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3-Hydroxy-2-butanone

검색결과 16건 처리시간 0.018초

Purge & Trap 법에 의한 국내산 우유 중의 휘발성 향기성분 분석 (Analysis of Volatile Flavor Compounds in Cow's Milk by Purge & Trap Method)

  • 전장영;김성한;곽병만;안장혁;공운영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78-83
    • /
    • 2005
  • 국내산 원유 및 우유의 향기성분을 보다 신속하고 간단하게 분석하기 위하여 Purge & Trap 및 GC-MS에 의하여 분석할 수 있는 조건에 대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Purge & Trap에 최대한 취할 수 있는 우유시료의 용량인 30 mL를 취하여 2시간 동안 헬륨가스로 purging하여 Tenax Trap에 흡착시켜 농축시킨 우유의 향기성분들을 탈착 후 GC-MS로 분석한 결과 우유의 향기성분들로 보고 된 주요 향기 성분들을 검출해 낼 수 있었다. 실험에 사용된 경상도 지역의 국내산 원유에서는 acetaldehyde, ethanol, 2-propanone(acetone), dimethyl sulfide, isobutanal, 3-methyl 2-butanone, 2-butanone, 3-methyl butanal, pentanal, 3-hydroxy-2-butanone, methyl disulfide, hexanal 및 2종의 미지 성분 등 총 14종의 휘발성 향기 성분이 검출되었다. 이 원유를 탈취하여 얻은 우유에서 acetaldehyde, 2-propanone, hexanal 및 미지 성분 92(M/sup +/) 의 4종은 탈취전의 우유와 비교하여 그 양에 변화가 없었으나, ethanol, dimethyl sulfide, pentanal, 3-hydroxy-2-butanone 및 methyl disulfide 등의 향기 성분 6종은 완전히 제거되어서 검출되지 않았다. 또한, 3-methyl 2-butanone, 2-butanone, 3-methyl butanal 및 미지성분 81(M/sup +/)의 4종은 그 양이 현저히 감소하였다.

저장 온도와 시간이 신선한 돈육 삼겹 부위로부터 추출한 휘발성 화합물의 조성에 미치는 영향 (Evaluation of Various Storage Temperatures and Times on the Composition of Volatile Compounds Extracted from Fresh Pork Belly)

  • 박성용;진구복;유승석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441-446
    • /
    • 2006
  • 신선한 돈육 삼겹살로부터 방향족(6), 알데하이드(6), 카르복시산(5), 알코올(4), 케톤(4), 알칸(4), 알켄(1)및 아민류(1)가 동정되었다. 이중 11개 화합물(1-butanol, propane, 2-butanol, 3-hydroxy-2-butanonl, acetic acid, 3-methyl-1-butanol, 1-pentanol, phenol, 2-pentyl-furan, indole, 2-dodecanone)만이 저장기간과 저장 온도사이에 상호작용이 존재하였다. (p<0.05). 삼겹살에 있어서 $4^{\circ}C$ 저장시 hexanal과 hexadecanal과 같은 알데하이드 계통의 화합물이 주로 발생되었고 반면에 $20^{\circ}C$ 저장시에는 phenol과 indole과 같은 방향족 화합물과 1-butanol과 2-butanol과 같은 알콜류 화합물이 주로 생성되었다. 동정된 휘발성 화합물중 1-butanol, 2-butanol, 3-hydroxy-2-butanone, acetic acid, phenol, indole은 저장기간에 따른 차이를 보인 화합물들이며, 1-butanol, 2-butanol, 3-hydroxy-2-butanone, acetic acid, indole 그리고 2-dodecanone과 같은 휘발성 화합물들은 모두 $20^{\circ}C$에서 저장된 삼겹살에서만 검출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돈육의 삼겹 부위가 $20^{\circ}C$의 저장에서는 방향족 화합물이, $4^{\circ}C$의 저장에서는 알데하이드류가 주로 생성된 것처럼 저장 온도에 따라 생성되는 휘발성 화합물이 차이가 있고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달라짐을 시사한다.

