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3G/4G

검색결과 28,406건 처리시간 0.062초

한국 재래종 콩의 생육 및 품질 특성 (Growth Characteristics and Qualities of Korean Soybean Landraces)

  • 한원영;박금룡;정명근;김현태;고종민;백인열;이충열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3권spc호
    • /
    • pp.89-95
    • /
    • 2008
  • 국내 재래종 콩 유전자원의 품질에 대한 특성을 재평가하고 우수한 교배모본 탐색 및 선정하여 콩 신품종육성에 이용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한 본 시험의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유전자원 1,291점이 47-102일 분포를 보였고, 평균 68일이며, 결실일수의 분포는 61-65일이 29.4%, 66-70일이 23.5% 순으로 많이 분포하였다. 생육일수별 콩의 분포는, 105-163일의 생육일수 분포로서, 평균 134일이었으며, III군의 분포비율이 가장 높았고, 만숙종인 VI군이 가장 낮았다. 2. 경장에서 최대 216 cm, 최소 18 cm로 평균 70.7이었고, 분지수는 최대 13.7개 최소 1.8개로 평균 4.9개이었고, 주경절수는 최대 28개 최소 6.1개로 평균 16.3개, 도복정도는 평균 4.8로 중정도이었다. 3. 100립중은 2.4 g에서 40.4 g 분포를 보였고, 평균 19.5 g이었다. 100립중 분포는 13.1-20.0 g에 분포하는 계통이 35.3%로 가장 많았고, 20.1-25.0 g에 분포하는 계통이 29.4% 순이었다. 4. 조단백 함량은 평균 41.8%이였고, 32.7-49.2% 분포, 조지방 함량은 11.8-22.2% 분포로 평균 18.0%, 불포화지방산 조성비율은 평균 85.4%, 94.2-81.8% 분포이며 포화지방산조성은 5.8-18.2%, 평균 14.6%이었다. 5. 당 함량중 슈크로스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스타키오스 및 라피노스 순이었다. 슈크로스 함량은 1.2-7.9%, 평균 5.2%였다. 아이소플라본 함량은 평균 $1066.8\;{\mu}g/g$, 278.4-$2736.9\;{\mu}g/g$ 범위이고, 다이드제인 함량은 평균 $483.1\;{\mu}g/g$, 범위 48.8-$1709.6\;{\mu}g/g$, 제이스테인 함량은 평균 $472.0\;{\mu}g/g$, 범위는 79.8-$1242.3\;{\mu}g/g$였다.

충주 지역 설사 환아의 Rotavirus G Serotype 분포에 관한 연구 (Distribution of Rotavirus G Serotypes in ChungJu Area)

  • 심재건;권재봉;강신영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3권1호
    • /
    • pp.41-46
    • /
    • 2000
  • 목 적: 설사 환아에서 rotavirus 장염의 빈도는 매우 높으며 rotavirs에 대한 예방 접종이 실용화되었으나 국내 rotavirus 혈청형 분포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 결과는 매우 드물고, 혈청형의 정확한 분포비율도 아직까지는 알려져 있지 않다. Rotavirus 설사 환아의 G 혈청형 분포를 RT-PCR 기법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8년 6월부터 1999년 5월까지 설사를 주소로 내원 또는 입원한 소아 20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설사 시작 후 3일 이내의 대변을 채취하여 영하 $20^{\circ}C$의 냉동고에 보존하였다. EIA(TestPack Rotavirus, Abbott Laboratories)법으로 rotavirus 양성인 검체를 선별하였으며, 양성 반응을 보인 검체를 대상으로하여 RT-PCR을 이용하여 rotavirus G serotype을 결정하였다. 결 과: 총 202 검체 중에서 rotavirus 양성은 95례였으며, 이 중 serotype 판정이 가능했던 것은 50례이었다. G serotype 1이 5례(10%), 2 (G2)가 5례(10%), 3 (G3)가 14례(28%), 4 (G4)가 13례(26%), 9(G9)이 10례(20%)였으며, G1과 G9이 함께 있는 것과, G2과 G9이 함께 있는 것, G4와 G9이 함께 있는 경우가 각 1례씩 있었다. G8은 발견되지 않았다. 결 론: 국내에 기존에는 알려지지 않았던 G9이 상당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제일 많다고 알려진 G1보다 G3, G4가 더 많은 비율을 차지하는 등 이번 연구 결과는 기존에 발표되었던 자료와는 많은 상이점을 보인다. 이는 지역적인 요인 및 시기 상의 일시적인 현상이라고 볼 수도 있으나, 보다 정확한 역학적인 자료를 얻기 위해서는 보다 광범위하고 장기적인 조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Bacillus sp. A56을 이용한 응집제 생산 (Bioflocculant production from Bacillus sp. A56)

