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3-butanoic acid

검색결과 63건 처리시간 0.019초

오리엔트 잎담배 부산물(scraps)을 이용한 판상엽 제조 (Manufacture of Sheet Tobacco Using Orient Scraps)

  • 김용옥;김기환;김천석;박영수;이태호
    • 한국연초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51-56
    • /
    • 1997
  •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reduce the cost of orient leaf using izmir, samsun and basma scraps in cigarettes manufacturing process. We manufactured rolled and paper sheet tobacco using orient scraps and substituted orient leaf in Pine tree to the rolled and paper sheet tobacco using orient scraps. Orient scraps were lower in total sugar, total sugar/nicotine and total nitrogen/nicotine, higher in nicotine and crude ash than those of orient leaves. Izmir and basma scraps were higher of 2-methyl butanoic, 3-methyl butanoic and 3-methyl pentanoic acid, but the chemical contents in samw scraps were lower than those of orient leaves. The specific gravity thickness, flness index, filling value were similar between orient scraps blended sheet tobacco and present sheet tobacco.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orient scraps blended sheet tobacco were within Present sheet tobacco quality specification. The sheet tobacco using orient scraps was higher 2-metal butanoic, 3-methyl butanoic and 3-methyl pentanoic acid than those of present sheet tobacco. The rolled processed sheet tobacco using orient scraps was higher 2-methyl butanoic, 3-methyl butanoic and 3-methyl Pentanoic acid than those of paper sheet tobacco using orient scraps. The sample cigarettes using orient scraps sheet tobacco were lower 2-methyl butanoic, 3-mettwl butanoic and 3-mettwl Pentanoic acid than those of control cigarettes. The result of sensory test showed no great difference compared with sample of orient scraps and control cigarettes. This result shows that we can possible to substitute orient leaf to orient scraps to reduce the cost of orient leaf.

  • PDF

Developement of novel enzyme system for production of enantiomerically pure ${\beta}-amino$ acids : Kinetic resolution of racemic 3-amino-n-butanoic acid using transaminase from Alcaligenes denitrificans Y2k-2

  • 임성엽;조병관;김병기
    •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공학회 2000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및 bio-venture fair
    • /
    • pp.579-582
    • /
    • 2000
  • (R,S)-3-amino-n-butanoic acid에 대한 광학분할 능력이 우수한 균주 Alcaligenes denitrificans Y2k-2를 토양으로부터 분리하였다. 광학분할 반응에 관계하는 효소는 트랜스아미나제로 추정되며, 아민 수용체에 대한 특이성에서 크기가 작을수록 반응성이 높아지는 경향이 있다. pyruvate에 의한 기질저해 현상이 나타나는데, 효율적인 생산 체계를 갖추기 위해서 이 문제를 해결할 필요가 있으며 현재 효소의 정확한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실험을 진행 중이다.

  • PDF

묵은 배추김치의 휘발성 성분 특성 (Characterization of Volatile Compounds in Low-Temperature and Long-Term Fermented Baechu Kimchi)

  • 김지윤;박은영;김영석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319-324
    • /
    • 2006
  • 묵은 배추김치의 휘발성 성분들을 고진공승화법을 이용하여 분리, 농축하였으며, GC-MS로 분석하였다. 총 62가지의 휘발성 성분들이 검출되었으며, 7개의 sulfur-containing compounds, 8개의 terpenes, 5개의 esters, 8개의 acids, 15개의 alcohols, 2개의 nitriles, 2개의 ketones, 11개의 aliphatic hydrocarbons, 4개의 miscellaneous compounds등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이 중 특히, acids인 acetic acid와 butanoic acid가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묵은 배추김치에서 향기활성성분을 규명하기 위해 고진공승화법을 이용하여 휘발성 성분들을 분리 및 농축 후 향 추출물 희석분석법으로 flavor dilution(FD) factor($Log_3FD$)를 구하였으며, GC-MS 및 GC-Olfactometry(GC-O)법으로 휘발성 성분들을 동정하였다. 이 결과 묵은 배추김치에서 총 16종의 화합물이 검출되었다. 이중 시큼한 냄새, 군덕내의 특성을 지닌 acetic acid, butanoic acid가 높은 FD factor를 보였으며, acids외에 높은 (FD > 9)를 나타내는 성분들로는 linalool, 2-vinyl-4H-1,3-dithin 등이 있었다.

