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3D CG

검색결과 194건 처리시간 0.024초

발아 및 발아온도가 커피의 산화방지 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ermination and temperature on the antioxidant activity of coffee)

  • 임예서;신용국;김도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0권2호
    • /
    • pp.198-202
    • /
    • 2018
  • 커피 생두의 발아 유무와 발아온도에 따른 커피 내 산화방지물질과 산화방지 활성 변화에 대해 살펴보았다. $20^{\circ}C$ 발아 커피는 미발아 커피에 비해 총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높았고, DPPH와 ABTS 제거능 또한 높게 나타났다. $40^{\circ}C$ 발아 커피는 $20^{\circ}C$ 발아커피에 비해 총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유의적으로 낮았다. 특히, $40^{\circ}C$ 발아 커피는 미발아 커피와 비교했을 때에도 총 폴리페놀 함량이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커피 내 플라보노이드 함량과 산화방지 활성은 강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총 폴리페놀 함량은 산화방지 활성과 낮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는 미발아 커피에 비해 $40^{\circ}C$ 발아 커피에서 총 폴리페놀 함량이 유의적으로 감소했음에도 불구하고, DPPH 제거능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ABTS 제거능은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은 것과 연관된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커피 생두의 발아는 커피 내 산화방지 물질과 산화방지 활성을 높이며, 적절한 발아온도의 설정은 이러한 커피의 생리활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중요한 요소라 할 수 있다.

1-Deoxynojirimycin을 생산하는 Bacillus subtilis S10 배양액의 혈당강하 효과 (Hypoglycemic Effect of Culture Broth of Bacillus subtilis S10 Producing 1-Deoxynojirimycin)

  • 조용석;박영식;이재연;강경돈;황교열;성수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11호
    • /
    • pp.1401-1407
    • /
    • 2008
  • 본 연구는 $\alpha$-glucosidase의 강력한 효소저해제인 1-deoxynojirimycin(DNJ)을 고효율로 생산하는 균주의 선발 및 동정, 배양최적화 및 균 배양액의 혈당강하효과 등에 관하여 조사하였다. 먼저 토양으로부터 $\alpha$-glucosidase에 대해 강력한 저해능을 나타내는 9균주를 대상으로 이 중에서 DNJ 생산성이 가장 우수한 한 개 균주를 최종 선발하였고, 이 균주를 16S rDNA 염기서열분석으로 균주동정을 하여 Bacillus subtilis S10이라 명명하였다. 본 균주의 배양액을 이온교환수지법(Amberlyst 15 $H^+$ form, Dowex $1{\times}2$-100 $OH^-$ form, Amberlite CG-50 $NH_3^+$ form)에 의해 DNJ를 정제하고, 정제된 DNJ를 LC-MS로 분석한 결과 표준 DNJ와 동일한 물질임을 확인하였다. DNJ 대량생산을 위한 S10균주의 배양 최적탄소원 및 최적질소원과 이들의 최적농도를 조사한 결과 각각 1% galactose, 1.6% polypeptone임이 밝혀졌으며, 확립된 최적화 조건에서의 DNJ 생산량은 0.75 g/L이었다. 고혈당 유도 마우스를 대상으로 각종 혈당강하제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혈당치를 비교한 결과 무처리구의 혈당치 $510{\pm}10.9\;mg/dL$에 비해 acarbose 처리구는 $139.4{\pm}33.1\;mg/dL$, 누에분말 처리구는 $209.1{\pm}19.6\;mg/dL$, 그리고 S10 균주 배양액 처리구는 $208.6{\pm}39.8\;mg/dL$로써 무처리구에 비해 각각 72.7%, 59.0%, 그리고 59.1%의 혈당 억제율을 나타냈다. 이상의 연구결과 S10균주 배양액은 누에분말과 같은 수준의 고혈당 억제 및 완화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으며 향후 S10균주의 대량생산을 통해 식후혈당조절을 위한 건 강기능식품 개발이 기대된다 하겠다.

