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30-40대 남성(男性)

검색결과 129건 처리시간 0.023초

A Study on the Wearing Satisfaction of Men's Upper Body Correction Underwear

  • Han, Hyun-Sook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7권8호
    • /
    • pp.161-168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20대 경도비만 남성을 대상으로 시판 남성용 상체 보정속옷에 대한 착용만족도를 알아보고 개선점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피험자는 20대 남성이면서 BMI지수가 25~30인 (경도비만)인 사람으로 15명을 선정했다. 연구 결과, 남성들의 보정속옷에 대한 인지도와 관심도는 낮은 편이었다. 착용 만족도 조사에서는 입고 벗을 때 불편하다고 부정적으로 답한 사람이 많았다. 압박감면에서는 초반에는 압박감이 강하다고 느끼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익숙진다고 하였다. 답답함과 더위와 관련하여 부정적으로 응답한 사람이 과반을 넘었고 땀 흡수 및 배출과 관련해서도 부정적인 의견이 많았다. 시각적인 부문에서는 가슴 보정, 허리 옆부분 보정, 허리 앞부분에서 모두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남성용 상체 보정속옷의 개선점은 과한 압박감이 가져다주는 답답함과 소화불량, 여름철을 고려하여 더위와 땀과 관련한 기능성 부분인 것으로 나타났다.

30~40대 비만 남성의 슬랙스 패턴개발을 위한 하반신 체형분류 (Body Shape Classification of the Lower Body of Obese men in their 30's and 40's for Slacks Pattern Development)

  • 신선미;도월희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308-317
    • /
    • 2019
  • This study provided data for classifying and characterizing the lower half of the body shape for obese adult men in their 30s and 40s. Data of 492 adult males who were obese with a WHO criteria of >25 BMI were used for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Six factors extracted from the factorial analysis as independent factors for cluster analysis wer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Type 1 (65.4%) had the lowest height of the lower half of the body with short circumference and length. Type 2 (20.3%) had the lowest height of the lower half of the body with the largest thickness, width and circumference from the back to the hip, but short in length. Type 3 (14.2%) had the lowest height of the lower half of the body with medium height and waist-height; however, the curve from the waist to the hip was the largest with the largest waist circumference, hip circumference, and width and thickness of the lower half of the body. This study will help to design a slack pattern that utilizes body shape characteristics of men in their 30s and 40s. In a follow-up study, we analyze the slack pattern and educational pattern by the company and study the necessity for a slack pattern for obese males.

농촌지역과 어촌지역 주민들의 건강행태 비교 (The Comparison of Health Behaviors Between Fishing Area Residents and Agricultural Area Residents)

  • 남해성;이정애;신준호;손명호;권순석;나백주;김순영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27권1호
    • /
    • pp.33-50
    • /
    • 2002
  • 어촌주민의 건강행태를 농촌주민과 비교하기 위해 1998년 11월부터 1999년 4월까지의 기간 동안 어촌지역(고흥군 2개면) 503명, 해안지역으로부터 근거리 농촌지역(고흥군 3개면) 775명과 원거리 농촌지역(곡성군 2개면, 남원시 2개면) 1,425명을 조사하였다. 연령보정 후 대조지역인 근거리 및 원거리 농촌지역과 비교할때 어촌지역 30세 이상 주민들은 다음과 같은 건강행태의 차이를 보였다. 1. 어촌 남성의 과음자율은 근거리 및 원거리 농촌지역 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더 높았으며 금주시도율은 유의하지는 않지만 더 낮았다. 그 중에서도 특히 어촌지역의 30-49세 연령층이 가장 높은 음주율을 보였고, 70세 이상이 가장 낮은 금주시도율을 보였다. 반면 어촌 여성의 음주율은 원거리 농촌보다 유의하게 더 낮았다. 2. 어촌 남성의 매일 흡연율 및 금연시도율은 농촌지역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다만 70세 이상 어촌 남성의 흡연율이 근거리 및 원거리 농촌지역보다 유의하게 더 높았고, 50대 이상 어촌 남성의 금연시도율이 원거리 농촌지역보다 유의하게 더 낮았다. 어촌 여성의 흡연율은 원거리 농촌지역보다 유의하게 더 낮았다. 3. 어촌 남성의 저염식 시도율은 원거리 농촌 남성보다 더 낮았으나 유의하지는 않았다. 여성의 경우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4. 어촌지역의 과체중률은 남녀 모두 농촌지역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5. 어촌 남성의 운동실천율은 원거리 농촌지역보다 더 낮았으나 유의하지는 않았다. 어촌 여성의 운동실천율은 원거리 농촌보다 유의하게 더 낮았다. 6. 어촌지역의 혈압측정률은 남녀 모두 농촌지역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어촌지역을 중심으로 한 지역단위 건강증진사업을 실시하는 경우에는 본 연구의 결과에서 나타난 농촌지역과의 차이점을 고려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여성보다는 남성의 건강행태에 더 관심을 두어야 하며 특히 30-40대 남성의 음주문제, 전체 주민의 운동행태에 대한 검토가 있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운동과 영양 조절이 남성 연령별 체조성 및 비만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xercise and Nutrition on Male Body Composition and Obesity)

