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3CL protease

검색결과 107건 처리시간 0.027초

재래식(在來式) 고추장 숙성(熟成)에 미치는 미생물(微生物) 및 그 효소(酵素)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Microflora and Enzymes Influencing on Korea Native Kochuzang (Red Pepper Soybean Paste) Aging)

  • 이계호;이묘숙;박성오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19권2호
    • /
    • pp.82-92
    • /
    • 1976
  • 재래식메주에 있어서 자연서식한 microflora의 상태에 따라 외부(外部) 내부(內部) 외부(外部)와 내부(內部)의 혼합으로 각각 3구의 재래식 고추장을 담가 숙성과정중의 제화학성분 및 미생물의 동태(動態)를 조사하고 숙성과정에 관여한 미생물을 순수분리하여 이들의 효소활성을 screening하여 우수균주를 선정 및 동정 하였으며 효소적 특성을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제화학 성분변화 (1) pH의 변화는 숙성 10일에 급격히 강하하였고 숙성 60일까지 점차 완만한 감소를 보이다가 그 이후는 약간 증가하였다. 메주외부고추장구(區)의 pH가 가장 낮았으며 메주내부고추장구(區)의 메주혼합고추장구(區)의 pH는 서로 비슷하였다. (2) 총산의 면화는 숙성 60일까지 3구(區) 공히 서서히 증가하다가 그 이후 점차 감소하였다. (3) 총질소의 변화는 숙성 60일까지 3구(區) 공히 점진 증가하다가 그후 약간 감소하였다. (4) Trichloroacetic acid에 가용(可容)인 질소의 변화는 숙성 10일에 3구(區) 공히 급격히 증가하였고 그후는 완만한 증가를 보였다. (5) amino태(態) 질소의 변화는 숙성 30일까지 3구(區) 공히 크게 증가하다가 그 이후는 완만하게 증가하였다. (6) 환원당의 변화는 숙성 50일까지 3구(區) 공히 증가하다가 그 이후는 서서히 감소하였다. 2. Microflora의 변화 (1) 호기성세균군(群), 혐기성세균군(群), mold군(群)의 변화는 숙성 $30{\sim}40$일까지 3구 공히 증가하였으나 그 이후는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2) Yeast군(群)의 변화는 3구 공히 숙성 20일까지는 보이지 않다가 pH가 5.4이하로 강하된 때부터 나타나기 시작하며 메주내부 고추장구(區)에서 처음에는 많이 나타났으나 점차로 감소하였고 메주 외부고추장구(區), 메주혼합고추장구(區)는 처음에는 적게 나타났으나 점차로 증가하였다. 3. 효소활성이 우수한 균주 및 그 효소특성 (1) amylase와 protease를 분비하는 우수균주는 Bacillus subtilis-P, Bacillus subtilis-G, Bacillus licheniformis-K, Aspergillus oryzae-B로 동정되었다. (2) amylase activity가 가장 강한 것은 Aspergillus oryzae-B였고 그 다음이 Bacillus subtilis-P Bacillus licheniformis-K, Bacillus subtilis-G의 순서였다. protease activity에 있어서는 Aspergillus oryzae-B와 Bacillus subtilis-P가 거의 비슷하게 우세하였고 Bacillus licheniformis-K, Bacillus subtilis-G의 순서였다. (3) 효소활성에 대한 식염농도 영향은 amylase가 protease보다 식염에 의한 저해를 많이 받고 있어서 고추장 식염농도인 15% NaCl에서 amylase activty는 $45{\sim}65%$, protease activity는 $40{\sim}46%$의 저해를 받았다.

  • PDF

한국 염장 발효식품으로부터 분리한 호염성 세균의 분리ㆍ동정 및 염요구성 (Identification and Salt Requirement of Halophilic Bacteria isolated from Korean Salt-Fermented Sen Foods.)

  • Bae, Moo;Song, Kyoung-Sook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5권5호
    • /
    • pp.301-305
    • /
    • 1987
  • 염장 식품인 젓갈류 15종류에서 호염성 세균을 분리하여 그들이 성장할 수 있는 NaCl 농도에 따라, 5-10% NaCl에서 잘 자라는 18균수와 10-20% NaCl 에서 더욱 잘 자라는 35균주를 구분하여, 이들을 moderate halophiles로 분류하였다. 분리한 moderate halophiles중에는 Flavobacterium-group I과 II 그러고 Pseudomonas sp.에 속하는 균주들이 있으며 이들은 3$0^{\circ}C$에서 10% NaCl을 첨가했을 때 가장 잘 성장하였다. Na 이온 대신 K 이온을 대치시켰을 때 1.5M에서는 대치가 가능하였으나 그보다 높은 농도인 2.5M 내지 3.5M에서는 대치될 수 없음을 확인하였고 Na 이온 대신 Li 이온이나 mg 이온은 생장에 적합하지 않았다.