배양액이 마우스 핵이식 재구축배의 초기발생에 미치는 영향

  • 심보웅;권오용;이은화;김순희;서정선
    • 한국수정란이식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정란이식학회 2002년도 국제심포지엄
    • /
    • pp.76-76
    • /
    • 2002
  • 본 실험은 Piezo-미세조작기(PrimeTech Ltd., Japan)를 사용하여 마우스 핵이식 후 재구축배를 CZB와 KSOM 두가지 배양액을 사용하여 체외배양성적을 비교 검토하였다. MII의 미수정란은 성숙한 4~5주령 B6D2Fl에 hCG 주사 후 14시간째에 과적 방법을 통해 난관의 팽대부로 부터 회수하였고, metaphase II chromosome-spindle complex와 최소량의 세포질을 내경이 10$\mu\textrm{m}$인 피펫으로 흡입하여 탈핵하였다. 핵이식에 사용된 난구세포(8-l0$\mu\textrm{m}$)는 3시간동안 12% PVP 에처리 하여 piezo-미세조작기를 이용하여 세포질에 세포의 핵을 직접 미세주입 하였다. 핵이식 후 생존한 재구축배는 2시간동안 배양한 후 10mM SrC1$_2$와 5$\mu\textrm{g}$/$m\ell$의 cytochalasin B가 첨가된 $Ca^{2+}$-free CZB에서 6시간 활성화 처리하였다, 활성화 처리 후 위전핵이 관찰된 재구축란을 CZB 와 KSOM 배지에서 배양하면서 발달률을 비교하였고, 상실배 및 배반포배로 발달한 재구축배를 day 3 대리모에 이식하였다.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재구축배의 2-cell로의 발달률에 있어서 KSOM이 CZB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P<0.05), 또한 4-cell과 상실배/배반 포배로의 발달률에 있어서도 KSOM이 CZB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은 발달률을 나타내었다(P<0.01). 또한 KSOM 배지에서 배양된 상실배/배반포배를 대리모에 이식한 경우에 11.5 d.p.c에 생존한 태아가 관찰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핵이식 재구축배의 활성화 처리 후의 발생에는 KSOM 배지가 CZB 배지에 비하여 유효함을 확인 할 수 있었다.그와 같은 배양 기술을 이용하여 외래유전자를 도입한 일련의 결과에 관하여 보고 하고자한다., 이것은 세포내 유전자가 transfection되지 않은 세포도 neo selection에서 선발된다는 것을 제시하고 있다. 따라서 체세포를 이용한 형질전환동물 생산을 위해서는 세포내 유전자 도입과 선발 과정에서 나타난 colony에 대하여 보다 엄격한 screen을 하는 것이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로 우점하였다. 여름철 식물플랑크톤 대발생에 영향은 수온과 직산염이 중요하였으나, 부유물질 크게 기여하지 못하였다.애를 확인하고 지도 관점을 파악하는 것을 포함한다. 그러나 본 논문은 역사발생적 수학 학습-지도 원리의 실제적인 적용에 관하여는 기초적인 연구에 지나지 않기 때문에, 역사발생적 원리를 학교수학에 실제적으로 적용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내용에 대한 철저한 역사적 분석을 바탕으로 하는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TEX>구성교육${\lrcorner}$이 조선총독부의 관리하에서 실행되었다는 것을, 당시의 사범학교를 중심으로 한 교육조직을 기술한 문헌에 의해 규명시켰다.nd of letter design which represents -natural objects and was popular at the time of Yukjo Dynasty, and there are some documents of that period left both in Japan and Korea. "Hyojedo" in Korea is supposed to have been influenced by the letter design. Asite- is also considered to have been "Japanese Letter Jobcheso."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into the origin of the letter designs in t