  • 허만규
    • 생명과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45-51
    • /
    • 2019
  • 본 연구는 운동과 영양 조절을 통한 남성 체 구성을 조사하였다. 훈련을 수행하는데 문제가 없는 건강한 40명을 임의로 선정하여 20명에게는 운동과 영양조절 그룹으로 선정하였고, 나머지 20명에게는 운동만 6개월간 수행하도록 하였다. 실험조건 동안 운동강도를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해 최대산소 소모량($VO_2$ max)을 측정하였다. 운동과 영양조절일 실시한 20대 남자와 운동만 수행한 남자는 6개월 후 체중이 2.3 kg과 0.4 kg이 감소하였다. 0~3개월 간 실시한 결과에서 체중 측정값에 p값은 0.697이였으며, 3~6개월 측정값의 p값은 0.535로 나타났고, 0~6개월 측정 값의 p값은 0.617로 나타났다. 20대의 골격근은 약간 증가하였다. 30대의 체중은 6개월 후 운동과 영양조절 그룹이 4.0 kg, 운동만 수행한 그룹에서 1.3 kg이 감소하였다. 비록 체중의 감소는 골격근의 증가와 연관성이 있지만 유의성은 없었다. 체중의 변화는 지질 감소와 수분(세포 내 및 세포 간 수분) 감소와 연관이 있었다. 30대를 제외한 20대, 40대, 50대의 체중 감소는 있었지만 유의성은 없었다.

3D체표면 입체형상을 활용한 20~40대 성인남성의 체형유형별 타이트 핏 토르소원형 설계 (Development of tight-fit torso patterns for adult males somatotype 20s~40s using 3D somatic surface shape)

  • 홍은희
    • 복식문화연구
    • /
    • 제29권6호
    • /
    • pp.904-921
    • /
    • 2021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body type suitable for adult men aged from their 20s to their 40s and to present a method of drafting related patterns. To this end, the somatic surface pattern data from previous studies were used. The research method involved drafting torso patterns for each type by setting and distributing the ease to the somatic surface pattern. Appearance evaluation was performed with virtual clothing. Then, the torso pattern for each body type was completed and presented as a draft method. SPSS was used for data analysis in this study.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Types 1, 2, and 3 were set to 7%, 6%, 5%; 7%, 6%, 4%; and 6.5%, 7%, and 6% for chest, waist, and hip circumference measurements, respectively. The ratio of front to back was 50%:50%, 50%:50%, and 50%:50% of the spare for each body part for Type 1; 70%:30%, 50%:50%, and 60%:40% for Type 2, and 60%:40%, 70%:30%, and 60%:40% for Type 3. A tight-fit torso pattern for each body type suitable for adult males in their 20s to 40s was drafted, which was modified and supplemented through the evalu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virtual wear. Considering the practicality of this approach, for generalization of the patterns, the items of the pattern were converted into a drafting method and presented as a draft method.

경추 정면 검사에서 방사선 입사각에 관한 연구 (A Study of Radiation Incidence Angle in Anteroposterior Cervical Vertebra Examination)

