5. The pattern of plants showed the most different evaluation for images between interest/non-interest group. For refined/old-fashioned polar adjective images, the interest group evaluated the pattern of plants more refined. 6. For pattern of orchids, the difference of degree of preference between preference/non-preference group was most remarkable in Korean traditional patterns. 7. The pattern of geometrical things showed the most different evaluation for images between preference/non-preference group. For warm/cool polar adjective images, the preference group evaluated the pattern of geometrical things cooler.

  • PDF

주의 단서 수준에 따른 자폐 범주성 장애 아동의 공동주의집중 반응 연구 (Differential Response to Joint Attention in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Depending on the Level of Attentional Cues)

  • 유가을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11권1호
    • /
    • pp.21-37
    • /
    • 2014
  • 자폐 범주성 장애 아동은 초기 사회-의사소통 기술 중 하나인 공동주의집중에 있어 심각한 장애를 보인다. 이로 인해 언어 및 인지, 사회성 발달에도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어, 공동주의집중을 평가하거나 향상시키고자 하는 다양한 연구들이 진행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음악적 단서를 포함해 주의를 유도하는 단서 수준에 따라 자폐 범주성 장애 아동의 공동주의집중에 반응하기(Responding to joint attention: RJA) 행동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보고자 하였다. 평균 연령이 65.3개월인 총 9명의 아동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1회로 진행된 평가 세션 동안에는 주의를 유도하는 총 8개의 단서가 사용되었다. 전달하고자 하는 정보량에 따라 네 가지 수준의 단서가 구성되었고, 각각의 단서는 언어적 및 음악적으로 제시되었다. 자폐 아동들은 음악적 단서가 제시되었을 때, 언어적 단서가 제시된 시도에 비해 이전 표적 자극에서 주의를 철회해 새로운 자극으로 전환시키는 시도가 증가하고, 공동주의집중에 반응하기 행동의 정확도 또한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서 유형에 따른 비교에 있어서는, 아동의 이름을 부른 후 주의를 유도하는 단서가 손가락으로 가리키기와 함께 음악적으로 제시되었을 때 주의 전환 시도 및 공동주의집중 행동의 정확도가 가장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음악적 요소가 포함된 주의 단서가 주의 전환을 효과적으로 유도하고, 전달되는 정보의 정확한 처리를 촉진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이는 자폐 범주성 장애 아동의 공동주의집중을 목표로 하는 조기 중재 시 음악의 효과적인 사용에 대한 근거를 제시할 것으로 사료된다.

맥문동탕과 정천화담항기탕이 알레르기 천식 모델 흰쥐의 BALF내 면역세포 및 혈청 IgE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Maekmoondong-tang and Jeongcheonhwadamgangki-tang on Immune Cell and Serum OA-specific IgE in BALF in Rat Asthma Model)