  • PDF

난포의 크기, 호르몬의 첨가, 정액의 형태 및 수정능획득 방법 등이 소 난포란의 체외성숙 및 체외수정율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Effects of the Follicle Size, Hormone Supplementation, Semen Type and Capacitation Method on In Vitro Maturation and Fertilization Rate of Bovine Follicular Oocytes)

  • 김상근;이만휘;이봉구;박항균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237-244
    • /
    • 1990
  • These studies were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follicles size, hormone supplementation, semen types and capacitation methods on in vitro maturation and fertilization of bovine follicular oocytes. The ovaries were obtained from slaughtered Korean Native cows. The follicular oocytes surrounded with cumulus cells were recovered by aspirating follicular fluid from the visible follicles of diameter 3~5mm. The follicular oocytes were cultured in TCM-199 medium containing hormones, FCS, ECS, BFF and MCC for 24~48hrs. in a incubator with 5% CO2 in air at 38.5$^{\circ}C$ and then matured oocytes were again cultured for 18~20hrs. with motile capacitated sperm in the TCF(Tyroide calcium-free) solution containing 200$\mu\textrm{g}$/ml of heparin. The results obtained in these experimen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 1. The oocytes classified as "A, B, C, D and Degenerative" depending morphological integrity and those were 61.4%, 12.1%, 19.2%, 4.2% and 3.0% of the total oocytes recovered, respectively. The maturation and fertilization rate of the A, B, C class follicular oocytes, cultured in the TCM-199 medium supplemented with 10% FCS were 89.1%, 78.0%, 52.6% and 78.1%, 66.1%, 33.3%, respectively. 2. The average number of the follicular oocytes recovered from follicles size, 1~2mm, 3~5mm and above 5mm in dimeter were 67, 98 and 63, respectively. The maturation and fertilization rate of the follicular oocytes, cultured in the TCM-199 medium were 56.7%, 82.5%, 46.0% and 44.8%, 71.4%, 28.6%, respectively. 3. The maturation and fertilization rate of follicular oocytes, cultured in the TCM-199 medium supplemented with 5%, 10%, 15%, 20% FCS and hCG, HCG, $\beta$-estradiol were 76.0%~82.3% and 26.2%~70.0%, and those values were higher the supplementation of the hormone than the non-supplementation. 4. The fertilization and cleavage rate of the follicular oocytes, inseminated with spermatozoas of epididymis cauda, neat and frozen semen were 63.3%, 73.3%, 70.0% and 32.7%, 37.8%, 38.3, respectively. 5. The fertilization and cleavage rate of follicular oocytes, fertilized with capacitated spermatozoas by heparin, BFF and HIS methods were 70.0%, 53.8%, 34.2% and 38.3%, 23.1%, 17.1%, respectively. And the fertilization and cleavage rate were higher method of heparin than other methods.r methods.

  • PDF

Kasai 수술 후 발생한 상행성 담관염에서 경험적 항생제로서 Cefotaxime 치료의 적정성에 대한 평가 (Therapeutic Efficacy of Cefotaxime as an Empirical Antibiotic on Ascending Cholangitis after Kasai Operation for Biliary Atresia)

