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22:6 (n-3)

검색결과 2,382건 처리시간 0.035초

엘리트 유도 선수의 성별과 연령에 따른 운동영양 보조물 섭취와 섭취경로 분석 (Descriptive of Dietary Supplementation Practice and Purchase Process by Age and Gender in Judoists)

  • 김종규;강성기;천윤석
    • 운동영양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185-192
    • /
    • 2009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use of such dietary supplementation practices, opinions, taking period for dietary supplement, and among elite Judoists varying in age and gender. Subjects were recruited from Korea National Team Judoists in elite athlete training centers (Taenuing in Seoul, Korea and surrounding area), a total of 223 elite Judoists (2003y n=34, 2005y n=41, 2006y n=101, 2007y n=30, 2008y n=17). Data were collected from personal interviews with Judoists who participated at the Olympic games, Asian game and World Championship game since 2003-2008. Elite Judoists representing mean age of 2003y (men: 23.5±2.7, women: 22.6±2.4), 2005y (men: 23.4±2.6, women: 22.5±2.3), 2006y (men: 20.3±3.2, women: 21.9±2.4), 2007y (men: 25.3±2.6, women: 22.5±2.8) and 2008y (men: 23.9±3.9) completed a validated questionnaire assessing dietary supplementation practices and opinions. Older Judoists were significantly more likely to report greater dietary supplementation usage; to be advised by oneself; health food store and pharmacy retailers; to decrease taking period days per week and past 6 month. Relative to gender,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for the types of dietary supplementation reported; supplementation practice trend; reasons for dietary supplementation use.

Reactions of 〔(2-N, N-Dimethylaminomethyl)phenyl〕methylvinychlorosilane with t-BuLi: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Five Isomeric 1,3-Disilacyclobutanes.

  • 이명유;조현모;이수흥;김장환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22권6호
    • /
    • pp.593-596
    • /
    • 2001
  • The reaction of [(2-N,N-dimethylaminomethyl) pheny] methylvinychlorosiane with t-BuLi in hexane solvent gave dimers, five isomeric 1,3-disilacyslobutanes which were weparated and charaterized. In trapping experiments with various trapping agents, no corresponding silene-trapping aduct was observed. We suggest that more important species for the formation of five isomeric dimers might be the zwitterionic species generated by virtue of intramolecular donor atom rather than the silene.

Ab initio Study on Structures, Energies and Vibrations of Methylammonium-(water)$_n$ (n=1-3) Complexes

  • 김광연;조융인;부두완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22권6호
    • /
    • pp.597-604
    • /
    • 2001
  • The reaction of [(2-N,N-dimethylaminomethyl) pheny] methylvinychlorosiane with t-BuLi in hexane solvent gave dimers, five isomeric 1,3-disilacyslobutanes which were weparated and charaterized. In trapping experiments with various trapping agents, no corresponding silene-trapping aduct was observed. We suggest that more important species for the formation of five isomeric dimers might be the zwitterionic species generated by virtue of intramolecular donor atom rather than the silene.

유류된 잠재지문의 지방산조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fatty acids composition by latent fingerprint deposition)