  • 김진주;정희재;정승기;이형구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37-49
    • /
    • 2002
  • Objectives: Maekmoondong-tang and Jeongcheonhwadamgangki-tang are herbal decoctions which have been used as traditional therapeutic agents for asthma.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aekmoondong-tang and Jeongcheonhwadamgangki-tang on immune Cell & serum OA-specific 19B in broncho-alveolar lavage fluid (BALF) in rat asthma model. Methods: Rats were sensitized with ovalbumin (OA); at day I the sensitized group and Maekmoondong-tang and Jeongcheonhwadamgangki-tang groups were systemically immunized by subcutaneous injection of 1mg OA and 300mg of $Al(OH)_3$ in a total volume of 2ml. At the same time, 1ml of 0.9% saline containing $6{\times}10^9$ B. pertussis bacilli was injected by i.p. for 14 days. After systemic immunization, the rats received local immunization by inhaling 0.9% saline aerosol containing 2% (wt/vol) OA. A day after local immunization, BAL fluid was collected from the rats. A day after local immunization, rats were orally administered with each of Maekmoondong-tang and Jeongcheonhwadamgangki-tang extract for 14 days. Lymphocyte, CD4+T-cell CD8+ T-cell counts, CD4+/CD8+ ratio in BALF, change of serum OA-specific IgE level, and CD4+T-cell CD8+T-cell percentage in the peripheral blood were measured and evaluated. Results: Maekmoondong-tang and Jeongcheonhwadamgangki-tang showed a suppressive effect on the rat asthma model. Maekmoondong-tang decreased total cell, lymphocyte, CD4+T-cell, CD8+T-cell in BALF, and serum OA specific 19B level as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whereas Maekmoondong-tang decreased CD4+/CD8+ ratio in BALF with statistical nonsignificance as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1 decreased total cell, CD4+T-cell, CD4+/CD8+ ratio in BALF, and serum OA specific IgE level, whereas Jeongcheonhwadamgangki-tang decreased ymphocyte, and CD8+T-cell in BALF with statistical nonsignificance as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CD4+T-cell and CD8+ T-cell percentage in peripheral blood were not changed significantly in all the experimental groups. Conclusions: This study shows that Maekmoondong-tang and Jeongcheonhwadamgangki-tang have a suppressive effect on asthma. Maekmooruiong-tang and Jeongcheonhwadamgangki-tang would be useful asthma treatment agents.

  • PDF

복강경 담낭절제술에서 경피적펜타닐첩포의 투여방법에 따른 진통효과 (The Analgesic Effect of Different Dosing Methods When Using Transdermal Fentanyl Patches after Laparoscopic Cholecystectomy)

  • 이재인;김영재;조광래;이상은;김영환;임세훈;이정한;이근무;정순호;최영균;신치만
    • The Korean Journal of Pain
    • /
    • 제22권2호
    • /
    • pp.130-134
    • /
    • 2009
  • Background: The advances in surgical technology, anesthesia and perioperative care have made it possible to perform laparoscopic cholecystectomy on an outpatient basi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ssess the analgesic effect and the adverse events of different dosing methods when using transdermal fentanyl patches (TDFPs) after laparoscopic cholecystectomy. Methods: Sixty patients who were to undergo laparoscopic cholecystectomy under general anesthesia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Group 1: 2 TDFPs that released $12{\mu}g/h$ were applied after the induction of anesthesia and these 2 patches were removed after 24 hours. Group 2: 2 TDFPs that released $12{\mu}g/h$ were applied after the induction of anesthesia and one patch was removed after 7 hours and the other patch was removed after 24 hours. The intensity of the postoperative pain was assessed by using a visual analogue scale (VAS) and assessing the adverse events, including dizziness, pruritus and nausea/vomiting, were recorded for 48 hours postoperatively. Results: The VAS score of postoperative pain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at all times. The incidence of dizziness in groups I and II was 10 and 3, respectively, and the incidence of nausea/vomiting in group I and II was 4 and 0, respectively. The incidences of dizziness and nausea/vomiting in group II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group I (P<0.05). Conclusions: A dosing method that removes half of the TDFPs ($24{\mu}g/h$) after 7 hours of application caused a lower incidence of dizziness and nausea/vomiting without any significant difference of postoperative analgesic efficacy, as compared to leaving on both the TDFPs (24$\mu$g/h) for 24 hours after laparoscopic cholecystectomy.

Validated HPLC Method for the Pharmacokinetic Study of Atenolol and Chlorthalidone Combination Therapy in Korean Subjects