  • 김동호;이병섭;김윤경;고재성;이환종;서정기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5권4호
    • /
    • pp.473-481
    • /
    • 2002
  • 목 적 : 담도 폐쇄증 환아에 있어 Kasai 수술 후에 가장 흔한 합병증은 상행성 담관염이며 이는 예후에 많은 영향을 주므로 신속한 진단 및 치료가 중요하다. 상행성 담관염으로 입원하면 균이 동정되기 전 경험적 항생제를 먼저 사용하게 되는데 본 연구에서는 경험적 항생제로 cefotaxime을 사용했던 환아들의 치료에 대한 효과를 평가하여 cefotaxime의 경험적 치료로서의 적정성 여부와 상행성 담관염 환아에서의 적절한 항생제 사용의 지침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방 법 : 1991년 1월부터 2000년 12월까지 서울대학교 소아병원에서 Kasai 수술 후 발생하고 경험적 치료로 cefotaxime을 사용한 상행성 담관염이 39례였고 이를 cefotaxime과 amikacin을 병합하여 사용한 군(CA군, 24례), cefotaxime과 gentamicin을 사용한 군(CG군, 7례), 그리고 cefotaxime을 단독으로 사용한 군(C군, 8례) 세 군으로 나누었다. 상행성 담관염은 발열과 황달의 악화 또는 회색변으로 정의하였고 치료의 효과는 세 군에 있어 치료 시작 72, 120, 168시간 후 $38^{\circ}C$ 미만으로 해열되는 것으로 평가하였다. 그리고 치료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알고자 발생 연도, 발생 빈도, 발생 시기, 원인균, 혈청 총빌리루빈 등의 요인에 대해 치료 효과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 과: 항생제 치료 72시간 내에 CA군 24례 중 13례(54%)에서 해열이 되었고, CG군 7례 중 3례(43%), 그리고 C군 8례 중 4례(50%)에서 해열되었다. 세 군간 치료의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치료 후 120, 168시간 치료 효과의 평가에서도 세 군간 통계적으로 차이가 없었으며, 전체적으로 120시간에는 39례 중 27례(69%)에서, 168시간 후에는 39례 중 31례(79%)에서 해열이 되었다. 그리고, 2주 이내에 39례 중 32례(82%)에서 해열이 되었다. 항생제를 변경하거나 추가한 경우는 모두 7례였고 2주 내에 모두 해열되었다. 그리고, 항생제 치료 시작 후부터 해열될 때까지의 평균 기간은 $4{\pm}$3일(1-12일)이었다. 상행성 담관염의 원인균은 혈액 배양에서 12례 동정 되었으며, 감수성 검사상 cefotaxime에 대해 enterococcus 2례에서만 내성이 있었고 나머지 균들은 감수성이 있었다. 그리고, 항생제 치료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균의 종류, 상행성 담관염 발생 시기, 담즙 정체의 정도 등이 있었다. 결 론 : Kasai 수술 후의 상행성 담관염에서 cefotaxime이 경험적 항생제로서 적절하였으며 항생제를 시작한 후 3-5일 정도 열이 지속되더라도 환아의 상태가 양호하면 항생제를 변경하지 않고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춘잠기 강건 다수성 새로운 누에품종 (Breeding of )

  • 강필돈;김기영;성규병;김미자;지상덕;권해용;박광영;손봉희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50권1호
    • /
    • pp.1-4
    • /
    • 2012
  • 대박잠은 기존 보급 누에품종보다 화용비율이 높은 강건성 품종으로 대조 품종대비 5령 3일 유충 무게가 10% 무겁고, 전견중이 무거워 수량성이 높은 다수성 품종으로 육성하게 되었다. 이 품종의 일본종계 원종 잠155는 1999년 NB7과 NB18을 교잡 육성한 무늬 없는 품종이고 중국종계 잠156은 1999년에 도입한 CB을 선발 육성한 무늬없는 품종이다. 이 품종의 사육성적은 화용비율이 96.4%, 전견중이 2.72 g, 1만두 수견량은 25.4 kg으로 대조 품종보다 우수하였다. 실켜기 성적에서 견사장이 1,506 m, 견사량이 53.2 cg으로 1만두 생사량 4.92 kg으로 많아 우수하였고, 견사섬도는 3.19 d 이었다. 잠종생산능력은 일본종계 원종 잠155의 1나방당 산란수는 533개, 중국종계 원종 잠156의 산란수 629개로 산란성이 우수하였다.

