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3D spatial data

검색결과 849건 처리시간 0.033초

위 내시경 이미지 품질에 따른 병변 검출 모델의 성능 비교 연구 (A Performance Comparison Study of Lesion Detection Model according to Gastroscopy Image Quality)

  • 이율희;김영재;김광기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118-124
    • /
    • 2023
  • Many recent studies have reported that the quality of input learning data was vital to the detection of regions of interest. However, due to a lack of research on the quality of learning data on lesion detetcting using gastroscopy, we aimed to quantify the impact of quality difference in endoscopic images to lesion detection models using Image Quality Assessment (IQA) algorithms. Through IQA methods such as BRISQUE (Blind/Referenceless Image Spatial Quality Evaluation), Laplacian Score, and PSNR (Peak Signal-To-Noise) algorithm on 430 sheets of high quality data (HQD) and 430 sheets of low quality data (PQD), we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high and low quality images in lesion detecting through BRISQUE and Laplacian scores (p<0.05). The PSNR value showed 10.62±1.76 dB on average, illustrating the lower lesion detection performance of PQD than HQD. In addition, F1-Score of HQD showed higher detection performance at 77.42±3.36% while F1-Score of PQD showed 66.82±9.07%. Through this study, we hope to contribute to future gastroscopy lesion detection assistance systems that involve IQA algorithms by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using high quality data over lower quality data.

효과적인 재난 대응을 위한 3차원 BIM 기반 재난 통합정보 시스템 활용 서비스 제시 (A Study on the Application Service of 3D BIM-based Disaster Integrated Information System Management for Effective Disaster Response)

  • 김지은;홍창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10호
    • /
    • pp.143-150
    • /
    • 2018
  • 최근 국내외에서 연속적으로 발생하는 화재, 지진, 침수 등의 다양한 재난으로 인하여, 기존의 법제도 하에 최소한으로 도입되었던 단순 재난 대비 설비에서 벗어나 주기적이고 체계적인 시설물의 재난 관리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효과적 재난 대비를 위해서는 정기점검/상시점검을 통해 일상에서도 관리되어야 하며 비상 발생 시에도 상황과 목적에 맞는 직관적이고 정확한 정보전달이 필수이다. 효과적 3차원 시각화 모델을 활용하여 객체(부재)에서 건물 전체 속성정보까지 관리할 수 있는 BIM 기술은 설계-준공에서 시설물 유지관리까지 관리 목적에 따라 다양한 활용이 가능하다. 본 연구는 BIM 기반 재난통합정보 시스템 내 시설물 관리 서비스 도출 프로세스 및 전문가 설문조사를 통해, 다양한 관련 서비스 가운데 BIM 데이터의 활용 가능한 분야를 시설물 정보관리/3차원 시각화/재난재해 관제 관점으로 정리하였다. 이후 BIM 기반 재난 통합정보시스템 내 활용 서비스 및 DB 정의를 통해, BIM 기반 주요 설비 모니터링 및 대응 서비스와 BIM 기반 공간관리 서비스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재난 통합정보 시스템 내 BIM 기반 활용 서비스 기능을 구축함으로써, 기존 사람 중심의 정보 제공에서 BIM을 활용한 효과적인 시스템적 대응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

1차원 및 2차원 물리서식처 모형을 활용한 안동댐 하류 하천의 환경생태유량 및 어류서식처 추정 (Estimation of ecological flow and fish habitats for Andong Dam downstream reach using 1-D and 2-D physical habitat models)

  • 김용원;이지완;우소영;김수홍;이종진;김성준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5권12호
    • /
    • pp.1041-1052
    • /
    • 2022
  • 본 연구는 낙동강 본류의 안동댐 하류(4,565.7 km2) 하천을 대상으로 1차원 물리적 서식처 모형인 PHABSIM과 2차원 물리적 서식처 모형인 River2D를 활용하여 대상어종에 대해 환경생태유량을 산정하고 어류서식처에 대한 2차원 공간분석을 수행하였다. 서식처 모형의 구축을 위해 낙동강유역의 하천기본계획보고서를 활용하여 하천단면정보와 수리학적 입력자료를 수집하였다. PHABSIM 구축범위는 구담수위관측소(GD)로부터 약 410.0 m, River2D의 경우 GD를 포함한 약 6.0 km에 대해 구축하였다. 대상어종 선정 및 HSI 구축을 위해 대상하천의 하류에 위치한 풍지교에서 어류 현장조사를 수행하였다. 어류 현장조사 결과, 피라미가 우점종으로 나타나 피라미(Zacco platypus)를 대상어종으로 선정하였고 피라미의 물리적 서식처 특성을 활용하여 HSI를 구축하였다. 피라미의 최적 HSI 범위는 유속에서 0.3~0.5 m/s, 수심에서 0.4~0.6 m, 그리고 하상재료는 모래에서 잔자갈로 나타났다. HSI를 PHABSIM에 적용하여 환경생태유량을 산정한 결과, 대상하천의 최적 환경생태유량은 20.0 m3/sec로 산정되었다. River2D를 활용하여 어류서식처의 2차원 공간분석을 수행한 결과 WUA는 환경생태유량 조건에서 107,392.0 m2/1000 m으로 산정되었고, Q355 조건과 비교하여 하천 전반적으로 어류서식처가 확보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연약지반 평가를 위한 MASW탐사와 CPTu 자료의 지구통계학적 복합 분석 (Geostatistical Integrated Analysis of MASW and CPTu data for Assessment of Soft Ground)