Growth Promotion of Tobacco Plant by 3-hydroxy-2-Butanone from Bacillus vallismortis EXTN-1

  • Ann, Mi Na;Cho, Yung Eun;Ryu, Ho Jin;Kim, Heung Tae;Park, Kyungseok
    • 농약과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388-393
    • /
    • 2013
  • Bacillus vallismortis strain EXTN-1은 근권세균으로써 생육촉진 효과와 함께 광범위한 식물 병 방제효과가 보고되어있다. 본 연구에서 EXTN-1으로부터 방출되는 휘발성 유기 화합물도 식물의 생육촉진과 방어시스템에 관여를 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I-plate 시스템에서 각기 다른 배지(TSA, LBA, NA, KBA, PDA)에 EXTN-1을 배양하였을 때, KBA배지에서 가장 높은 생육촉진현상이 확인되었고 TSA, LBA, NA, PDA 배지에서도 생육촉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생육촉진 현상에 $CO_2$가 관여 할 수 있지만 TSA, PDA, LBA의 배지에서는 $CO_2$와의 관계없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SPME-GC/MS를 이용해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확인한 결과, 가장 많이 방출되는 휘발성 유기화합물은 3-Hydroxy-2- butanone으로 각 농도 (10 ppm~0.001 ppm)에서 생육차이와 발병도를 확인하였다. 1 ppm에서 생육은 무처리에 비해 2.6배 증가한 반면에 0.001 ppm에서 1.2배로 가장 적게 증가하였고 발병도는 10 ppm에서 46%, 0.001 ppm에서 65%로 가장 높게 발병되었지만 무처리(91%)에 비해 낮았다. 이러한 효과는 EXTN-1으로부터 방출되는 휘발성 유기 화합물이 식물의 생육촉진과 병에 대한 저항성 발현에 관여한다고 볼 수 있다.

황기청국장의 향기특성 (Aroma Characteristic of Chungkukjang with Astragalus membranaceus)

  • 윤향식;최혜선;주선종;김기식;김숙종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269-272
    • /
    • 2006
  • 황기가 청국장 향기성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청국장과 황기청국장을 제조하여 향기성분을 SDE, headspace, SPME 추출한 후 GC/MS로 정성하였다. 추출방법별 정성된 화합물의 수는 총 30개로 SDE 23개, headspace 6개, SPME 7개로 나타났다. 추출물을 관능기별로 구분하면 ketone류 6개, alcohol류 8개, heterocylic 화합물 3개, aldehyde류 3개, hydrocarbone류 6개, 기타 화합물 5개로 분류할 수 있다. 청국장의 주요향기성분으로 SDE 추출물은 3-hydroxy-2-butane, 2-furanmethanol, 2-methoxy-4-vinylphenol과 4-vinylphenol이었으며 headspace 추출물은 2,3-butanedione, 3-hydroxy-2-butane, ethanol, 2,6-dimethyl pyrazine과 acetic acid, SPME 추출물은 acetone, ethanol, 2,5-dimethyl pazine, tetrameyl pyrazine과 acetic acid이었다. 청국장의 특징적인 향기성분인 2,5-dimethyl pyrazine과 2,6-dimethyl pyrazine, tetramethyl pyrazine 함량은 청국장이 황기청국장에 비해 높게 나타내었다.

간흡충에 대하여 구충작용을 갖는 Diarylbutane류의 합성 (Synthesis of the Anthelmintic Diaryl Butanes against Clonorchis sinensis)

  • 주정숙;류성호;우병태;백병걸;이재구;안병준
    • 약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183-187
    • /
    • 1985
  • During investigation of the anthelmintic substances against Clonorchis sinensis which are based on the structure of meso-dihydroguairaretic acid, some non-mesoic diaryl butanes were synthesized by Grignard reaction and their anthelmintic activities were determined. In this reaction, an aryl butanone was reacted with benzylmagnesium chloride to produce the corresponding diaryl hydroxybutane which was converted to the corresponding diaryl butane by zinc and hydrogen chloride. The substituents in benzene ring of the diaryl butanes were changed by methylation or demethylation. Among the synthesized substances, 4-phenyl-1-(3, 4-dihydroxyphenyl)-2, 3-dimethylbutane(VII), 4-phenyl-1-(3-hydroxy-4-methoxyphenyl)-2, 3-dimethylbutane(IX) and 4-phenyl-1-(4-hydroxy-3-methoxyphenyl)-2, 3-dimethylbutane(VI) showed strong wormicidal effects against Clonorchis si-nensis in that order. Phenolic hydroxyl group seemed to play a certain role for the wormicidal activity of the diaryl butanes.