생쥐 Preantral Follicles의 체외성장 및 성숙에 있어서 Gonadotrophins의 역할 (Effects of Gonadotrophins on In Vitro Growth and Maturation of Mouse Preantral Follicles)

  • 김동훈;지희준;강희규;한성원;이훈택;정길생;이호준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53-61
    • /
    • 1999
  • 본 연구는 생쥐 preantral follicle 의 체외성장 및 성숙에 있어서 gonadotrophins 인 FSH 와 LH 의 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FSH 첨가군들은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은 생존율과 성숙율을 나타냈으며, 100$m\ell$D/$m\ell$ 의 FSH 농도가 preantral follicle 의 체외배양에 적정한 농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2. HMG 첨가군은 FSH 첨가군보다, 통계적 유의차는 인정되지 않았지만, 높은 생존율과 성숙율을 나타냈다. 3. FSH 와 LH 의 첨가비율이 100$m\ell$U/$m\ell$ 대 10$m\ell$D/$m\ell$(10:1) 에서 가장 높은 생존율과 성숙율을 나타냈다. 4. FSH 혹은 HMG 첨가시, 정상적인 oestradiol 과 progesterone 분비양상을 나타냈으며, HMG 첨가군에서 유의하게 높은 농도의 oestradiol 과 progesterone 을 분비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gonadotrophins 은 preantral follicle 의 체외성장 및 성숙뿐만 아니라 steroidogenesis 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돼지 난포란 유래 체외수정란 생산에 대한 제요인의 영향 II. 체외성숙배양시 EGF와 COC의 수가 체외성숙, 체외수정 및 체외발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ome Factors on In Vitro Production of Embryos from Antral Follicle-Derived Porcine Oocytes II. Effects of EGF and the Number of COCs into Maturation Media on In Vitro Maturation, Fertilization and Development)

  • 연성흠;손동수;한만희;위미순;최선호;이규승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73-183
    • /
    • 2004
  • 본 연구는 pFF, cysteine, ${\beta}$-mercaptoethanol, 성선자극호르몬 등 여러 가지 체외성숙 촉진 물질이 첨가딘 성숙배양액에 EGF 첨가가 돼지 미성숙 난포란의 체외성숙에 효과적인지 또한 그 효가는 배양소적당 COC의 수에 영향을 받는지을 구명하고자 EGF의 첨가 유무와 배양소적당 COC수(50개 또는 15개)를 조합한 $2{\times}2$ 요인시험을 실시했다. 도축돼지의 난소에서 채취한 COCs를 각 처리별로 mNCSU-23 에서 성숙배양하고 mTBM에서 운동정자의 최종동도가 $1{\times}10^5$sperm/mL 의 농도로 체외수정한 다음 NCSU-23 에서 체외발달을 유도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조구와 EGF 첨가구에서 C4군의 COC 비율이 각각 41%dhk 82%로써 EGF 첨가가 난구세포의 팽화 정도를 크게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난핵포 붕괴율과 핵성숙율에서는 EGF 첨가 여부나 배양소적당 COC 수에 따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두 요인간 상호작용도 없었다. 2. 정자 침투율, 웅성전핵 형성율 및 다정자수정 발생율에서도 EGF 첨가 여부나 배양소적당 COC 수에 따른 차이가 유의적인 것이 아니었고, 두 요인간 상호작용 역시 유의적이지 않았다. 3. 난분할율에서는 처리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배반포 발달율, 배반포의 ICM 세포수, TE 세포수 및 총세포수에서는 EGF 첨가구가 모두 유의적으로 높았다(p<0.01). COC수에 따른 차이나 두 요인간 상호작용에서는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다. 결과적으로 돼지 미성숙 난포란을 mNCSU-23에서 성숙배양할 때 10 ng/mL EGF 첨가는 성숙배양 단계에서 난구세포의 팽화를 더욱 심화시키고, 발달배양단계에서 배반포의 세포수와 배반포발달율을 증가시키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체외수정시술을 위한 과배란유도에 있어 GnRH Antagonist의 임상적 효용성과 혈중 호르몬 농도의 변화 (Clinical Efficacy and Hormonal Change of GnRH Antagonist in Controlled Ovarian Stimulation for IVF-ET)

