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3D Software Space

검색결과 184건 처리시간 0.024초

3D Animation 교육에 대한 개념적 접근 방식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educational method of the conceptual approach of 3D animation)

  • 최성원
    • 디자인학연구
    • /
    • 제12권4호
    • /
    • pp.53-60
    • /
    • 1999
  • 현재 많은 사람들이 3D Software를 사용하고, 배우고 있으나, 이를 도구의 개념으로 사용하기보다는 이미지 창출하는 도구로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할 경우 3D Software의 변화는 사용자에게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어질 것이다. 이는 대부분의 경우에 있어서 3D 전반에 대한 이해 부족 그리고 사용자가 3D Software에 대하여 일종의 환상을 가지고 그것의 기능에만 열중한 결과라고 할 수 있겠다. 이는 대부분의 대학의 교육에서도 상아탑의 본질이 3D Software의 기능만을 가르치는 기능인 양성소의 장으로 변질 되어가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폐단을 막기 위해서 가상세계라고 불리는 3D를 현실세계와의 비교에 의한 개념 즉 어떻게 인간이 세상을 각인하고 있는가를 토대로 일반적인 3D Software의 구성도를 설명 하고자 한다. 이러한 기본적인 설명과 이해가 뒷바침된 후, 3D Software에 대한 기능 설명이 점진적으로 구체화되어진다면, 3D Software에 대한 사용자들의 이해가 더욱 더 빨라질 것이며, 처음 대하는 사용자라고 할지라도 그리 어렵게 접근하지 않을 것이며, 대학의 교육은 더 이상 3D Software만을 가르치는 교육의 장이 아니라 원래의 모습으로 그 기능을 다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Voxel Coloring을 이용한 3D 오브젝트 모델링 (Implementation of Photorealistic 3D Object Reconstruction Using Voxel Coloring)

  • ;양황규;윤태수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발표논문집 (상)
    • /
    • pp.527-530
    • /
    • 2003
  • In this paper, we implemented the voxel coloring method to reconstruct 3D object from synthetic input Images. Then compare the result between using standard voxel coloring and using coarse-to-fine method. We compared using different voxel space site to see the difference of time processing and the result of 3D object. Photorealistic 3D object reconstruction is a challenging problem in computer graphics. Vexel coloring considered the reconstruction problem as a color reconstruction problem, instead of shape reconstruction problem. This method works by discretizing scene space into yokels, then traversed and colored those in special order. Also there is an extension of voxel coloring method far decreasing the amount of processing time called coarse-to-fine method. This. method works using low resolution instead of high resolution as input and after processing finish, apply some kind of search strategy.

  • PDF

NCS 실내디자인 과목의 '주거공간 계획하기' 단원에서 3차원 스케치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수업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Instruction Program using 3D Sketching Software for 'Planning for Residential Space' Unit of NCS-based on Interior Design Subject)

  • 지애희;유현석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1-27
    • /
    • 2019
  • 최근 실내건축 분야의 실무 현장이나 대학의 실내건축 교육은 3차원 스케치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공간계획능력을 필수적으로 요구하고 있지만, 현재 특성화 고등학교에서의 교육은 수작업성 실기수업과 2D CAD 중심으로 구성되어 산업계의 변화에 적절하게 대응하지 못하고 있으며, 학생들의 공간계획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3차원 스케치 소프트웨어 기반 수업 프로그램이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이 연구의 목적은 특성화 고등학교 NCS 기반 실내디자인 과목의 '주거공간 계획하기' 단원에서 3차원 스케치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수업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특성화고 수업에 적용하여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데 있다. 이 연구에서 개발한 3차원 스케치 소프트웨어 기반 수업 프로그램은 PDIE 모형 절차에 따라 준비, 개발, 실행, 평가의 4단계를 거쳐 개발되었으며, 실험설계 모형은 이질집단 사후검사설계를 사용하였다. 실험 처치는 건설 분야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하였고, 총 9차시의 실내디자인 교과 수업에 적용하였다. 실험 처치 후에는 인지적, 정의적, 심동적 영역에 대한 학업성취도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독립표본 t-검정을 통해 개발된 수업 프로그램에 대한 효과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에서 개발된 3차원 스케치 프로그램을 활용한 수업 프로그램은 인지적, 정의적, 심동적 영역 모두에서 기존의 수작업성 실기 수업보다 학생들의 학업성취도를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3차원 레이저 스캐너를 활용한 터널 시공관리 (The construction management of tunnel using 3D laser scanner)

  • 이강현;허인욱;김도훈;이인모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논문집
    • /
    • 제13권3호
    • /
    • pp.159-176
    • /
    • 2011
  • 현재 3차원 레이저 스캐너는 게임, 영화, 의료, 미술, 디자인 분야 등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토목분야에서는 교량 및 터널에 3차원 레이저 스캐너를 이용한 시공관리 방안 및 적용에 관한 연구가 다수 수행되었다. 그러나 3차원 레이저 스캐너로 얻어진 데이터의 용량이 너무 크고 우리나라 현장 실정에 적합한 소프트웨어가 없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3차원 레이저 스캐너의 데이터를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으며, 터널의 미굴 여굴 여부 판단, 균열 누수 백태를 확인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를 개발하였다. 또한 실제 터널 현장에 3차원 레이저 스캐너를 사용하여 3차원 레이저 스캐너와 소프트웨어를 검증하였다. 이는 터널 시공 중 시공관리 및 시공 후 유지관리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산업체 수요중심 커리큘럼을 위한 메타모델 설계 기법 (Meta-Model Design Technique for Industrial Demand-Driven Curriculum)

  • 조은숙;박수희;장준오;노은하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7권4호
    • /
    • pp.169-181
    • /
    • 2011
  • The cooperation between universities and IT industry in producing IT manpower of quality is urgently called for to create the effective labor pool of supply and finally balance its supply and demand. Korean Government launched a program where industrial demand-driven curriculums are developed and applied to universities. This paper proposes a design technique of meta-modeling demand-driven curriculums and courses, based on the 3D software space and the software development process. This technique is proven to result in extensibility, flexibility and quality improvement in software design. Therefore, we expect that the proposed technique makes curriculums and courses possible to be continuously improved in many aspects.