  • 정성운;임청환;한범희;정홍량;주영철;박미자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35권2호
    • /
    • pp.83-92
    • /
    • 2012
  • 경추 정면 방사선검사시 하악골, 후두골의 겹침방지, 경추 추체의 배열 및 관절의 형태 등을 관찰하기 위하여 X선 입사각을 머리 방향으로 $15{\sim}20^{\circ}$를 주고 있는 것이 보편적이다. 하지만 한국인의 체형에 맞는 입사각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에 적합한 입사각을 찾고, 방법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입사각을 측정하기 위하여 서산에 위치한 S병원을 내원한 환자 1,044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제 2번~제 5번 경추의 길이, 피사체-영상판 거리(OID), 제2번경추(axis)의경사도, 초점-영상판 간거리(FID)를 측정하였으며, 연령대 성별에 대한 평균값을 측정하여 적용공식에 의하여 입사각을 산출하였다. 경추 제2번~제5번의 평균길이는 6cm 이였으며, 10대부터 20대까지는 경추의 길이가 커지고 30대 이후로는 경추의 길이가 작아졌으며, 남성과 여성의 차이는 약 1cm 차이가 나타났다(p<.001). OFD는 연령대, 성별과 상관없이 거의 같은 값이 측정이 되었다. 제2번 경추(axis)의 경사도는 10대와 20대는 경사도가 증가하였지만, 30대 이후로는 작게 나타났다. 또한 남성과 여성은 약 $2^{\circ}$차이가 났다(p<.001). FID의 측정 결과, 연령대, 성별과 상관없이 거의 같은 값이 측정되었으며, 이 값으로 입사각을 측정한 결과, 10대는 $15.9^{\circ}$, 20대 $16.9^{\circ}$, 30대 $16.6^{\circ}$, 40대 $16.2^{\circ}$, 50대 $15.9^{\circ}$, 60대 $14.5^{\circ}$로 측정되었다. 10대와 20대까지 입사각이 증가하였지만, 30대 부터는 입사각이 작게 나타났다. 또한 10대는 남성과 여성이 같은 값으로 측정이 되었고, 20대부터는 남성과 여성이 $2^{\circ}$ 차이가 나타났다. 입사각과 제 2번~제 5번 경추의 길이측정, OID, 제 2번 경추의 경사도, FID와의 상관관계를 실시하였고, 입사각과 모두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p<.001). 본 연구에서 경추의 평균 길이, OID, FID, 제2번 경추(axis)의 경사도에 따라서 입사각이 다르게 나타났고, 성별과 연령에 따라 입사각이 다른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경추 정면검사 시 연령, 성별을 고려하여 입사각을 설정하면서 검사를 시행하여야 함이 사료되며, 향후 경추검사의 입사각을 설정할 때 참고 자료로 이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어업용 작업복에 관한 연구 (A Study on Workwear for Fishing)

  • 차수정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1년도 제64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29권2호
    • /
    • pp.293-294
    • /
    • 2021
  • 본 연구는 어업에 종사하는 어업인을 대상으로 작업복 착용실태와 불편사항 및 문제점, 작업복에서 요구되는 기능 등을 알아보고 이를 통해 어업에 적합하고 작업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기능적 작업복 개발에 필요한 요구사항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전남지역의 어업인 12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은 SPSS 26.0 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에 참여한 어업인은 50대가 가장 많았고 남성이 약 85%이며, 근무경력은 10년 이상 20년 미만이 많았다. 작업복은 상하 분리형을 좋아하며, 방수성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였다. 착용 작업복에 대한 만족도는 땀투과성을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보통으로 평가되었다. 선호하는 색상은 무채색이 가장 많고 상하 분리형 스타일과 지퍼 여밈을 좋아하였다. 연령에 따라 작업복 구입 시 고려사항에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 30대 이하와 40대는 활동성을, 50대는 내구성을, 60대는 방수성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였다. 연령에 따른 작업복 만족도는 활동성, 압박감, 탈착성, 맞음새, 두께감, 기능성, 보온성, 옷의 무게감 등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하여 실용적이고 기능적인 어업용 작업복 개발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국내 모터사이클복의 착용실태 및 불만족도에 관한 연구 -남성용 모터사이클 쟈켓을 중심으로- (A Study on Wearing Conditions and Dissatisfaction With Current Motorcycle Wear in Korea -Focus on Men′s Motorcycle Jacket-)