  • 지윤수;오석훈;임은상
    • 지구물리와물리탐사
    • /
    • 제19권4호
    • /
    • pp.187-199
    • /
    • 2016
  • 연약지반의 층서 파악을 위해 대상 지역 전체에서 취득되는 다중채널 표면파 탐사(Multichannel Analysis of Surface Wave; MASW)와 지반에 대한 직접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피에조콘 관입시험(Piezo Cone Penetration Test; CPTu) 자료를 지구통계학적으로 복합 분석하였다. MASW 자료는 지반 강성도와 밀접한 관계를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2개의 측선에 대해 자료를 취득하고 연구 지역 시료의 실내시험을 통해 이를 확인하였다. CPTu는 대상지역 내 6개 지점에서 취득하였고 선단저항($q_c$) 및 간극수압(u) 자료에 지구통계학적 복합 분석을 적용하여 3차원 물성 분포를 확보하였다. 복합 분석은 MASW 자료와 선단저항 및 간극수압의 공간적 상관성에 따라 시뮬레이션 할 수 있는 순차 가우시안 공동 위치 시뮬레이션(Sequential Gaussian Co-Simulation; COSGSIM) 기술을 적용하였다. 분석 결과의 검증을 위해 CPTu 자료 취득 위치와 다른 2개 지점에서 시추가 이루어졌으며, 이 지점에서 SPT N 값과 시추 주상도를 확보할 수 있었고 이 자료를 복합 분석 결과의 지반 공학적 정확도 분석을 위해 사용하였다. 복합 분석을 통해 확보한 3차원 선단저항 및 간극수압 분포도의 신뢰성 검증을 위해 2개의 시추 지역에서 획득한 지반 조사 자료와 비교한 결과, 매우 상관성이 좋은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준 3차원 공간분포 계측에 의한 액체 추력기 인젝터의 분무거동 해석 (An Analysis on Spray Behavior of Liquid-thruster Injector through Pseudo-3D Distribution Measurement)

  • 김진석;정훈;김정수;김성초
    • 한국추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추진공학회 2008년도 제30회 춘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141-144
    • /
    • 2008
  • 액체추진제 추력기 인젝터로부터 발생하는 분무의 미립화 특성과 공간 분포를 파악하기 위해 이중모드 위상도플러속도계(DPDA)를 사용한다. 평균속도, Sauter 평균직경, 그리고 속도섭동과 같은 분무특성 인자들을 다양한 분무축 및 반경방향 위치에서 계측한다. 이러한 데이터를 반경축상에 정량화하고 직경과 난류강도와의 상관관계를 밝히는데 사용한다. 분무 동적거동의 가시적 이해를 돕기위해, 노즐 오리피스의 기하학적 축과 반경방향이 이루는 좌표에 분무입자들의 속도벡터를 도식화한다.

  • PDF

Cloning and characterization of phosphoglucose isomerase from Sphingomonas chungbukensis DJ77

  • Tran, Sinh Thi;Le, Dung Tien;Kim, Young-Chang;Shin, Malshik;Choi, Jung-Do
    • BMB Reports
    • /
    • 제42권3호
    • /
    • pp.172-177
    • /
    • 2009
  • Phosphoglucose isomerase (PGI) is involved in synthesizing extracellular polysaccharide (EPS). The gene encoding PGI in Sphingomonas chungbukensis DJ77 was cloned and expressed in E. coli, and the protein was characterized. The pgi gene from DJ77 is 1,503 nucleotides long with 62% GC content and the deduced amino acid sequence shows strong homology with PGIs from other sources. The molecular masses of PGI subunit and native form were estimated to be 50 kDa and 97 kDa, respectively. Four potentially important residues (H361, R245, E330 and K472) were identified by homology modeling. The mutations, H361A, R245A, E330A, R245K and E330D resulted in decrease in Vmax by hundreds fold, however no significant change in Km was observed. These data suggest that the three residues (H361, R245Aand E330) are likely located in the active site and the size as well as the spatial position of side chains of R245 and E330 are crucial for catalysis.

경관시뮬레이션 프로그램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The Study for Improvement Method of Landscape Simulation Program)

  • 이동화;김재명
    • 한국BIM학회 논문집
    • /
    • 제10권4호
    • /
    • pp.89-97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problems of the currently used 3D spatial information utilization system to realize a more accurate landscape and to establish a user-oriented environment to improve the utilization plan for future landscape evaluation. As citizens' interest in urban landscapes with strong public characteristics increases and the speed of urban development also increases, more suitable simulation methods for landscape management are required. Nevertheless, there are many cases of inconvenient correction according to development changes along with many errors in various steps for creating landscape simulation. Therefore, in performing landscape deliberation according to development, it is necessary to create more accurate and efficient landscape simulation, and if changes occur after the initial deliberation, a process that can quickly and conveniently correct and supplement data is needed.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create landscape simulation so that the created modeling source can be used by being compatible with other application programs. In this study, a method of constructing a more accurate and efficient simulation at the time of initial deliberation and a method of creating a landscape simulation model for rapid response to a plan that is changed at the time of re-deliberation are described.