  • 문신용;천은경;김상돈;최영식;지병철;구승엽;서창석;최영민;김정구;김석현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31권4호
    • /
    • pp.225-234
    • /
    • 2004
  • Objectives: To evaluate the efficacy of GnRH antagonist cetrorelix in women undergoing controlled ovarian hyperstimulation (COH) for in vitro fertilization (IVF) and intracytoplasmic sperm injection (ICSI) and to determine changes in serum hormone concentrations during cetrorelix administration. Methods: We performed a clinical trial on 30 patients undergoing COH with highly purified follicular stimulating hormone (HP-FSH) and gonadotropin releasing hormone antagonist (GnRHant), cetrorelix. FSH was administrated from day 2 or 3 of cycle with fixed dose and adjusted according to individual response. 0.25 mg of cetrorelix was injected daily subcutaneously from stimulation day 5 until the day of hCG administration. Daily ultrasound monitoring was performed for growing follicles and serum levels of luteinizing hormone (LH), estradiol ($E_2$) and progesterone were measured daily during cetrorelix administration. Up to 4 embryos were transferred. Results: Mean age of enrolled patients was $32.0{\pm}3.4$ years (mean $\pm$ S.D.). All of 30 patients underwent oocyte pick-up, and embryo transfer was done in 28 patients. The total and mean numbers of received oocytes were 196 and $6.5{\pm}4.7$, the number of fertilized eggs was 111, and the fertilization rate was 56.6%. Total duration of FSH administration was $9.2{\pm}2.2$ days and mean of $24.3{\pm}7.7$ ampules of HP-FSH was administered. Total duration of cetrorelix administration was $5.7{\pm}1.9$ days. Serum LH and progesterone levels were maintained in the range of $1.4{\sim}2.9\;mIU/mL$ and $0.3{\sim}0.6\;ng/mL$, which respectively reflected effective prevention of premature LH surge. Clinical pregnancies were achieved in 9 patients, and overall clinical pregnancy rate was 30.0% per oocyte retrieval, and 32.1% per embryo transfer. Conclusion: GnRH antagonist is safe and convenient for COH for IVF-ET and effective with optimal pregnancy rate.

생쥐 수정란의 보조부화술에 있어서 Non-Contact Type인 Diode Laser의 이용 (Use of Non-Contact Type Diode Laser on Assisted Hatching of Mouse Embryos)

  • 김동훈;이명섭;강희규;한성원;김묘경;박원일;이훈택;정길생;이호준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26권2호
    • /
    • pp.185-192
    • /
    • 1999
  • The present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icacy and safety of laser assisted hatching (AH) on mouse embryos. Non-contact $1.48{\mu}m$ diode laser system used to create a precise hole on zona pellucida. 2-cell embryos were collected from the mice (ICR) that had the coitus vaginal plug confirmed at 48 hours after hCG injection. Collected 2-cell embryos were cultured in the HTF medium supplemented with 0.4% BSA. For experiments, embryos at 8-cell stage were used after 18-22 hours in culture. After assisted hatching, the embryos were further cultured in HTF medium containing 0.1% PVP (anti-hatching system) for 3 days. For evaluate efficiency of laser on mouse embryo hatching, the effect of AH methods (acidic tyrode, pronase and laser), the number of artificial holes (1, 2 and 3 hole) and the irradiation time of laser (2, 4, 6, 8 and 10 ms) were examined. Hatching rates of laser AH group (95.2%)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control group (50.8%), but there was no differences among the laser (95.2%), acidic tyrode (100%) and pronase (98.5%) groups. Hatching rates of the number of zona pellucida opening by laser, there were no differences among the 1 hole (87.5%),2 hole (92.1%) and 3 hole (85.9%) groups. Developmental and hatching rates of embryos according to laser irradiation time were similar in the treatment groups. Therefore, these results suggest that laser AH using non-contact $1.48{\mu}m$ diode laser is a simple and accurate and effective procedure for AH. Based on these results, laser AH could be use safely for human ART program.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