  • Kang, Hyun-Ah;Kim, Hwan-Ho;Kim, Se-Mi;Yoon, Hwa;Cho, Hea-Young;Oh, Seaung-Youl;Choi, Hoo-Kyun;Lee, Yong-Bok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제36권5호
    • /
    • pp.331-338
    • /
    • 2006
  • A rapid, selective and sensitive reverse-phase HPLC methods for the determination of atenolol and chlorthalidone in human serum and whole blood were validated, and applied to the pharmacokinetic study of atenolol and chlorthalidone combination therapy. Atenolol and an internal standard, pindolol, were extracted from human serum by liquid-liquid extraction, and analyzed on a $\mu$-Bondapak C18 $10-{\mu}$ column in a mobile phase of methanol-0.01 M potassium dihydrogenphosphate(30:70, v/v, adjusted to pH 3.5) and fluorescence detection(emission: 300 nm, excitation: 224 nm). Chlorthalidone and an internal standard, probenecid, were extracted form human whole blood by liquid-liquid extraction, and analyzed on a Luna C18 $5-{\mu}$ column in a mobile phase of acetonitrile containing 77% 0.01 M sodium acetate and UV detection at 214 nm. These analysis were performed at three different laboratories using the same quality control(QC) samples. The chromatograms showed good resolution, sensitivity, and no interference by human serum and whole blood, respectively. The methods showed linear responses over a concentration range of 10-1,000 ng/mL for atenolol and 0.05-20 ${\mu}g/mL$ for chlorthalidone, with correlation coefficients of greater than 0.999 at all the three laboratories. Intra- and inter-day assay precision and accuracy fulfilled international requirements. Stability studies(freeze-thaw, short-, long-term, extracted sample and stock solution) showed that atenolol and chlorthalidone were stable. The lower limit of quantitation of atenolol and chlorthalidone were 10 ng/mL and 0.05 ${\mu}g/mL$, respectively, which was sensitive enough for pharmacokinetic studies. These methods were applied to the pharmacokinetic study of atenolol and chlorthalidone in human volunteers following a single oral administration of Hyundai $Tenoretic^{\circledR}$ tablet(atenolol 50 mg and chlorthalidone 12.5 mg) at three different laboratories.

딜라트렌 정 12.5밀리그람(카르베딜롤 12.5밀리그람)에 대한 카딜란 정 12.5밀리그람의 생물학적동등성 (Bioequivalence of Cadilan Tablet 12.5 mg to Dilatrend® Tablet 12.5 mg (Carvedilol 12.5 mg))

  • 김세미;신새벽;김주환;권인호;김용희;이상노;조혜영;이용복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제38권6호
    • /
    • pp.413-419
    • /
    • 2008
  • Carvedilol, is a nonselective $\beta$-blocking agent and it also has vasodilating properties that are attributed mainly to its blocking activity at ${\alpha}_1$-receptors.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valuate the bioequivalence of two carvedilol tablets, $Dilatrend^{(R)}$ tablet 12.5 mg (Chong Kun Dang Pharmaceutical Co., Ltd.) and Cadilan tablet 12.5 mg (KyungDong Pharmaceutical. Co., Ltd.), according to the guidelines of the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KFDA). The release of carvedilol from the two carvedilol formulations in vitro was tested using KP VIII Apparatus II method with pH 4.5 dissolution medium. Thirty two healthy male subjects, $25.00{\pm}3.09$ years in age and $70.71{\pm}11.35\;kg$ in body weight,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nd a randomized $2{\times}2$ cross-over study was employed. After a single tablet containing 12.5 mg as carvedilol was orally administered, blood samples were taken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and the concentrations of carvedilol in serum were determined using HPLC with fluorescence detector. The dissolution profiles of two formulations were similar in the tested dissolution medium. The pharmacokinetic parameters such as $AUC_t$, $C_{max}$ and $T_{max}$ were calculated and ANOVA test was utilized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of the parameters using logarithmically transformed $AUC_t$, $C_{max}$ and untransformed $T_{max}$. The results showed that the differences between two formulations based on the reference drug, $Dilatrend^{(R)}$ tablet 12.5 mg, were 4.66%, 8.33% and -7.45% for $AUC_t$, $C_{max}$ and $T_{max}$, respectively. There were no sequence effects between two formulations in these parameters. The 90% confidence intervals using logarithmically transformed data were within the acceptance range of log 0.8 to log 1.25 (e.g., $\log\;0.9823{\sim}\log\;1.1042$ and $\log\;1.0132{\sim}\log\;1.1875$ for $AUC_t$ and $C_{max}$, respectively). Thus, the criteria of the KFDA bioequivalence guideline were satisfied, indicating Cadilan tablet 12.5 mg was bioequivalent to $Dilatrend^{(R)}$ tablet 12.5 mg.