원료된장을 달리하여 제조한 저장쌈장의 품질특성 (Characteristics of the Stored Samjangs with Different Doenjangs)

  • 김혜림;이택수;노봉수;박정숙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36-44
    • /
    • 1999
  • 막장, 재래식 된장, 막장과 재래식의 혼용된장을 주원료로 제조한 저장쌈장의 품질특성을 검토한 결과 적정산도는 저장 30일 최대치를 보였고 재래식 된장구의 쌈장에서 높았다. 제조 직후에 비하여 저장쌈장의 총당은 감소, 환원당은 증가 경향을 보여 저장 40일에 총당 $16.52{\sim}19.58%$, 환원당 $11.45{\sim}12.35%$로 당함량이 높은 특색을 보였다. 아미노태질소는 제조 직후 $45.0{\sim}53.0\;mg%$였으나 40일에 $337.3{\sim}381.1\;mg%$로 현저히 증가하였고 혼용구의 쌈장이 높은 경향을 보였다. Glutamic acid는 $202.6{\sim}464.6\;mg/100g$으로 저장쌈장에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고, 함량이 높은 glutamic acid, tryptophane, alanine, cystine은 혼용구, 재래식 된장구, 막장구의 쌈장순으로 높았다. 40일 저장 쌈장에서 alcohol류 7종, ester류 4종, aldehyde류 6종, acid류 13종 등 총 42종의 휘발성 향기성분이 동정되었다. 모든 시험구에서 검출된 향기성분은 ethonol, acetic acid ethylester, 2-phenylethanol등 10종이었다. Ethanol, acetic acid ethyl ester, phenylacetaldehyde, acetic acid, butanoic acid, 3-methylbutanoic acid, 2,4-hexadienioc acid의 면적비율이 높아 쌈장의 주향기성분이었다. 막장구의 쌈장에서는 2-phenylethanol, butandioic acid ethyl ester, butanoic acid, 2-methyl-2-butenoic acid가, 재래식된장구의 쌈장에서 ethanol, acetic acid, 2,4-hexadienioc acid, 혼용구의 쌈장에서는 acetic acid ethyl ester, 3-methylbutanoic acid, methyl pentanoic acid의 면적 비율이 각각 타시험구보다 높았다.

  • PDF

원료된장을 달리하여 제조한 쌈장의 품질특성 (Characteristics of Samjangs Prepared with Different Doenjangs As a Main Material)

  • 김혜림;이택수;노봉수;박정숙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54-61
    • /
    • 1998
  • 막장, 재래식 된장 및 막장과 재래식의 혼용 된장을 주원료로 제조한 쌈장의 일반 성분, 유리 아미노산, 향기성분 등의 품질을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쌈장은 수분 $51.2{\sim}53.5%$, 염분 $11.47{\sim}14.05%$, 총당 $20.38{\sim}23.6%$, 환원당 $8.44{\sim}9.29%,\;pH\;4.76{\sim}5.53$의 범위로 총당은 막장구, 환원당은 혼용구의 쌈장에서 높았다. 쌈장의 유리 아미노산으로 glutamic acid가 $230.6{\sim}310.9mg/100\;g$으로 가장 높았다. 쌈장의 명도, 적색도, 황색도 값은 재래식 된장구 및 혼용구된장구의 쌈장에서 높았다. 쌈장의 휘발성 향기 성분으로 acid류 13종, alcohol 11종, ester 7종, aldehyde 3종, alkane 4종, phenol 4종, pyraine 3종 등 총 54종이 동정되었다. Ethanol, acetic acid ethyl ester, 3-methyl butanoic acid, 2,4-hexadienoic acid, acetic acid등은 면적비율이 높아 쌈장 향기의 주성분으로 추측된다. 막장구에서는 pentanoic acid methyl ester, 4-methoxy-2-buten-1-ol이 , 재래식 된장구에서는 2-methyl-1-propanol, butanoic acid, 3-methyl butanoic acid 등이, 혼용구에서는 ethanol, ethyl acetate, 2,4-hexadienoic acid 등의 향기성분이 각각 타시험구 보다 면적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누룩 종류를 달리하여 담금한 탁주 술덧의 휘발성 향기성분 (Volatile Flavor Components in Mash of Takju Prepared by Using Different Nuruks)