  • 서현효;이문호;김희식;박찬선;윤병대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486-493
    • /
    • 1993
  • A gram(+) bacteria that produced microbial flocculant was isolated from soil and classified as a Bacillus species and named as Bacillus sp. A56. The culture conditions of the strain for fluocculant production were studied in a shake flask. Optimum temperature and initial pH for flcculant production were 30C and 6.5, respectively. The optimized medium has gollowing composition: glucose 20g/l, NH4NO3 0.5g/l, K2HPO4 1.0g/l, KH2PO4 0.8g/l, MgSO4.7H2O 0.2g/l, MnSO4.4-6H2O 0.3g/l, CaCO3 0.5g/l, yeast extract 0.3g/l, tryptone 0.3g/l in tap water.

  • PDF

완효성비료 시비가 온시디움 생육과 개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ontrolled Release Fertilizer on the Growth and Flowering of Oncidium 'Sweet Sugar')

  • 김시동;이희두;김주형;김태중
    • 화훼연구
    • /
    • 제17권4호
    • /
    • pp.246-250
    • /
    • 2009
  • 본 연구는 합리적이고 경제적인 시비량을 확립하기 위하여 온시디움 생육에 적절한 완효성 비료 시비량을 밝히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생육은 완효성 비료 2g, 3g 처리구에서 엽장과 위구경장이 Hyponex 및 완효성 비료 1g 처리에 비해 컸으며, 엽폭 및 엽수에서는 차이가 없었고, 식물체 무게는 완효성 비료 2g, 3g 처리에서 무거웠다. 개화기는 10월 상순으로 비료시용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회수는 완효성비료 3g 처리에서 62.4로 가장 많았으나 처리간 차이는 없었고, 회경장, 화폭도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분지수는 완효성비료 2g, 3g 처리에서 0.2개 증가하였고, 지상부 식물체의 무기성분은 완효성 비료 1g처리 보다는 2, 3g 처리구에서 대부분 함량이 높았으며 특히 칼륨함량은 질소나 인산함량보다는 높은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온시디움의 생장에 가장 적절한 완효성 비료량은 식물생장과 건물중 생산이 많은 2g이라고 판단되었다.

혼합상토의 pH 저하가 영양생장 중인 '싼타' 딸기의 중탄산 피해 경감에 미치는 영향 (Lowered Substrate pH Reduced the Bicarbonate Injury during Vegetative Growth of 'Ssanta' Strawberry)