  • PDF

Solid-Phase Microextraction(SPME)을 이용한 감식초의 휘발성 성분 분석 (Volatile Components in Persimmon Vinegars by Solid-Phase Microextraction)

  • 서지형;박난영;정용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153-156
    • /
    • 2001
  • 2단계 발효로 제조한 감식초를 static headspace-GC법과 SPME-GC법으로 휘발성 성분을 각각 포집 분석하여 상호간의 특성에 대해 조사하였다. 감식초의 휘발성 성분 포집조건은 $80^{\circ}C$에서 20분간으로 설정하였으며, 감식초 휘발성 성분의 total FID response는 CW/DVB fiber를 이용한 SPME법에서 total peak area $18.18{\times}10^6$로, static headspace-GC법의 total peak area $1.35{\times}10^6$보다 현저하게 높았다. 감식초의 주된 휘발성 성분으로 acetic acid, ethyl acetate, 3-hydroxy-2-butanone, ethanol, phenethyl alcohol 등이 확인되었으며, static headspace-GC법에서는 acid류 3종, aldehyde류 3종, alcohol류 5종, ester류 8종 및 ketone류 1종이 확인되었다. SPME-GC법에서는 acid류 6종, aldehyde류 7종, alcohol류 6종, ester류 9종, hydrocarbone류 2종, ketone류 1종, 기타 3종으로, 총 34종의 휘발성 성분이 확인되었으며, benzaldehyde, phenethylacetate, phenethylalcohol 등의 비율이 headspace-GC법에 비해 높았다.

  • PDF

식초의 휘발성 성분 및 관능적 특성 (Volatile Compounds and Sensory Odor Properties of Commercial Vinegars)

  • 윤희남;문수연;송상훈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299-305
    • /
    • 1998
  • 양조, 사과, 현미, 감식초의 휘발성 성분을 분석하고 식초들 간의 관능적 차이를 냄새관점에서 평가하였다. 식초의 휘발성 성분으로 30개의 화합물을 동정할 수 있었으며 9 carbonyl compounds, 12 esters, 6 alcohols 그리고 3 acids로 분류되었다. 3-Hydroxy-2-butanone은 일부 식초에서만 검출되고 감 식초는 다른 식초에 비해 다양한 alcohols을 함유하는 것이 특징이었다. 3-Methyl-1-butanol은 양조 식초에서 전혀 확인되지 않았고 대부분의 사과, 현미, 감식초에서 검출되었다. 감식초는 기타취의 강도가 강하여 기호도가 낮고(p<0.05) 전체적인 향 만족도에서 사과, 양조, 현미 식초에 비해 유의적으로(p<0.01) 열세였다.

  • PDF

야생 초피(Zanthoxylum piperitum De Candolle)잎의 향기성분 (Volatile Flavor Components of Wild Chopi (Zanthoxylum piperitum De Candolle) Leaf)

  • 박준희;차원섭;오상룡;조영제;이원영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3권5호
    • /
    • pp.483-489
    • /
    • 2000
  • 경상북도 상주시 청화산 일대에서 채집한 야생 초피잎을 음지에서 자연 건조한 것과 blanching한 후 건조한 것을 분쇄하여 기계적으로 분석한 결과 잎을 자연 건조한 것에서는 55개의 peak가 확인되었으며 blanching한 후 건조한 시료에서는 35개의 peak가 확인되었다. 그리고 자연 건조한 시료 중에서 검출된 55 개의 물질들 중에는 hydrocarbon 계통의 물질들이 decane, dodecane, sabinene, myrcene등을 비롯한 23개의 물질이 확인되었고 alcohol 계통의 물질들은 isobutylal-cohol, cis-pentenol, 1-penten-3-ol등 10개의 물질이 확인되었다. 그리고 aldehyde로는 3-methylbutanal, hexanal. 2,6-dimethyl hept-5-al등 7개 물질이 확인되었으며 ketone 화합물은 3-hydroxy-2-butanone. 2-nonanone, 2-undecanone, 2-tridecanone이 확인되었다. cis-3-hexenyl acetate, linalyl acetate, citronellyl acetate, neryl acetate 등 6개의 ester류가 확인되었다. 그리고 기타 물질로 3-cyano-2,5-dimethylpyrazine, dimethyl sulfide, chloroform, 1,8 cineole, dill ether 등이 검출되었다. 그리고 초피의 생잎을 blanching한 후 건조하여 전처리를 거쳐 휘발성 물질을 확인한 결과 35개의 peak를 확인하였는데 그중 hydrocarbon 계통의 물질들이 20개나 확인되었다. 그 내용으로는 1,1'-oxybis-ethane, $\alpha$-pinene, camphene, myrcene, $\beta$-phellandrene. $\beta$-caryophyllene 등이다. 그리고 alcohol 류로는 L-lin-alool, (-)-isopulgerol. $\alpha$-terpineol. citronellol이며 aldehyde류로는 nonanal, citronellal이다. ketone 화합물은 2-undecanone, 2-tridecanone등이며 그리고 ester류로는 citronellyl acetate, cis-3-hexenyl acetate, neryl acetate 등이다. 기타물질로서는 3-cyano-2,5-dimethylpyrazine. chloroform 등이다. 그리고 $\alpha$-pinene, myrcene, $\beta$-phellandrene. L-linalool, citronellal, citronellyl acetate, $\beta$-caryophy-llene이 다른 휘발성 물질보다 비교적 많은 양으로 검출되었다.

