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35% phosphoric acid etching

검색결과 29건 처리시간 0.023초

자가 산부식 접착제를 이용한 치면열구전색의 미세누출 평가 (THE EVALUATION OF MICROLEAKAGE OF PIT AND FISSURE SEALANT BY USAGE OF SELF-ETCHING ADHESIVE SYSTEM)

  • 김현진;이난영;이상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216-224
    • /
    • 2008
  • 자가 산부식 접착제는 산부식 과정 후 수세없이 와동을 충전할 수 있다. 움직임이 많고 행동 조절이 어려운 환자의 경우 시술의 절차를 줄일 수 있는 자가 산부식 접착제가 치면열구전색제의 사용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그러나 법랑질에 대한 산부식 능력이 인산에 비해 낮아서 충분한 부식이 일어나는지에 대해 논란이 되고 있다. 이에 대해 자가 산부식 접착제의 약한 산부식능을 감안하여 열구성형술과 acidic primer의 도포 시간을 증가시키는 등의 임상 술식을 시행하고 자가 산부식 접착제의 단점이 보완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35% 인산으로 산부식 후 전색술을 시행한 경우와 자가 산부식 접착제를 사용하여 도포한 경우의 미세 누출도를 염색액의 침투도를 비교하고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한 산부식상 관찰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열구 성형술을 시행 후 자가산부식접착제를 도포한 군은 인산 부식 20초를 시행한 군과 자가산부식접착제를 20초, 40초 도포한 군보다 미세누출도가 더 낮았다. 2. 자가산부식접착제를 제조 회사의 지시에 따라 20초간 도포한 군과 40초로 늘려 도포한 군 간에 미세누출도의 유의차가 없었다. 3. 주사전자현미경 관찰 시 전형적인 산부식 양상은 인산부식 20초군에서만 관찰되었으며 열구성형술을 시행하고 자가산부식접착제를 도포한 군이 자가산부식접착제만 20, 40초 도포한 군보다는 표면 거칠기가 증가하였다.

  • PDF

Evaluation of different enamel conditioning techniques for orthodontic bonding

  • Turkoz, Cagri;Ulusoy, Cagri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32-38
    • /
    • 2012
  •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effects of different enamel conditioning techniques for bracket bonding. Methods: Ninety-one human premolars were randomly divided in six groups of 15 specimens each. The enamel surfaces of the teeth were etched with 35% orthophosphoric acid in Group 1, with a self-etching primer in Group 2, sandblasted in Group 3, sandblasted and etched with 35% orthophosphoric acid in Group 4, conditioned by Er:YAG laser in Group 5 and conditioned by Er:YAG laser and etched with 35% phosphoric acid gel respectively in Group 6. After enamel conditioning procedures, brackets were bonded and shear bonding test was performed. After debonding, adhesive remnant index scores were calculated for all groups. One tooth from each group were inspected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for evaluating the enamel surface characteristics. Results: The laser and acid etched group showed the highest mean shear bond strength (SBS) value ($13.61{\pm}1.14$ MPa) while sandblasted group yielded the lowest value ($3.12{\pm}0.61$ MPa). Conclusions: Although the SBS values were higher, the teeth in laser conditioned groups were highly damaged. Therefore, acid etching and self-etching techniques were found to be safer for orthodontic bracket bonding. Sandblasting method was found to generate inadequate bonding strength.

CPP-ACP 적용이 치면열구전색제의 결합강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PP-ACP PRE-TREATMENT ON BOND STRENGTH OF A SEALANT)

  • 공은경;정상혁;마연주;안병덕;정영정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445-452
    • /
    • 2010
  • 최근 CPP-ACP의 초기 우식증의 재광화 및 예방 효과에 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CPP-ACP 적용으로 인한 법랑질 산부식 저항성 증가가 치면열구전색제 접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CPP-ACP의 치면 도포 여부와 치면열구전색제의 접착 방법의 차이가 법랑질과 치면열구전색제의 결합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미세전단결합강도 측정법으로 알아보고자 하였다. 건전한 제3대구치를 사용하여 150개의 시편을 제작하였으며, 다음과 같이 6군으로 나누었다. I군: 인공타액에 2주 보관 후 35% 인산 산부식 II군: 인공타액에 2주 보관 후 35% 인산 산부식 + 접착제 III군: 인공타액에 2주 보관 후 자가 부식 접착제 IV군: CPP-ACP 2주 적용 후 35% 인산 산부식 V군: CPP-ACP 2주 적용 후 35% 인산 산부식 + 접착제 VI군: CPP-ACP 2주 적용 후 자가 부식 접착제 6군의 시편에 치면열구전색제 접착 후 미세전단결합강도를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CPP-ACP 적용은 전통적인 산부식 방법으로 치면열구전색제를 접착하는 경우에는 결합강도와 산부식 양상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나, 자가 부식 접착제를 사용한 경우에는 치면열구전색제의 결합강도를 약화시켰다.