무인기 탑재 열화상(IR) 센서의 농작물 대상 최적 활용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Best Applicationsof Infra-Red(IR) Sensors Mounted on the Unmanned Aerial Vehicles(UAV) in Agricultural Crops Field)

  • 손호웅;김태훈;이희우
    • 한국산업융합학회 논문집
    • /
    • 제26권6_2호
    • /
    • pp.1073-1082
    • /
    • 2023
  • Thermal sensors, also called thermal infrared wavelength sensors, measure temperature based on the intensity of infrared signals that reach the sensor. The infrared signals recognized by the sensor include infrared wavelength(0.7~3.0㎛) and radiant infrared wavelength(3.0~100㎛). Infrared(IR) wavelengths are divided into five bands: near infrared(NIR), shortwave infrared(SWIR), midwave infrared(MWIR), longwave infrared(LWIR), and far infrared(FIR). Most thermal sensors use the LWIR to capture images. Thermal sensors measure the temperature of the target in a non-contact manner, and the data can be affected by the sensor's viewing angle between the target and the sensor, the amount of atmospheric water vapor (humidity), air temperature, and ground conditions. In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three thermal imaging sensor models that are widely used for observation using unmanned aerial vehicles were evaluated, and the optimal application field was determined.

FRACTAL DIMENSIONS OF INTERSTELLAR MEDIUM: II. THE MOLECULAR CLOUDS ASSOCIATED WITH THE HII REGION SH 156

  • Lee, Young-Ung;Kang, Mi-Ju;Kim, Bong-Kyu;Jung, Jae-Hoon;Kim, Hyun-Goo;Yim, In-Sung;Kang, Hyung-Woo;Choi, Ji-Hoon
    • 천문학회지
    • /
    • 제41권6호
    • /
    • pp.157-161
    • /
    • 2008
  • We have estimated the fractal dimension of the molecular clouds associated with the Hii region Sh 156 in the Outer Galaxy. We selected the $^{12}CO$ cube data from the FCRAO CO Survey of the Outer Galaxy. Using a developed code within IRAF, we identified slice-clouds (2-dimensional clouds in velocity-channel maps) with two threshold temperatures to estimate the fractal dimension. With the threshold temperatures of 1.8 K, and 3 K, we identified 317 slice-clouds and 217 slice-clouds, respectively. There seems to be a turn-over location in fractional dimension slope around NP (area; number of pixel) = 40. The fractal dimensions was estimated to be D = $1.5\;{\sim}\;1.53$ for $NP\;{\geq}\;40$, where $P\;{\propto}\;A^{D/2}$ (P is perimeter and A is area), which is slightly larger than other results. The sampling rate (spatial resolution) of observed data must be an important parameter when estimating fractal dimension. Fractal dimension is apparently invariant when varying the threshold temperatures applied to slice-clouds identification.

실감형 재난대응 서비스 구현방안 연구 : 공공과 민간 분야 전문가 인식 차이를 중심으로 (Study on Realistic Disaster Management Service Implementation Plan : Focusing on Differential Views in Public and Private Experts)

  • 최우철;김태훈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6호
    • /
    • pp.625-633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국민안전에 큰 위협이 될 수 있는 화재, 지진 등 재난분야를 관리하는 공공 영역과 주로 재난 관련 세부기술들을 개발하는 민간 영역의 실감형 재난서비스 요구사항을 고려하기 위하여 공공과 민간 그룹별 전문가 AHP 설문분석을 진행하였다. 재난 및 공간정보 관련 분야 전문가 면담조사를 통하여 실감형 재난대응 서비스 항목 계층 구조를 설정하였으며, 설문의 일관성 지수는 0.058로 매우 양호한 수준으로 분석되었다. 중요도 평가 결과, 1계층의 경우 재난발생 긴급대응의 중요도가 가장 높았으며, 2계층의 경우 시민대상 상세 재난 상황 정보 알림, 관리자용 실시간 3차원 현장상황 제공, 유관기관 자동 정보연계 순으로 평가되었다. 그룹별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공공은 시민(1순위), 관리자(3순위), 유관기관(2순위)에 재난상황 정보의 정확성(4, 6순위)을, 민간은 미래기술을 활용한 3차원 관제(1순위, 3순위, 5순위)에 대한 중요도를 가치있게 평가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공공의 안전 우선 가치와 민간의 기술혁신 가치 요구에 상응하는 3D 안전상태정보 플랫폼 기반의 실감형 재난대응 서비스 구현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테스트베드 및 상용화 단계 시 기술 적용과 세부 시나리오 수립에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예상된다. 향후 실감형 재난대응 서비스의 실질적 적용 및 운영방안, 지자체 확산을 위한 재원 마련 및 정책적 지원방안 등의 후속연구가 진행되길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