  • PDF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Soymilk-clotting Enzyme Produced by Penicillium sp.

  • Koo, Sung-Keun;Lee, Sang-Ok;Lee, Tae-Ho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권1호
    • /
    • pp.14-20
    • /
    • 1992
  • Some microorganisms isolated from soil, including some bacteria and fungi, were found to secrete an extracellular soymilk-clotting enzyme. Among them, an isolated fungus showed the highest soymilk-clotting activity and the strain was assigned to genus Penicillium based on its cultural an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designated as Penicillium sp. L-151K. Soymilk-clotting enzymes A and B produced by Penicillium sp. L-151K were purified by ammonium sulfate precipitation and chromatographies on Sephadex G-25, CM-Sephadex, Sephadex G-100 and phenyl-Toyopearl gel. The two purified enzymes A and B were found to be homogeneous by 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at pH 9.5. The molecular weights of enzyme A and B were 24, 000 and 40, 000, respectively, by gel filtration on Sephadex G-100. Enzymes A and B coagulated soymilk optimally at $60^\circ{C}$ and were stable up to $50^\circ{C}$. Both enzymes were most active at pH 5.8 for soymilk coagulation, and were stable with approximately 80% of original activity from pH 3.0 to 5.0. Each enzyme was an acidic protease with an optimum pH of 3.0 for casein digestion. The soymilk-clotting efficiency of these enzymes was improved with $CaCl_2\;or\;MgCl_2$ when making soymilk-curd.

  • PDF

Streptomyces rimosus가 생산하는 Protease의 정제와 특성 (Purification and Properties of Extracellular Protease from Streptomyces rimosus)

  • 김경미;이태경;양한철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7권5호
    • /
    • pp.407-411
    • /
    • 1989
  • Oxytetracycline 생산균주인 Streptomyces rimosus를 maltose 2%, NH$_4$Cl 0.5%, yeast extract 0.4 %, MGSO$_4$.7$H_2O$ 0.2% 조성의 배지를 배양초기 PH 6.5로 하여 3$0^{\circ}C$, 72시간 진탕배양하여 얻은, 세포외 protease를 유안분획, Sephadex A-50 이온교환, Sephadex G-100 gel 여과를 행하여 정제하였다. 효소의 최적온도는 5$0^{\circ}C$이며, 최적 pH는 8.0이었으며, Co$^{2+}$ 이온에 의해 활성화되며 Hg$^{2+}$, Fe$^{2+}$ 및 EDTA에 의해 저해를 받으며 casein 분자량을 23,600으로 추정하여 구한 Km값은 2.7$\times$$10^{-4}$M이었다.

  • PDF

해수에서 분리한 Micrococcus sp. PS-1이 생산하는 단백질 분해효소의 생산과 효소학적 특성 (Produc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lkaline Protease of Micrococcus sp. PS-1 Isolated from Seawater)

  • 진영랑;유선녕;김광연;김상헌;박슬기;김현경;이용석;최용락;지재훈;안순철
    • 생명과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273-281
    • /
    • 2013
  • 본 연구는 부산 인근의 해수욕장에서 얻은 해수에서 protease를 생산하는 균주를 분리하여 동정하고 균주의 배양학적인 특성과 protease의 효소학적 특성을 확인하였다. 해수에서 분리한 protease를 생산하는 미생물은 16S rDNA sequencing을 통해 Micrococcus sp. PS-1으로 동정하였다. Protease 생산의 최적조건은 2% skim milk와 1% NaCl이 포함된 pH 7.0의 LB배지에 48시간 배양이었다. 효소의 부분정제를 위해 ultrafiltration과 acetone 침전법을 사용하였고, zymography를 통해 분자량이 35.0 kDa과 37.5 kDa인 protease를 확인하였다. 또한 효소의 최적 활성은 pH 9.0와 $37^{\circ}C$에서 나타났고, 효소는 pH 8.0에서 11.0까지, $25^{\circ}C$에서 $37^{\circ}C$까지 80% 이상의 효소활성이 유지되어 안정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PMSF, EDTA 처리시 protease가 저해되는 것을 통해 alkaline metallo-serine protease로 확인되었다.