  • PDF

어육장의 휘발성 향기 성분 특성 (Characterization of Volatile Components in Eoyuk-jang)

  • 윤미경;최아름;조인희;유민정;김지원;조미숙;이종미;김영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366-371
    • /
    • 2007
  • 어육장의 휘발성 향기 성분들을 용매추출을 이용하여 분리, 농축하였으며, GC-MS로 분석하였다. 총 36가지의 휘발성 성분들이 검출되었으며, 11개의 aliphatic hydrocarbons, 4개의 acids, 2개의 ketones, 5개의 phenols, 7개의 alcohols, 1개의 pyrazine, 4개의 pyrones와 furanones, 2개의 miscellaneous components 등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특히, acids인 butanoic acid가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어육장의 향기활성 성분을 규명하기 위해 용매추출을 이용하여 휘발성 성분들을 분리 후 향추출물 희석분석법으로 flavor dilution(FD) $factor(Log_3$ FD)를 구하였다. 이 결과 어육장에서 총 20종의 향기활성 성분들이 확인되었다. 이 중 군덕내의 특성을 지닌 butanoic acid와 구운 감자향을 지닌 methional이 높은 FD factor를 보였으며, 이들 성분 외에 높은$(Log_3$ FD>7)를 나타내는 성분들로는 2-methyl-2-butanol(soysauce-like), 3-hydroxy-2-butanone(buttery), 2-furanmethanol(burnt sugar-like) 등이 있었다. 본 실험에서는 어육장을 시료로 하여 휘발성 향기성분 및 향기활성 성분들을 GC-MS 및 AEDA법에 의해 분석함으로 어육장 특유의 향미특성을 규명하였다. 이는 앞으로 고급화된 장류 제품으로서는 물론, 다양한 식품에서 조미소재로의 어육장의 활용도를 높이는데 기여할 것이다.

알코올 발효과정 중 양파착즙액 휘발성 향기성분 변화 (Fermented Production of Onion Vinegar and Its Biological Activities)

  • 정은정;차용준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20-128
    • /
    • 2017
  • This study aimed to provide volatile flavor compounds of three onion products through thermal process and alcohol fermentation, to meet the quality standard of onion products. The identified components of onion extracts (OE) included 49 (18 sulfur-containing compounds, 5 alcohols, 8 acids, 3 ketones, 4 esters, 4 aromatic compounds, 2 aldehydes, 1 pyrazines and 4 miscellaneous compounds), and 55 (17 sulfur-containing compounds, 15 alcohols, 5 acids, 11 ketones, 3 aromatic compounds, 2 aldehydes and 1 pyrazine) in autoclave-sterilized onion extracts (SOE); and 69 (10 sulfur-containing compounds, 27 alcohols, 11 acids, 11 ketones, 6 esters, 1 aromatic compound and 3 pyrazines) in onion wine (OW), respectively. Among the major flavor classes, sulfur-containing compounds (36.8%), acids (31.3%) and aldehydes (13.6%) in OE were changed to alcohols (46.5%) and ketones (27.3%) in SOE whereas, alcohols (56.3%) and acids (26.6%) in OW. Moreover, 1,3-butanediol, 2,3-butanediol, and 3-hydroxy-2-butanone were highly detected in SOE whereas, acetic acid, 3-methylbutanol, 2-phenylethanol and 1,2,3-propanetriol in 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