  • 이희수;정종도;최종명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15-122
    • /
    • 2017
  • 중탄산이 고농도인 수경재배용 원수의 피해를 경감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혼합상토의 pH를 조절할 때 영양번식중인 '싼타' 딸기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수행을 위해 피트모스와 수피를 5:5(v/v)로 혼합한 산성상토를 조제하였고, 조제된 상토의 pH를 교정하기 위해 혼합하는 고토석회 [$CaMg(CO_3)_2$]의 양을 0(무처리), 1, 2, 3 및 $4g{\cdot}L^{-1}$로 조절하였다. 이 후 중탄산 농도가 $240mg{\cdot}L^{-1}$로 조절된 Hoagland 용액을 공급하면서 모주와 자묘의 생육, 상토의 화학성 변화, 그리고 식물체의 무기원소 함량을 조사 및 분석하였다. '싼타' 딸기의 모주 생체중은 고토석회 $2g{\cdot}L^{-1}$ 처리구에서 102.1g으로 가장 무거웠고, $1g{\cdot}L^{-1}$ 처리, 94.7g, $3g{\cdot}L^{-1}$ 처리, 91.2g, $0g{\cdot}L^{-1}$ 처리, 75.4g, $4g{\cdot}L^{-1}$ 처리, 72.3g 처리 순으로 가벼워졌으며, 건물중도 생체중과 같은 경향이었다. 모주당 발생한 자묘수는 고토석회 0, 1, 2, 3 및 $4g{\cdot}L^{-1}$ 처리구에서 각각 5.8, 9.8, 11.8, 8.8 및 5.0개체였으며, 고토석회를 $2g{\cdot}L^{-1}$로 혼합한 처리구에서 자묘 발생이 가장 많았다. '싼타' 딸기 모주를 재배하면서 측정한 상토의 pH 는 고토석회 1 및 $2g{\cdot}L^{-1}$ 처리구에서 5.6-6.2의 적정 범위에 포함되었고, 3 및 $4g{\cdot}L^{-1}$ 처리구는 이보다 높았다. 모주의 지상부 무기물 함량은 고토석회 $2g{\cdot}L^{-1}$ 처리구에서 가장 많았으며, $4g{\cdot}L^{-1}$ 처리구에서 Fe, Mn, Zn 및 Cu의 미량원소 함량이 감소하고 모주 및 자묘에 이들 원소의 결핍증상이 발생하였다. 이상의 내용을 종합할 때 원수의 중탄산 농도가 높아 발생하는 피해를 경감하기 위해서는 pH가 약 4인 산성 상토를 조제한 후 기비로서 고토석회를 2g 혼합한 후 '싼타' 딸기를 육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판단하였다.

우리나라 인공호의 부영양화 평가 및 예측에 관한 연구

  • 김재윤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441-450
    • /
    • 199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and to predict of eutrophication in lakes by using VollenweiderGECD model and total phosphorus concentration and inflow rate which were measurded in 1993-1996. The results of study was as follows. The annual total phosphorus loading from the watershed was calculated to be 181-195tP /yr at lake Soyang, 591-680tP/yr at lake Chungju, 420-466tP/yr at lake Taechong, 229-278tP/yr at lake Andong, 103-106tP/yr at lake Hapchon, 57-59tP/yr at lake Imha, 194-244tP/yr at lake Namgang, 8386tP /yr at lake Chuam, 99-109tP /yr at lake Somjin. These are discharged, for the most parts, from population and ftshfarm facility. TP loading on the surface area at lake Soyang was 3.0lgP/$m^2$/yr, 2.82gP/$m^2$/yr, 2.84gP/$m^2$/yr, 3. 03gP/$m^2$/yr, at lake Chungju 7.91gP/$m^2$/yr, 6.87gP/$m^2$/yr, 7.38gP/$m^2$/yr, 7.l8gP/$m^2$/yr, at lake Taechong 6.7lgP/$m^2$/yr, 7.25gP/$m^2$/yr, 7.24gP/$m^2$/yr, 6.53gP/$m^2$/yr and TP loading on the surface area of Nakdong river basin, that is, lake Andong, Imha, Hapchon and Namgang were 5.39gP/$m^2$/yr, 4.47gP/$m^2$/yr, 4. 56gP/$m^2$/yr, 4.45gP/$m^2$/yr and 2.20gP/$m^2$/yr, 2.23gP/$m^2$/yr, 2.24gP/$m^2$/yr, 2.l7gP/$m^2$/yr and 4.50gP/$m^2$/ yr, 4.50gP/$m^2$/yr, 4.54gP/$m^2$/yr, 4.43gP/$m^2$/yr and 8.25gP/$m^2$/yr, 8.48gP/$m^2$/yr, 8.48gP/$m^2$/yr, 10. 39gP/$m^2$/yr respectively. Also those of lake Chuam was 2.51gP/$m^2$/yr, 2.61gP/$m^2$/yr, 2.52gP/$m^2$/yr, 2. 54gP/$m^2$/yr and TP loading on the surface area at lake Somjin was analysed 4.09gP/$m^2$/yr, 4.l0gP/$m^2$/yr, 3.98gP/$m^2$/yr,3.73gP/$m^2$/yr. The tropic states of nine lakes can be assessed as eutrophy because phosphorus loading exceeds the critical phosphorus loading by Vollenwelder-GECD model.