Sous-vide가열과 열탕가열 조건에 따른 콩나물 머리와 줄기의 조직감 변화에 관한 연구 (Investigation of the changes in texture of soybean sprout depending on the heating conditions in sous-vide and conventional hot water cooking)

  • 이윤주;정화빈;윤원병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1권3호
    • /
    • pp.219-226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형상이 일정하지 않은 콩나물의 조직감 측정 방법을 도출하고 가열처리 방법 및 시간에 따른 콩나물의 물리적 품질인자를 분석하였다. 조직감 측정을 위하여 실린더와 칼날형 프로브를 이용하여 deformation 시 프로브와 샘플이 접촉하는 면적의 고려 유무에 따라 표준편차가 적은 측정법을 평가하였다. 앞서 도출된 조직감 측정 방법으로 콩나물을 conventional cooking, sous-vide 방법을 이용하여 콩나물을 0, 10, 20, 30 min 가열 하였을 때의 물리적 품질특성을 비교하였다. 콩나물의 자엽은 조직감 측정 축 방향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며(p <0.05), 칼날형 프로브를 이용하여 프로브의 칼날과 콩나물의 장축이 수평인 방향으로 조직감을 측정하여, 프로브와 샘플이 30% deformation시 접촉하는 면적을 고려한 true stress를 측정하는 것이 표준편차가 작았다. 콩나물의 배축은 프로브와 샘플이 접촉하는 면적을 고려한 조직감 측정법을 이용하여 실린더와 칼날형 프로브로 측정 시 모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가열처리 방법에 따른 조직감 측정 결과와 관능평가 결과 사이에는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콩나물은 conventional cooking 방법으로 가열하는 것이 관능평가에서 더 높은 점수를 얻었다.

소나무 산지의 개엽시기에 영향을 미치는 기후인자 (Climatic Factors Affecting Bud Flush Timing of Pinus densiflora Provenances)

  • 김인식;유근옥;이주환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229-235
    • /
    • 2012
  • 본 연구는 소나무 산지의 개엽시기에 영향을 미치는 기후인자를 구명하기 위해 수행되었는데 1996년 국립산림과학원에서 조성한 정선, 충주, 제주의 소나무 산지시험림에서 조사가 이루어졌다. 휴면 중이던 동아가 부풀어 오르는 시점을 생장개시기로, 신초가 포린을 뚫고 나와 0.5mm 정도 자란 시점을 개엽시기로 정해 2004년 3월말부터 5월 중순까지 2일 간격으로 조사를했다. 개엽시기에 대한 산지 기후인자의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 조림지와 산지의 기후인자를 구했으며, 각 기후인자의 생태적거리를 구해 공준상관 분석을 실시했다. 조림지별 생장개시기와 개엽시기는 제주, 충주, 정선 조림지 순으로 빨라 조림지의 평균 기온 차이에 따른 구배를 보여주었다. 종자산지의 기후인자 차이가 조림지에서의 생장개시기 및 개엽시기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 생태적거리 자료를 이용하여 공준상관 분석을 실시한 결과, 조림지와 산지 간 위도, 경도, 12~2월 최저기온, 11~2월 최고기온 그리고 생육기간 차이가 주요 인자인 것으로 추정되었다. 결론적으로 조림지보다 겨울철 기온이 낮은 곳에서 온 산지가 생장개시 및 개엽시기가 빠른 전형적인 북-남 또는 저온-고온 경사변이를 나타내 소나무 산지에 따른 지리적 유전적 변이가 존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