Structural study of the acid conditioned sclerotic of dentin of non-carious cervical lesions

  • Park, Jeong-Kil;Hur, Bock
    • 대한치과보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치과보존학회 2003년도 제120회 추계학술대회 제 5차 한ㆍ일 치과보존학회 공동학술대회
    • /
    • pp.624-624
    • /
    • 2003
  • I.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ultrastructure of sclerotic dentin of non-carious cervical lesions after acid etching. II. Materials and methods Teeth with non-carious cervical lesions were collected and dentinal surfaces were acid etched with 35% phosphoric acid. The micromorphological features of peritubular dentin and intra-tubular calcific structure were observed with scanning electron microscope.(omitted)

  • PDF

유전치 Resin Infiltration을 위한 표면처리 방법의 대안 (Alternative Pretreatment Methods for Resin Infiltration in Primary Anterior Teeth)

  • 이은경;신종현;김지연;정태성;김신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179-184
    • /
    • 2018
  • 본 연구는 유전치 순면의 백색병소에 대한 표면처리 방법에 따른 레진 침투법의 침투 깊이를 공초점 레이저 주사 현미경으로 조사함으로써, 유치의 초기 우식병소에 대한 레진침투법 적용 과정에서, 염산 이외의 대안적 표면처리 방법을 모색할 목적으로 시도되었다. 15% 염산 단독으로 2분간 산부식 한 대조군과 35% 인산 단독으로 2분간 산부식을 시행한 I군 간의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하지만 이 두 그룹과 인산 산부식 전 치면세마용 퍼미스 또는 연마용 metal strip으로 표면 전처리를 한 그룹 간에는 레진 침투율에서 유의한 차이를 확인하였다(p < .05). 유전치 초기 우식 병소에 레진 침투법을 시행할 때에는 35% 인산 단독 산부식만으로도 15% 염산을 이용한 산부식에 비견할 만한 침투 효과를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레진의 침투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산부식 전 병소 표면에 기계적 마모술을 적용하는 것이 효과적인 방법이 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방법은 소아치과 영역에서 레진침투법을 사용하기에 비교적 안전하고 쉽게 활용할 수 있는 표면처리 방법이라 볼 수 있다.

우식예방을 위한 레진 충전물의 주사전자현미경적 연구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IC STUDY OF PREVENTIVE RESIN RESTORATION)

  • 김혜숙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57-74
    • /
    • 1984
  • The purpose of this descriptive in vitro study were to evaluate the enamel-resin interface of the preventive resin restoration with regard to etching patterns and resin-tag morphology by means of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ree basic etching patterns were appeared simultaneously in a same microscopic section, in concentration between 20-50% phosphoric acid. 2. In 35% orthorhosphoric acid group etched for 60 second, the etching pattern was most prominent and demonstrate closely interdigitated with enamel-resin interface without the evidence of microspace, and the resin tags were longest ranged from 10-15 um in length. 3. This pattern of interface could reduce the incidence of marginal leakage and 2ndary caries formation. 4, The preventive resin restoration could serve as sealing a questionable occlusal surface.

  • PDF

글라스 아이오노모 시멘트의 상아질 접착에 관한 주사전자현미경적 연구 (Sem Study of the Adhesion of New Glass Ionomer Cements to Dentin)

  • 박재석
    • 대한심미치과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42-47
    • /
    • 1998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compare the bonding mechanism of glass ionomers. In this study, hybrid glass ionomers were used for restoration(Fuji II LC, GC, Japan) as the material of choice. Two different etching solutions were used in this study, 35% phosphoric acid and 10% polyacrylic acid. The effect of two different conditioners to dentin surface of a primary molar was studied and compared by using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Further, the interface of the dentin surface and the hybrid glass ionomers were examined.

  • PDF

유아기우식증 치료를 위한 레진침투법에서 제단백제재의 사용 (A Modified Pretreatment with Deproteinization for Resin Infiltration in Early Childhood Caries)

  • 남시연;신종현;정태성;김신;김지연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290-298
    • /
    • 2018
  • 이 연구는 유전치 비와동성 우식 병소에 레진침투법을 시행할 때 sodium hypochlorite(NaOCl) 제단백 후 phosphoric acid($H_3PO_4$) 산부식 처리에 따른 법랑질 표면구조 및 레진 침투깊이 변화를 알아보았다. 90개의 발치된 비와동성 병소의 유전치를 전처리에 따라 5개 군으로 나누었다 : I군 hydrochloric acid(HCl) 2분; II군 NaOCl 1분, $H_3PO_4$ 1분; III군 NaOCl 2분, $H_3PO_4$ 1분; IV군 NaOCl 1분, $H_3PO_4$ 2분; V군 NaOCl 2분, $H_3PO_4$ 2분. 그 중 15개는 전계방사주사전자현미경을 통해 표면을 관찰하였고, 75개는 레진침투 후 공초점레이저주사현미경을 통해 병소 깊이와 레진 침투깊이를 측정하여 레진 침투도를 도출했다. NaOCl 적용 시간이 길어질수록 법랑질 산부식 I, II형 비율이 증가하였다. 레진 침투도는 V군이 II, III군에 비해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높았고(p < 0.05), IV, V군은 유의할 만한 차이가 없었다. 레진침투법은 유전치 초기 우식 병소의 치료로 사용될 수 있으며, 전처리 제로 15% HCl 산부식 대신 5.25% NaOCl 제단백 후 35% $H_3PO_4$ 산부식이 대안으로 고려될 수 있다.