  • 한은혜;이택수;노봉수;이동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563-570
    • /
    • 1997
  • GC와 GC-MS를 사용하여 발효 16일 후 탁주술덧의 휘발성 향기성분으로 alcohol 20종, ester 26종, acid 10종, aldehyde 10종, 기타 6종 등 모두 72종이 검출되었다. Aspergillus oryzae구는 68종으로 가장 많았고 재래누룩구의 술덧은 60종으로 적었다. 72종의 휘발성 향기성분 중 54종의 향기성분이 모든 시험 구에서 공통으로 검출되었다. 휘발성 향기성분의 면적비율은 alcohol류 $71.28{\sim}90.23%$, ester류 $0.66{\sim}9.05%$, acid류 $0.20{\sim}0.60%$, aldehyde류 $0.02{\sim}0.09%$순으로 나타났다. 시험구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ethanol, 2-methyl-1-propanol, 3-methyl-1-butanol, 1-hexanol, 2.3-butadienol(D,L), benzeneethanol, acetic acid ethyl ester, succinic acid diethyl ester, butanoic acid monoethyl ester, acetic acid 그리고 benzene acetic acid 4-acetyloxy-3-methyl ethyl ester 등의 면적 비율이 높아 본 실험 탁주 술덧의 휘발성 향기 주성분으로 나타났다. 재래 누룩구는 1-pentanol, hexanoic acid ethyl ester의 면적비율이 다른 시험구보다 높았고, Mucor racemosus 누룩구는 1-hexanol, 1-dodecanol, 1,2-benzenedicarboxylic acid dipropenyl ester, acetic acid가, Rhizopus japonicus 누룩구는 2-methyl-1-propanol, 3-methyl-1-butanol, benzeneethanol, succinic acid diethyl ester, butanoic acid monoethyl ester, 4-methyl benzeneacetic acid phenyl ester, butanoic acid의 면적 비율이 타 시험구보다 각각 높았다. Aspergillus oryzae구는 acetic acid ethyl ester, 3-methyl butanoic acid, pentanoic acid가 높았으며 Aspergillus kawachii구에서는 1-butanol이 높았다.

  • PDF

재래식고추장 숙성과정 중의 휘발성 향기성분의 특성 (Changes of Volatile Flavor Compounds in Traditional Kochujang during Fermentation)

  • 최진영;이택수;박성오;노봉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745-751
    • /
    • 1997
  • 찹쌀로 담금한 재래식 고추장의 발효과정 중 휘발성 향기성분을 purge and trap 장치로 포집하여 GC-MSD로 분석, 동정하였다. 재래식 고추장에서 alcohol류 19종, ester류 13종, acid류 7종, aldehyde류 3종, alkane류 1종, ketone류 2종, amine 2종, benzene류 1종, alkene 1종, phenol류 1종, 기타 1종 등 51종의 향기성분이 동정되었고 동정된 향기성분은 담금 직후에 22종이었으나 30일에 41종으로 증가되었고 120일에는 51종으로 향기성분수가 가장 많았다. 이들 성분 중 숙성 전과정을 통하여 공통으로 검출된 성분은 acetic acid-ethyl ester, ethanol, butanoic acid-ethyl ester, 1-butanol, 2-methyl-1-propanol, 3-methyl-1-butanol, butanoic acid, ethenone등 22종이었다. 휘발성 향기성분의 면적비율은 담금 직후에 1-butanol이 30일 이후는 ethanol이 가장 높았다. 고추장 향기성분의 면적비율(peak area%)은 숙성기간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으나 acetic acid-ethyl ester, ethanol, butanoic acid-ethyl ester, 1-butanol, 3-methyl-1-butanol, 2-methyl-1-propanol 등이 높아 재래식고추장의 휘발성 향기성분의 주성분으로 추측된다.