  • 최미정;하재호;박성우
    • 분석과학
    • /
    • 제21권3호
    • /
    • pp.212-221
    • /
    • 2008
  • 사건현장에 잔류하는 잠재지문의 효과적인 탐색 및 감식을 위한 자료를 얻고자 비다공성 증거물에 잔류된 잠재지문의 지방산 조성분석을 실시하고 7개월간의 지문유류에 따른 조성 변화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지문시료는 한국인 29-50 세 남성 8인과 여성(36 세) 1명으로부터 제공받았다. 모든 지문에서는 lauric acid (C12:0), myristic acid (C14:0), palmitic acid (C16:0), stearic acid (C18:0), elaidic acid (C18:1n9t), oleic acid (C18:1n9c), linoleic acid (C18:2n6c), arachidic acid (C20:0), linolenic acid (C18:3n3), erucic acid (C22:1n9)와 docosadienoic acid (C22:2)의 11종의 지방산이 검출됨을 확인하였고, palmitic acid (35.45-48.37%), oleic acid (14.84-28.49%), stearic acid (9.71-24.96%)와 linoleic acid (7.68-18.85%)가 확인된 지방산조성의 75%이상을 차지하여 주요 구성성분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7개월간 온도 $20-25^{\circ}C$, 습도 40-50%의암실환경에서의장기간유류에따라총지방산의함량이 12-25% 감소하였으며, 이는 elaidic acid (C18:1n9t), arachidic acid (C20:0), linolenic acid (C18:3n3), erucic acid (C22:1n9), docosadienoic acid (C22:2)의 장쇄지방산들의 소실과 단쇄지방산인 myristic acid (C14:0), myristoleic acid (C14:1), pentadecanoic acid (C15:0)의 생성에 따른 결과임을 확인하였다.

n-6/n-3 지방산 비율이 비만 랫드의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n-6/n-3 fatty acid ratio on lipid metabolism in obesity model rats)

  • 신종서;엄경환;박병성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654-666
    • /
    • 2018
  • 본 연구는 비만 모델동물 랫드에서 식이 내 오메가 6와 3 지방산 비율(n-6/n-3 0, 4:1, 15:1, 30:1)이 지질대사의 생화학적 메카니즘을 구명하였다. 혈액 중성지방은 대조군과 비교할 때 n-6/n-3 비율 4:1, 15;1, 30:1 처리군에서 22.21%, 총콜레스테롤 20.60%, LDL-C 52.96%, 혈당 15.71%, ALT 11.97%, AST 9.13%, 인슐린 37.57%, 렙틴 45.98% 낮아졌으나, HDL-C 28.38%, 인지질 80.39% 증가하였고, 특히 4:1 처리군에서 가장 큰 효과가 나타났다. 간 조직에서 SREPB-$1{\alpha}$, SREPB-2 mRNA는 대조군과 비교할 때 n-6/n-3 비율 처리군에서 하향조절 하였으나 PPARs 그리고 지방조직의 LPL-mRNA는 상향조절 하였다. 간 조직에서 지방세포의 크기는 n-6/n-3 비율 30:1, 대조군, 15:1, 4:1 순서로 낮아졌고, 지방조직에서 지방세포의 크기는 대조군, 30:1, 15:1, 4:1 순서로 낮았다. 결과는 비만 모델동물 랫드에서 오메가 6와 오메가 3 지방산 비율, 특히 4:1을 함유하는 식이를 급여하면 혈액 유해 지질, 간 기능 효소, 렙틴, 인슐린, 간과 지방조직의 유전자 발현 조절을 통하여 건강을 유지할 수 있다는 새로운 사실을 발견하였다.

갯장어의 일반성분과 지방산의 계절적 변화 (Seasonal Variation of Lipids and Fatty Acids of Sharp Toothed Eel(Muraenesox cinereus))

  • 안창범;신태선
    • 생명과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233-241
    • /
    • 2002
  • 전남 여수지역의 특산품이라 할 수 있는 갯장어의 연중 지질성분의 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일정 시기별로 채취한 갯장어의 일반성분 및 근육지질의 각 획분별 지방산 조성을 분석, 검토하였다. 조지방 함량은 3.85∼12.59 g/100 g의 범위로 11월에 그 함량이 가장 많았고, 5월에 가장 낮았다. 수분함량은 지방함량이 많은 시기에 적게 나타나 역의 관계를 나타내었다. 총지질 및 중성지질의 주요 구성지방산은 C16:0, C23:0, Cl6:1, Cl8:1, C20:5 및 C22:6이었으나 중성지질은 총지질에 비해 C22:6의 구성비율이 특히 낮았다. 인지질의 주요 구성지방산도 총지질이나 중성지질과 유사하였으나 Cl8:3n-6의 함량이 높은 것이 특징적이었고, 폴리엔산의 총함량(73.93∼66.23%)은 다른 지질획분에 비해 가장 높았다. 당지질의 경우는 C20:1 및 Cl4:1의 함량이 특이적으로 매우 높았으나 EPA와 DHA의 함량은 낮았다. 총지질, 중성지질, 인지질 및 당지질의 연평균 n-3/n-6 비는 각각 10.82, 12.27, 6.63 및 6.50이었다. 총지질과 중성지질의 지방산의 연중변화는 뚜렷한 경향을 찾을 수 없었으나, 인지질의 경우는 조지방 함량이 많은 9월과 11월에 폴리엔산의 함량이, 당지질에 있어서는 9, 11 및 1월에 모 노엔산의 함량이 유의적으로 낮았다.