  • PDF

터널환기 무창육계사의 분진크기별 분포와 배출농도에 관한 연구 (Dust Spatial Distribution and Emission of Tunnel Ventilated Windowless Broiler Building)

  • 최희철;연규영;송준익;강희설;권두중;유용희;양창범;천상석;김용국
    • 한국축산시설환경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115-122
    • /
    • 2006
  • 본 연구는 터널환기 무창육계사의 계사내부의 위치별 먼지 농도 분포와 배기홴에서 배출된 먼지의 확산범위를 알아보고자 수행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입기구 방향의 계사 1/4 지점의 먼지농도는 TSP의 경우 $301.0{\sim}1,366.0\;{\mu}g/m^3$으로 입기구의 위치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2. 터널홴 앞 3m 지점에서는 TSP $2065.8{\sim}3,092.2\;{\mu}g/m^3$, PM 2.5 $27.6{\sim}36.3\;{\mu}g/m^3$, PM 1.0 $8.3{\sim}11.3\;{\mu}g/m^3$으로 입기구에 비하여 증가하였다. 3. 배기홴으로부터 3m의 지점의 먼지 배출량은 TSP $354.8{\sim}574.8\;{\mu}g/m^3$으로 매우 높았으며 PM10 $94.4{\sim}156.2\;{\mu}g/m^3$, PM2.5 $14.6{\sim}18.0\;{\mu}g/m^3$, PM1.0 $6.0{\sim}6.4\;{\mu}g/m^3$ 이었다. 4. 배기홴으로부터 50m 떨어진 지점에서의 분진농도는 TSP $25.1\;{\mu}g/m^3$, PM10 $8.8\;{\mu}g/m^3$, PM2.5 $5.6\;{\mu}g/m^3$, PM1.0 $4.9\;{\mu}g/m^3$으로 매우 낮은 분진농도를 보였다. 5. 입기구와 배기구 간 분진농도의 차이는 TSP의 경우 입기구에서 $317.9\;{\mu}g/m^3$인데 비하여 배기구는 $2,678.5\;{\mu}g/m^3$로 8.42배 높았으며 PM10 7.4배, PM2.5 3.4배, PM1.0 1.6배 높았다. 6. 배기홴으로부터 거리별 분진의 배출농도는 3m 지점에서 $446.6\;{\mu}g/m^3$ 이었으나 20 m 지점에서는 $156.3\;{\mu}g/m^3$로 34.9% 수준이었고 PM10 34.9%, PM2.5 48.7%, PM1.0 86.8% 수준이었다.

  • PDF

The effect of Korean red ginseng on allergic inflammation in a murine model of allergic rhinitis

  • Jung, Joo Hyun;Kang, Il Gyu;Kim, Dae Young;Hwang, You Jin;Kim, Seon Tae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37권2호
    • /
    • pp.167-175
    • /
    • 2013
  • Korean red ginseng (KRG) is reported to have anti-allergic properties, including beneficial effects on asthma and atopic dermatitis. However, its effect on allergic rhinitis has not been studied extensively. This study examined how KRG affected allergic inflammation of the nasal cavity in an allergic mouse model. A total of 40 Balb/c female mice were divided into four experimental groups according to treatment and allergic state: group 1 (G1), saline only; group 2 (G2), ovalbumin (OVA); group 3 (G3), OVA+KRG; and group 4 (G4), OVA+dexamethasone. Serum IgE levels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KRG treatment group (G3) than in the allergic group (G2). However, serum IgG1 levels did not differ between G2 and G3. In the nasal lavage fluid, IL-4 and IL-5 levels were significantly lower in G3 than in G2 (p<0.05). H&E and Luna staining revealed that the eosinophil count was lower in G3 and G4 than in G2 (p<0.05).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revealed that there were fewer IL-4-, IL-5-, and MUC5AC-positive cells in G3 and G4 than in G2 (p<0.05). These results indicate that KRG reduces the nasal allergic inflammatory reaction in an allergic murine model by reducing Th2 cytokines.