  • PDF

흑마늘와인 제조과정 중 숙성칩의 종류에 따른 향기성분 변화 (Change in Flavor Components of Black-fermented Garlic Wine according to the Type of Chip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 김경환;김진희;양지영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73-77
    • /
    • 2014
  • 흑마늘을 이용하여 와인을 제조해보고 숙성 칩의 종류에 따른 향기 성분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흑마늘 와인을 제조한 후, 저장 조건으로 미국산 칩과 프랑스산 칩을 이용하여 3개월간 $10^{\circ}C$에서 숙성하여 흑마늘 와인을 완성하였다. 향기 성분을 분석을 위하여 GC/MS를 이용하였다. 미국산 칩을 사용한 경우 주요 향기성분으로 2-methyl-1-propanol, 3-methyl-1-butanol, 2-methyl-1-butanol, acetaldehyde, butanoic acid, octanoic acid, 1,1-diethoxyethane, allyl methyl sulfide가 검출되었다. 프랑스산 칩을 사용한 경우에는 1-propanol, 2-methyl-1-propanol, 3-methyl-1-butanol, acetaldehyde, acetic acid, propanoic acid, butanoic acid, octanoic acid, 2-heptanone, 1,1-diethoxyethane, N-amino32-hydroxypropanamidate, n-butylamine, chloroacetonitrile, allyl methyl sulfide가 주요성분으로 검출되었다. 미국산 칩을 사용한 와인에서 과일향성분인 n-propylacetate, butanoic acid, octanoic acid가 상대적으로 높게 검출되었고, 흑마늘에서 기인된 allyl methyl sulfide는 미국산 칩을 사용한 경우에서만 검출이 되었다. Acetic acid는 프랑스산 칩을 이용한 경우에만 검출되었다.

청국장과 된장의 휘발성 향기성분 데이터베이스 (Compilation of volatile flavor compounds in Cheonggukjang and Doenjang)

  • 백형희
    • 식품과학과 산업
    • /
    • 제50권4호
    • /
    • pp.24-49
    • /
    • 2017
  • Volatile flavor compounds of cheonggukjang and doenjang, which are the most representative Korean soybean fermented foods, were compiled throughout literature review. Total of 225 and 404 volatile flavor compounds were found in cheonggukjang and doenjang, respectively. The most characteristic volatile flavor compounds in cheonggukjang are thought to be pyrazine compounds. In addition, acids, such as 2-methyl propanoic acid, butanoic acid, 2-methyl butanoic acid, and 3-methyl butanoic acid, contribute to aroma characteristics of cheonggukjang. On the other hand, ester compounds are the most predominant volatile flavor compounds in doenjang. Ninety six ester compounds were detected in doenjang while 22 ester compounds were identified in cheonggukjang. Pyrazine compounds and acids also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flavor of doenjang. Compilation of volatile flavor compounds from cheonggukjang and doenjang will provide basic information to food industry to understand and improve aroma characteristics of cheonggukjang and doenjang.

전통 시금장 메주의 휘발성 향기성분 (The Flavor Components of Traditional Sigumjang Meju)

  • 최웅규;김영주;지원대;손동화;최동환;정민선;정영건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887-893
    • /
    • 1999
  • 본 연구에서는 지역별로 수집한 시금장 메주와 보리 등겨의 향기성분을 조사하였다. 보리 등겨에서 분리 동정된 성분은 총 52가지이었다. 이 중 hexanal의 함량이 20.53 area %으로 가장 많았으며, butanoic acid>2-pentylfuran>hexanoic acid의 순으로 많았다. 12종의 시금장 메주에서 분리 동정된 성분은 총 66가지이었다. 함량은 2-furancarboxaldehyde와 1-(3-methoxyphenyl)-ethanone 및 tetramethylpyrazine이 동정된 다른 향기성분의 함량에 비해 월등히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보리등겨와 시금장 메주에서 공통적으로 검출된 성분은 22종이었으며, 이 중 butanoic acid, hexanal 및 2-pentylfuran은 보리등겨에서 그 함량이 훨씬 많았으며, 2-furancarboxaldehyde, 1-(3-methoxyphenyl)-ethanone 및 tetramethylpyrazine은 시금장 메주에서 그 함량이 훨씬 많았다. 보리등겨에서만 검출된 성분은 30종이었으며, 시금장 메주에서만 검출된 성분은 44종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