임상검체에서 분리된 Serratia sp. 2000-1에 의한 Pretense의 생산 및 효소학적 성질 (The Production and Properties of Pretense by Serratia sp. 2000-1 Isolated from Clinical Specimes)

  • 김태전;김승곤;김상택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209-221
    • /
    • 2000
  • 본 논문은 환자들의 병소에서 채취된 가검물에 존재하는 미생물들 가운데 pretense을 분비하는 균주들을 분리하고, 그 가운데 가장 효소생산력이 우수한 균주를 선정하여 가정용 Protease 세제생산에 활용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그들이 생산하는 protease의 기초적 생산조건 및 부분적 효소학적 특성 등에 관한 실험에서 얻은 결과들을 보고하고자 작성되었다. Serratia sp. 2000-1로 동정된 본 실험 균주가 생산하는 protease의 기초적 생산조건과 부분적 효소학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 효소생산을 위한 최적 배지에 탄소원과 질소원 그리고 금속염의 종류와 농도는 각각 Glucose 1.5%, C.S.P 2.0%, CaCl$_2$ 0.1%였다. 그리고 최적 배양온도는 3$0^{\circ}C$, 초발 pH는 8.0, 배양시간은 72시간 이었다. Protease의 정제는 ammonium sulfate precipitation, DEAE-cellulose, Sephadex G-200 column을 통하여 분리 정제하였으며 이때 최종 효소수율은 14.4%, 효소 비활성도는 약 29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효소 작용의 최적온도와 pH는 35$^{\circ}C$와 pH 8.0으로 나타났고, 효소 작용의 열과 pH에 대한 안정성은 4$0^{\circ}C$와 pH 6~10까지는 효소의 활성이 비교적 안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금속이온들 중 $Mg^{2+}$, $Ba^{2+}$, $Ca^{2+}$, Mn$^{2+}$은 효소활성을 촉진하나 Hg$^{2+}$, Ag$^{2+}$, Cu$^{2+}$는 효소활성을 저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효소활성 저해제들 중에는 SDS가 가장 강하게 효소활성을 저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소화 효소 저항성을 지니는 팥 단백질의 성질 규명 (Ident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rotease-Resistant Proteins from Adzuki Beans)

  • 송은정;박선민;왕췬;임진규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32권3호
    • /
    • pp.149-154
    • /
    • 2014
  • 1. Pepsin과 pancreatin 소화물들을 비교한 결과, 순수한 팥 단백질 중에서 소화효소 저항성을 가지는 단백질이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2. 팥의 주요 단백질을 제거하고 pepsin과 pancreatin으로 소화시켰을 때 더 많은 분해가 일어나는 것으로 보아 팥의 주요단백질들 중에 소화효소 저항성을 가지는 것이 많을 것이라 추측된다. 3. 팥의 주요 단백질들은 장 점막세포와는 크게 작용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4. 팥 단백질의 데이터베이스 구축과 팥 단백질이 다른 영양소들과의 상호작용을 하는 지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Rhizopus japonicus S-62가 생성(生成)하는 단백질분해효소(蛋白質分解酵素)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Proteolytic Enzyme Produced by Rhizopus japonicus S-62)

  • 정만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31-35
    • /
    • 1977
  • Rhizopus japonicus S-62가 생산(生産)하는 acid protease에 관(關)한 연구(硏究)로서, 효소(酵素)의 생산조건(生産條件) 및 조효소(粗酵素)의 특성(特性)을 검토(檢討)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밀기울에 배양(培養)하는 경우 최적배양(最適培養) 시간(時間)은 48시간(時間) 첨수량(添水量)은 $100{\sim}120%$이었다. 2. 각종(各種) 배지중(培地中) 밀기울 배지(培地)가 가장 우수(優秀)하였다. 3. 밀기울에 sucrose, fructose, $NH_4Cl$, $NaH_2PO_4$의 첨가(添加)는 protease생산(生産)을 크게 증가(增加)시켰다. 4.본효소(本酵素)의 작용최적(作用最適)pH는 $2.4{\sim}2.6$, Opt. temp.는 약(約) $40^{\circ}C$, 안정(安定) pH 범위(範圍)는 $2.5{\sim}5.0$이고, $40^{\circ}C$이하(以下)에서는 안정(安定)하나 그 이상(以上)의 온도(溫度)에서는 급격(急激)하게 불활성화(不活性化)되었다.

  • PDF

국내산 무화과에서 추출한 protease 조효소액의 안정성과 최적화에 관한 연구 (Stabilizing and Optimizing Properties of Crude Protease Extracted from Korean Figs)