복합레진의 수리 시 표면처리가 결합강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URFACE TREATMENTS ON THE REPAIR BOND STRENGTH OF COMPOSITES)

  • 최정인;김영재;김정욱;이상훈;김종철;한세현;장기택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692-699
    • /
    • 2008
  • 본 연구의 목적은 표면처리가 기존의 레진과 새로운 레진 사이의 전단결합강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 것이다. 준비된 레진 시편을 6군으로 임의로 배분하여 각각의 표면처리를 한 후 수리용 레진을 축조하였다. 일주일간 보관 후 전단결합강도 를 측정하였고 일원분산 분석법으로 통계처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3군과 4군(air abrasion)은 1군(산부식)에 비해 전단결합강도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05). 5군과 6군(diamond bur)은 1군(산부식)에 비해 높은 전단결합강도를 나타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p>0.05). 2. 2군(자가부식 접착제)은 1군(산부식)에 비해 전단결합강도가 낮게 나타났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05). 3. 3군(air abrasion)과 4군(air abrasion+산부식)에서 전단결합강도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p>0.05). 4. 5군(diamond bur)과 6군(diamond bur+산부식)에서 전단결합강도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p>0.05). 결론적으로, 복합레진의 수리 시 air abrasion으로 표면처리를 했을 때의 결합강도가 가장 높았고, 산부식 방법과 처리여 부는 수리강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 PDF

One-bottle 상아질 접착제의 전단결합강도와 접착성에 관한 부식시간의 효과 (THE EFFECT OF ETCHING TIME ON SHEAR BOND STRENGTH AND ADAPTIBILITY OF ONE-BOTTLE DENTIN ADHESIVE)

  • 박광수;박일윤;조영곤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24권1호
    • /
    • pp.240-250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different etching time on the shear bond strength and adaptibility of composite to enamel and dentin when used one-bottle adhesive Prime & Bond$^{TM}$ 2.0. The proximal and occlusal surfaces of 88 extracted human molars were ground to expose enamel(n=44) and dentin (=44) using diamond wheel saw. Teeth were randomly assigned to four test groups(n=11) and received the following treatments : Control group were conditioned with 36% phosphoric acid for 20 sec. according to the manufacturer's directions. Experimental 10 sec. group, 30 sec. group and 60 sec. group were conditioned with 36% phosphoric acid for 10 sec., 30 sec. and 60 sec., respectively. Teeth were rinsed and dried for 2 sec. Prime & Bond$^{TM}$ 2.0 were applied according to the manufacturer's directions and Spectrum$^{TM}$ TPH composite resins were bonded to enamel and dentin surfaces. All specimens were stored in distilled water for 24 hours. Eighty specimens were sheared in a Universal Testing Machine with a crosshead speed of 5mm/minute. One way ANOVA and LSD test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of the data. Failure modes of all specimens after shear bond strength test were examined and listed. Also, representive postfracture modes and eight specimens were examined under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shear bond strength to enamel was the highest value in 30 sec. group (20.68${\pm}$8.54MPa) and the lowest value in 10 sec. group (14.92${\pm}$6.07MPa), so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of shear bond strength between two groups (p<0.05).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other groups (p>0.05). With longer etching time to enamel from 10 sec. to 30 sec., higher the shear bond strength was obtained, but the shear bond strength was decreased at 60 sec. etching time. 2. The shear bond strength to dentin was the highest value in control group (13.08${\pm}$6.25MPa) and the lowest value in 60 sec. group (9.47${\pm}$3.35MPa),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all groups (p>0.05). The eching time over 20 sec. decreased the shear bond strength to dentin. 3. In SEM observation, the enamel and resin interfaces were showed close adaptation with no relation to etching time of enamel. And the dentin and resin interfaces were showed close adaptation at 20 sec. and 30 sec. etching time, but showed some gaps at 10 sec. and 60 sec. etching time. Accordingly,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a appropriate etching time in Prime & Bond$^{TM}$ 2.0 was required to be 30 sec. in enamel and 20 sec. in dentin for the high shear bond strength and good adaptation between the composite resin and tooth substanc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