식이 중 어유의 섭취가 쥐의 혈액과 조직의 지질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etary Fish Oil on Lipid Content of Plasma and Liver in Rats)

  • 남정혜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59-69
    • /
    • 1995
  • This study designed to compare the hypolipidemic e(feats of n6 linoleic acid (LA), n3 w-linolenic acid(LL) and n3 eicosapentaenoic acid(EPA) and docosahexaenoic acid(DHA) In rats fed high fat (40% Cal) diet. Male Sprague-Dawley rats fed experimental diets for 6 weeks, which were different only in fatty acid composition. The dietary fats were beef tallow (BT) as a source of saturated fatty acid (SFA), corn oil(CO) for n6 LA, perilla oil (PO) for n3 a-LL and fish oil (FO) for n3 EPA+DHA. Plasma total cholesterol (T-chol) level was increased by n6 LA but decreased by n3 LL and n3 EPA+DHA and most effectively reduced by n3 EPA+DHA. Plasma triglyceride(TG ) level was reduced by n6 LA, but lipogenesis in liver was not affected by n6 LA. However, plasma TG level was lowered by n3 LL and EPA+DHA. Both lipogenic enzyme activity and liver TG level were also decreased by n3 PUFA. PO and FO group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relative Proportions of C20:5 and C22:6 of plasma and liver and lower in those of C20:4/C20:5 ratio. Overall, the lipid-lowering effect was in the order of n3 EPA+DHA >n3 LL > n6 LA and fish oil and perilla oil rich in n3 PUFA may have important nutritional applications in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hyperlipidemia.

  • PDF

시판 국내산 및 수입산 다슬기(Semisulscospira sp.)의 일반성분 및 지방산 조성 (Proximate and Fatty Acid Compositions of Commercial Domestic and Imported Melania Snails Semisulscospira sp.)

  • 문수경;김인수;임치원;윤나영;정보영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8권6호
    • /
    • pp.977-981
    • /
    • 2015
  • The proximate, fatty acid and dimethyl acetal (DMA) compositions of domestic and imported melania snails Semisulcospira sp. being sold commercially were studied. The protein content ranged from 8.09% (China) to 11.3% (North Korea). The lipid content ranged from 0.84 (China) to 2.36% (North Korea). Domestic melania snail had protein (10.5%) and lipid (1.02%) contents intermediate between those of the two imported melania snails. The prominent fatty acids were 16:0 and 18:0 saturated fatty acids, 16:1n-7, 20:1n-11, 18:1n-9, 18:1n-7 and 16:1n-9 monounsaturated fatty acids, and 20:4n-6, 20:5n-3 (eicosapentaenoic acid, EPA), 22:2 non-methylene-interrupted diene (NMID), 18:3n-3, 18:2n-6 and 22:5n-3 (docosapentaenoic acid, DPA) polyunsaturated fatty acids (PUFA). The percentage of n-3 PUFA was higher in domestic (19.6%) and North Korean (imported, 19.5%) snails than in that from China (imported, 16.8%), while the n-6 PUFA level was higher in snails from China (21.2%) and domestic snails (14.7%) than in that from North Korea (9.87%). The total DMA, i.e., 18:0 DMA, 16:0 DMA and 18:1 DMA was 7.30, 7.27, and 4.86% domestic snail and those from China and North Korea, respective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melania snail is a source of n-3 PUFA, and DMA derived from plasmalogen.