검정콩 수집지역과 성숙기에 따른 안토시아닌 함량 변이 (Variation of Anthocyanin Contents according to Collection Site and Maturity in Black Soybean)

  • 이은섭;이용선;김희동;김용호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3권4호
    • /
    • pp.376-381
    • /
    • 2008
  • 국내수집 검정콩 유전자원의 안토시아닌 함량을 평가 및 선발함으로써 안토시아닌 고함유 신품종 육종 모재로 활용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공시재료는 농촌진흥청 생명공학연구소 유전자원과로부터 분양받은 274 수집계통(2002년 38계통, 2006년 236계통)과 경기도농업기술원 작물연구과에서 자체 수집 보관하던 18 수집계통이었으며, 2006년도에 경기도농업기술원 작물연구과 전작포장에서 재배하고 수확한 후 성분을 분석하였다. 검정콩 종피에 함유된 안토시아닌의 주성분은 cyanidin-3-glucoside(C3G), dephinidin-3-glucoside(D3G), petionidin-3-glucoside(Pt3G) 등이었으며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수집지역간의 총안토시아닌 함량은 충남 수집종이 평균 $13.75{\pm}4.709\;mg/g$으로 가장 높았고, 총안토시아닌 함량별 유전자원 분포는 $9.1{\sim}12.0\;mg/g$ 범위가 84종으로 가장 많았으며, $6.1{\sim}9.0\;mg/g$ 65종, $12.1{\sim}15.0\;mg/g$ 41종, $15.1{\sim}18.0\;mg$ 39종 순이었다. 2. C3G는 $3.1{\sim}6.0\;mg/g$ 범위가 116종으로 가장 많았고, D3G와 Pt3G는 $0{\sim}3.0\;mg/g$에서 각각 288종, 268종이었다. 이중 D3G와 Pt3G가 결핍된 유전자원은 각각 4종통, 24종이었다. 3. 착색기${\sim}$성숙기 소요일수에 따른 총안토시아닌 함량은 착색소요일수 16일 이하에서는 $7.82{\pm}4.304\;mg/g$ 이하였으나, 35일 이상에서 $13.09{\pm}4.190\;mg/g$으로 뚜렷하게 증가하였다. 4. 성숙소요일수에 따른 안토시아닌 함량은 소요일수가 길어질수록 높아져 86일 이상에서는 $15.98{\pm}3.935\;mg/g$이었다. 5. 수확시기에 따른 총안토시안닌 함량은 9월 하순부터 높아져 10월21일 이후 수확된 유전자원에서 $15.75{\pm}3.402\;mg/g$으로 가장 높았는데, 개별 안토시아닌에서도 C3G와 D3G는 같은 경향이었다.

양파(Allium cepa L.) 유전자원의 Flavonol 배당체 조성 및 함량 (The Compositions and Contents of Flavonol Glycosides in Onion (Allium cepa L.) Germplasm)

  • 이정로;이민기;김헌웅;이성현;이영민;장환희;황경아;곽재균;고호철;김정봉;조진웅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9권3호
    • /
    • pp.385-389
    • /
    • 2014
  • 국내외 75점의 흰색 및 자색 양파 유전자원으로부터 총 5종의 flavonol 배당체(Q34'diG, Q3G, Q4'G, I4'G, Q)를 분리 동정하였다. 양파 내 존재하는 flavonol 배당체는 aglycone인 quercetin 및 isorhamnetin에 하나 또는 두 개의 glucose가 결합된 형태로 검출되었다. 총 flavonol 함량 범위는 흰색 양파가 0.18-6.47 mg/g, 자색 양파가 2.39-6.47 mg/g 이었으며, 자색 양파가 평균 4.41 mg/g 로 흰색 양파(3.23 mg/g)보다 약 1.4배 높았다. 양파의 주요 성분으로는 Q34'diG 및 Q4'G 총함량 비율이 흰색 및 자색 양파에서 모두 약 85% 이상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