  • Hei-Sun;Do, Wol-Hee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6권12호
    • /
    • pp.1765-1777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현재 국내의 서울시내에 거주하는 모터사이클을 타는 만20세 이상의 남성을 대상으로 모터사이클복에 대한 착용실태와 불만사항들을 조사하고 이를 연령별, 모터사이클 유형별로 비교 분석하여 착용감 및 안전성이 향상된 모터사이클복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 하고자 하였다. 설문조사는 2002년 1월~3월까지 3개월간 총 400부를 배부한 후 회수하고, 이 중 262부를 분석자료로 사용하여 빈도 및 백분율, 평균 등의 기술 통계치를 얻어 전반적인 착용현황을 알아보고, 교차분석을 실시한 후 X$^2$-검증을 실시하여 연령별, 모터사이클 유형별, 운행경력 별로 통계적인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1. 모터사이클복의 착용실태 및 불만사항 전반에 관한 조사결과, 조사대상자는 20대~40대의 운행경력은 5년 이상인 전문 라이더들이 많았으며 모터사이클의 배기량은 400cc이상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모터사이클 유형은 로드 바이크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이용목적은 레져.취미용, 선호하는 모터사이클복 아이템별 소재는 원피스와 슬랙스의 경우에는 피혁소재가 쟈켓의 경우에는 텍스타일 소재가 높게 나타났다. 아이템별 소유는 쟈켓과 투피스가 높게 나타났고, 보호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신체부위는 상의에서는 가슴과 팔꿈치, 하의에서는 무릎으로 나타났으며, 무릎보호대의 소유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모터사이클복 주된 착용목적은 '부상방지', 모터사이클복을 착용하지 않는 이유는 '움직이기가 불편해서' '가격이 비싸서' '여름철에 더워서'가 각각 높게 나타났다. 모터사이클복에 대한 불만족도에서 동작적합성과 사이즈에 대한 불만도가 높게 나타났고, 모터사이클복소재 및 내부 장착 보호장구의 경량화가 요구되었으며, 모터사이클 쟈켓의 치수부적합부위는 소매길이가 가장높게 나타났다. 2. 전체 응답자의 연령을 20대, 30대, 40대 이상으로 나누어 연령별 차이를 비교한 결과 각각의 문항에 대해서 모두 연령대별로 유의차가 인정되었다. 3. 모터사이클복 아이템별 선호소재 문항에서 원피스와 쟈켓에서 모터사이클 기종별 유의차가 나타났는데, 비즈니스 기종에 서는 텍스타일 소재를, 아메리칸크루져 기종에서는 피혁소재를 선호하였다. 로드바이크와 오프로드 기종에서는 원피스는 피혁소재를 선호하였고, 쟈켓은 텍스타일 소재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약과에 대한 미국 현지인의 기호도 (Preference test of Yakkwa of Americans)

  • 박형우;이호준;김상희;박미경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2003년도 춘계총회 및 제22차 학술발표회
    • /
    • pp.101.2-102
    • /
    • 2003
  • 우리 전통식품중의 하나인 약과를 미국 현지인에게 수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2002년 8월에 시카코, 아틀란타, 뉴욕, 샌프란시스코 지역 미국인 350명을 대상으로 디자인과 포장표시사항을 영어로 인쇄한 약과의 기호도 조사를 실시하였다. 동부지역의 1차 기호도 조사는 코넬대학교 학생과 직원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조사 대상자는 남녀 각각 20대와 30대를 위주로 조사하였다. 2차 기호도 조사는 40대∼60대 이상의 뉴욕시민을 대상으로 각각 남녀를 구분하여 실시하였다. 전체적으로 볼 때 남녀 성별에 관계없이 포장, 디자인, 인쇄와 냄새가 좋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약과에 대한 선호도는 남성이 여성보다 다소 높게 나타났다. 세부적으로 볼 때 남자의 경우 연령이 낮을수록 인쇄상태를, 연령이 높을수록 향과 품질에 더 높은 점수를 주었으며 여자의 경우에는 포장상태와 디자인을 중시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외국인들의 기호에 맞는 인쇄, 디자인, 포장을 한다면 우리나라 전통 한과인 약과의 수출을 확대시킴으로서 우리 전통의 식품의 세계화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스마트 워치 소비자 저항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수용 보류 집단의 성별, 연령별 집단 차이 비교 (Consumer Resistance to Smartwatches: Gender and Age Differences)

  • 김효정;나종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12호
    • /
    • pp.447-460
    • /
    • 2017
  • 본 연구는 스마트 워치 수용을 보류하고 있는 소비자 집단을 중심으로 스마트 워치 소비자 저항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20-40대 소비자 407명의 설문 자료를 기반으로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SPSS 19.0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요인분석, 신뢰도 검증, 상관관계 분석, t-test, 그리고 다중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대적 이점은 모든 성별과 연령 집단에서 스마트 워치 소비자 저항을 감소시키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복잡성은 여성 소비자 집단, 20대, 그리고 40대 소비자 집단에서 스마트 워치 소비자 저항을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디자인 심미성은 남녀 소비자 집단, 20대 소비자 집단에서 스마트 워치 소비자 저항을 감소시키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주관적 규범은 여성 소비자 집단, 20대, 그리고 30대 소비자 집단에서 스마트 워치 소비자 저항을 감소시키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다섯째, 프라이버시 위험은 남성 소비자 집단과 40대 소비자 집단에서 스마트 워치 소비자 저항을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들은 스마트 워치 수용보류 집단의 소비자 저항을 이해하는데 기초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