아마씨앗 첨가 한우사료가 등심 지방의 n-6/n-3 변화 및 이를 섭취한 사람의 혈중 콜레스테롤 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Hanwoo Diets Containing Linseed on Plasma Cholesterol Levels of Humans to Beef Consumption and Change in n-6/n-3 Fatty Acid of Loin Fat)

  • 박상오;박병성;여인서;황보종;방한태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265-276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한우사료 내 아마씨앗의 급여가 등심 내 오메가 6와 3 지방산 비율(n-6/n-3) 감소효과 및 n-6/n-3 균형 한우고기를 섭취한 사람의 혈액 중 LDL-C 감소효과를 조사하는 것이었다. 단계별로 거세한우 20마리를 이용하여 대조군과 아마씨앗을 함유하는 n-3 처리구로 각각 10마리씩 나누어 완전임의 배치하였다. n-3 사료군은 대조군과 비교할 때 혈액 및 등심 내 n-6/n-3가 4:1이하로 감소하였으며 단일불포화지방산으로써 올레인산은 52.79%까지 증가하였다. 임상실험자의 70% 이상에서 나타난 균형 한우고기를 섭취한 그룹의 중성지방, 총콜레스테롤 및 LDL-C은 각각 25.35, 5.22, 17.59% 감소하였고 수입 쇠고기는 9.05, 8.21, 21.70% 증가하였으나 일반한우는 큰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균형 한우고기를 섭취한 그룹의 HDL-C는 6.07% 증가하였으나 수입 쇠고기와 일반한우는 각각 14.46, 11.46% 감소하였다. 혈당은 균형 한우고기와 일반 한우고기가 각각 6.42, 11.82% 감소하였으나 수입 쇠고기는 15.19% 증가하였다.

참치 내장유 중에서 레시틴의 분리, 정제 및 이용에 관한 연구 1. 레시틴의 분리 및 정제 (Studies on the Isolation, Refining and Utilization of Lecithin from Skipjack Viscera Oil 1. The Isolation and Refining of Lecithin)

  • 김귀식;정보영;배태진;오원숙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895-900
    • /
    • 1998
  • 참치 통조림 가공 중 얻어지는 부산물중 내장유의 효율적인 이용을 위해 레시틴을 분리한 후 탈색과 탈취 등의 정제조건을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참치 내장유에서 최적의 레시틴 분리를 위해 첨가하는 구연산량은 시료유 100ml에 대하여 0.4ml가 적당하였다. 레시틴의 탈색은 활성백토 $5\%$를 첨가하du 처리 ($40^{\circ}C$, 10분) 하는 것이 효과적이었으며, 탈취조건은 4Torr 이하의 감압하에서 수증기 증류법으로 처리 ($130^{\circ}C$, 60분)하는 것이 적절하였다. 참치 내장유중의 주요 인지질은 phosphatidyl choline, sphingomyelin 및 phosphatidyl ethanolamine이 었다. 참치 내장유의 지방산 조성은 포화산의 함유율이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monoene산 및 polyene산의 순이였다. 이들을 구성하는 주요 지방산은 16:0, 18:1 (n-9), 22:6 (n-3), 18:0, 및 16:1 (n-7)의 순이였고 그 외에 14:0, 20:5 (n-3) 및 18:1 (n-7)도 주체를 이루고 있었다. 그리고 최후 정제공정을 거친 탈취 내장유 레시틴의 지방산 조성은 포화산의 함유율이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polyene산 및 monoene산 순이였다. 또한 이들을 구성하는 주요지 방산은 16:0, 22:6(n-3), 18:1 (n-9), 14:0, 16:1 (n-7), 18:0 및 18:3 (n-3)순이였고 그 외에 16:1 (n-7), 20:5 (n-3) 및 14:0도 주체를 이루고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