3차원 공간자료 모델링 소프트웨어 개발 (3-D Spatial Data Modeling Software)

  • 이두성;김현규
    • 지구물리와물리탐사
    • /
    • 제5권1호
    • /
    • pp.1-5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2차원적으로 획득된 3차원 자료를 데이타베이스 화하고 이를 3차원적으로 분석하는데 필요한 도구인 모델링 및 시각화 소프트웨어를 ArcView환경에서 개발하였다. 본 소프트웨어는 유한개의 수평 단면으로 입력되는 자료로부터 개체의 형태를 3차원 공간상에서 구성하고 시각화한다. 프로그램은 구성된 개체로부터 임의 방향과 경사를 가진 단면을 생성할 수 있으며 단면의 수정을 통하여 해석자가 원하는 형태로 모델을 개선하는 기능을 보유하고 있다.

3차원 탄성파 자료분석을 위한 3차원 시각화 시스템 (A 3 dimensional Visualization System for 3-D Seismic Data Analysis)

  • 이두성;김현규
    • 지구물리와물리탐사
    • /
    • 제5권2호
    • /
    • pp.71-77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3차원 탄성파 자료를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이를 3차원적으로 분석하는데 필요한 도구인 모델링 및 시각화 소프트웨어를 개발하였다. 본 소프트웨어는 3차원 공간을 수직 및 수평 폴리곤으로 분할하고 이 폴리곤에 탄성파의 모든 속성정보와 기타 공간정보를 저장하도록 하였다. 탄성파 해석과정과 그 결과의 분석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임의단면에서 특이 패턴의 반자동 디지타이징과 그 결과의 DB화를 가능하게 하였다. 정의된 패턴은 3차원으로 모델링하고 시각화할 수 있다.

삼차원 불연속면 연결구조 해석 및 가시화 소프트웨어 모듈 개발 (Development of the 3-D Fracture Network Analysis and Visualization Software Modules)

  • 노영환;최요순;엄정기;황석연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23권4호
    • /
    • pp.261-270
    • /
    • 2013
  • 본 연구는 삼차원 지질 모델링 소프트웨어 개발의 일환으로 불연속면의 구조기하형태에 대한 삼차원적 해석 및 가시화를 수행 할 수 있는 새로운 소프트웨어 모듈을 개발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불연속면 연결구조의 삼차원 해석 및 가시화 알고리즘을 바탕으로 개발된 소프트웨어는 C++언어 기반의 MFC 및 OpenGL 라이브러리를 응용하여 Microsoft Visual Studio 상에서 제작되었다. 개발된 소프트웨어는 BOUNDARY, DISK3D, FNTWK3D, CSECT, BDM 등의 모듈을 포함하며 각각의 모듈은 해석영역 구성, 불연속면 네트워크 시스템의 가시화, 등가파이프의 산정, 단면도 작성, 시추공 자료 관리 등 절리성 암반의 삼차원 구조기하형태 해석에 관련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한다. 이 연구에서 개발한 불연속면 연결구조의 삼차원 가시화 및 해석 소프트웨어는 불연속체 기반의 암반강도 및 변형성에 관한 연구, 수리지질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및 사면안정 연구를 수행함에 있어서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판단되며 국내 소프트웨어 산업의 경쟁력을 높이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3차원 GIS에 의한 캠퍼스 시설물 관리시스템 구축 (Construction of a Campus Facilities Management System Using Three Dimensional GIS)

  • 이진덕;김기호;허찬회
    • 한국측량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측량학회 2010년 춘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367-369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campus facility management system, construct 3D graphic data and attribute data of facilities on the Kumoh National Institute of Technology and then verificate the developed system's practicability. Utilized the existing campus facility data from the existing drawings, images, cadastre records and so forth, 3D position data of underground facilities surveyed with a total station and high-resolution aerial photos, 3D realistic models were produced by means of a XD2D software and a XDWORLD Builder Professional software of GIS engines. We intend to embody not only campus guide service in virtual reality space but visualization of 3D virtual campus by providing 2D and 3D data to web space using XDWORLD server soon after. It is expected that the campus facility management system is able to contribute to the integrated management of 3D facility data service, the support of prompt decision-making related to spatial affairs, the work simplification through data holding in common between the members of the staff and so forth.

  • PDF

Data Glove를 이용한 3차원 데이터 후처리 소프트웨어의 제어 (Using Data Gloves for control of the 3-Dimensional postprocessing software)

  • 김기영;김병수
    • 한국전산유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산유체공학회 2004년도 춘계 학술대회논문집
    • /
    • pp.56-61
    • /
    • 2004
  • As the size and dimension of target problems in the field of computational engineering including CFD gets bigger and higher, it is needed to have more efficient and flexible data visualization environment in terms of software and hardware. Even though it is still manageable to use a mouse in controlling 3-dimensional data visualization, it would be beneficial to use 3-D input device for 3-D visualization. 'Data Glove' is one of the best 3-D input devices, because human hands are best tools understanding 3-D space. Signals coming from 'Data Glove' are analog and very sensitive to finger motions, so we decided to use a digital filter. This paper describes our experience and benefits of using data glove in controlling 3-Dimensional Postprocess Softwar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