  • 김미현;노정해;김미정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9-37
    • /
    • 2011
  • 국내산 무화과(Ficus carica L.) 중의 조효소를 추출하고 단백분해 조효소의 활성도를 측정하였다. 무화과를 균질화하여 원심분리한 조효소액은 41.15 mM/g fig의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단백질 침전 후 조효소액은 17.65 mM/g fig의 활성을 나타내었다. 무화과 조효소액의 기질 특이성은 casein > egg white > BSA > myofibrilar protein > collagen > elastin 등의 순이었다. 무화과 단백질 분해 조효소의 안정성을 보면 pH 6.5~9.0에서 안정하며 pH 2~3의 강산에서는 실활하였다. 또한 $60^{\circ}C$까지는 역가의 변화가 거의 없으며 그 이상의 온도에서는 급격히 활성의 감소를 보이고 있다. 염에 대해서는 0.7 M 정도의 소금 농도에서까지는 비교적 안정하나 그 이후로는 안정성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효소활성에 대한 pH의 영향을 보면 pH 7~8에서 높은 활성을 나타냈으며 근원섬유에 대한 단백 분해능이 pH에 매우 민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무화과 단백질 분해 조효소의 활성은 $40^{\circ}C$ 이후부터 조효소의 활성이 증가하기 시작하여 $60^{\circ}C$에서 최적 활성을 나타내었고 그 이상의 온도에서 점차적으로 다시 감소하였다. $80^{\circ}C$에서도 근원섬유에 대한 단백 분해활성은 최고치에 비해 50% 정도에 해당하는 것으로써 무화과 조효소가 비교적 온도에 민감하지 않았다. 또한 염 농도는 최적 활성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무화과를 사용한 sauce 등을 제조할 때에 이러한 특성들을 이해한다면 우리나라 육류 요리용의 우수한 연육제품을 제조할 수 있을 것이다.

Whole Chicken Feather-Degrading Keratinolytic Protease 생산균주의 분리 및 특성 (Selection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of Whole Chicken Feather-Degrading Bacterium, Bacillus sp. SMMJ-2)

  • 박성민;정혁준;유대식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7-14
    • /
    • 2006
  • 가금류의 feather은 전 세계적으로 발생되지 않는 지역이 없을 만큼 광범위하게 발생되어지는 폐기물로써, 현재까지 많은 연구자들에 의하여 그 이용성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지고 있다. 그러나 disulfide 결합, 수소결합 및 이온결합에 의하여 매우 강한 결합력을 가지는 feather 구성 단백질의 화학적인 성질 때문에 분해하여 사용하기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 가금류 폐기물을 이용한 사료의 제조과정에서 가열 및 가압 등의 과정을 거치면서 아미노산의 손실이 발생하고 낮은 소화율 등이 문제로 야기되어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으로 미생물이 생산하는 keratinolytic protease를 이용하고자 산업적으로 이용 가능성을 가지는 균주를 분리하였다. 토양 시료로부터 Bacillus sp. SMMJ-2, FL-3, NO-4 및 RM-12 4종의 keratinolytic protease 생성균을 분리하였다. 이 균주들은 5.0% skim milk agar plate에서 높은 protease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2.0% whole chicken feather agar plate에서도 많은 점질성의 물질을 생산하였다. Keratinolytic protease 생산을 위하여 배지4($0.7%\;K_{2}HPO_{4},\;0.2%\;KH_{2}PO_{4},\;0.1%$ fructose, 1.2% soybean meal, $0.01%\;Na_{2}CO_3$, pH 7.0)에서 Bacillus sp. SMMJ-2에 의한 keratinolytic protease의 생산을 조사한 결과, 배양 3일에 가장 높은 keratinolytic protease 활성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Basal medium(0.05% NaCl, $0.03%\;Na_{2}HPO_{4},\;0.04%\;NaH_{2}PO_{4},\;0.5%$ whole chicken feather, pH 7.0)에 유일한 탄소 및 질소원으로 whole chicken feather를 첨가하고 배양한 결과, $30^{\circ}C$에서 일주일 이상 배양하였을 때 feather은 모두 분해되었으나 깃대는 분리하지 못하였고 배지 4에 질소원으로 1.2% whole chicken feather를 첨가하였을 때 40시간 이내에 깃대를 포함한 feather를 모두 분해하였다. Bacillus sp. SMMJ-2에 의한 keratinolytic protease의 생산은 접종 후 9시간이 지나면서 생산되기 시작하여 24시간 동안 배양하였을 때 최대 활성의 86%를 나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Bacillus sp. SMMJ-2에 의하여 생산되어지는 keratinolytic protease 활성은 $30^{\circ}C$, 180 rpm으로 3일간 배양했을 때 106 units/ml/min 이였으며, protease 활성은 540 units/ml/min을 나타내었다. 온도와 pH에 대한 효소의 안정성은 $50\%$ acetone을 이용하여 분리한 효소로 조사한 결과, $30{\sim}50^{\circ}C$까지는 80% 이상의 잔존효소활성을 나타내었고, $60^{\circ}C$ 이상에는 20분간 열처리로 효소가 거의 실활 되었다. 효소의 pH 안정성은 pH $6.0{\sim}12.0$에서는 비교적 안정한 것으로 조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