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2006 Korean national mathematics curriculum

검색결과 27건 처리시간 0.021초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의 내용 선정과 조직에서의 쟁점 - 2006년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Debates on the New National Elementary Mathematics Curriculum Content)

  • 한대희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633-658
    • /
    • 2010
  • 이 연구는 2006년에 고시된 교육과정과 지난 제 7차 교육과정을 비교하여 내용 항목과 관련된 개정 사유와 개정 과정에서 있었던 쟁점을 분석하고자 한 것 이다. 이를 위하여 이번 교육과정 개정과 관련된 보고서와 연구물을 수집, 분석하였다. 2006년 개정에서 초등학교 내용과 관련하여 쟁점이 있었던 개정 사항을 학년 간 이동된 내용, 분수 개념의 지도 계열, 문제해결 영역 설정 등의 세 가지로 나누어 정리하고, 각 개정 사항이 어떤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는지, 개정 과정에서 어떤 논쟁이 있었는지, 그리고 개정 사항에 대하여 어떤 사유가 제시되고 있는가를 확인하였다. 이로부터 이번 교육과정의 개정에서 다양한 이견이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이견은 초등수학의 양과 수준에 대한 근본적인 신념의 차이나, 초등 수학 내용의 도입 시기나 지도 계열에 대한 수학 교육적 견해의 차이 그리고 교육 과정의 내용을 제시하는 하는 방식에 대한 인식의 차이에서 비롯되고 있음을 논의하였다. 이와 같은 분석으로부터 수학과 교육과정의 내용의 선정 및 조직과 관련된 시사점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 PDF

제7차 수학과 선택 중심 교육과정 운영 실태 분석 및 개선 방안 탐색 (An Analysis on the Implementation and the Methods of Development of the 7th Optional Mathematics Curriculum)

  • 이대현;최승현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45권2호
    • /
    • pp.231-242
    • /
    • 2006
  • National curriculum is very important for the future of nation. So, continuous efforts are needed to improve the national curriculum. This study examined the issues and the problems related with the 7th optional mathematics curriculum, and gave the message about th: methods of implementation. For this, we analyzed the result of the questionnaire survey which consisted in the question about the 7th optional mathematics curriculum. 264 high school mathematics teachers are participated in this survey. We found the result that the 7th optional mathematics curriculum has the problem in contents and management. So, this study gave not only the problem but also the various concrete methods for management of the 7th optional mathematics curriculum. We hope that mathematics education members research and argue about the optional mathematics curriculum for next curriculum.

  • PDF

보기보다 쉽지 않다: 초등 수학교육과정에 대한 수학교사의 인식 (Not as easy as It Looks: Korean Elementary Classroom Teacher Perceptions of Mathematics Curriculum)

  • 정인숙;류희찬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8권4호
    • /
    • pp.365-377
    • /
    • 2006
  • 본 연구는 제7차 수학교육과정에 대한 한국 초등 수학 교사들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자들이 고안한 설문지를 사용한 결과 모두 143명이 설문에 응하였다. 데이터는 기술적 방법에 의거 분석되었다. 응답자의 67%가 교육 과정이 범위와 계열에 있어 만족스럽다고 보고 있으나 43%는 가르칠 내용의 교수학적 전략이 교사용 지도서에 보다 자세히 명기될 필요성을 지적하고 있다. 38명(26%)는 너무 많은 내용이 지도되고 있다고 지적하고 있으며 35명(24%)는 가르칠 내용이 학생들의 인지 발달 수준에 비해 너무 어렵다고 지적하고 있다. 응답자들은 수학을 지도하는 데 있어서 가장 어려운 점으로 과외 활동으로 인해 관계로 능력 차가 매우 다른 학생들을 대상으로 수업을 개별화하는 것임을 지적하고 있다.

  • PDF

영국과 우리나라의 수학과 교육과정 비교 분석 연구 - 도형과 측정 영역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omparison and analysis of school mathematics curriculum in England and Korea, focused on the 'shape, space, and measures' domain)

  • 신항균;황혜정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45권4호
    • /
    • pp.407-438
    • /
    • 2006
  • This study investigated school mathematics curriculum of England, newly revised in 1998, focused on the 'shape, space, and measures' domain among three major domains of the English curriculum. On the basis of its understanding, this domain was compared and analyzed with school mathematics curriculum of Korea. In doing so, this study explored its plans and procedures and established a frame of comparison for the curriculums between the two countries. The structure of the National Curriculum in England is composed of programmes of study and attainment targets. The former sets out what should be taught in mathematics at key stages 1, 2, 3, and 4 and provides the basis for planning schemes of work, and the latter sets out the knowledge, skills, and understanding that pupils of different abilities and matures are expected to have by the end of each key stage. Attainment targets are composed of eight levels and an additional level of increasing difficult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Korea focuses on the formal and systematic mathematical knowledge on the basis of sound understanding of certain mathematical terms or concepts. On the other hand, England curriculum tends to deal with the content which can be understood more intuitively, flexibly, and naturally through the experience and aquisition based on the concrete manipulation. Particularly, it emphasizes that mathematics be realistic and useful in solving a diverse problems confronted in everyday life.

  • PDF

PISA수학성취도 평가에 나타난 한국 학생들의 성차 추이의 배경 요인 연구 (A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Gender Differences Changes of Korean students in PISA Mathematics Assessment)

  • 이은정;이경화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1권4호
    • /
    • pp.313-326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PISA수학성취도 자료와 국내외 성차 관련 연구 자료를 분석하여 우리나라 학생들의 성차 추이와 그에 대한 배경을 살펴보았다. 우리나라는 2000년과 2003년 PISA수학성취도 평가에서 유의미하게 큰 성차를 보인 반면 2006년부터 성차가 급격히 감소하였다. 이러한 성차의 급격한 감소 현상에 영향을 미친 요인을 탐색하기 위해 국내외 성차 관련 연구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여성의 이공계 진출을 유도하는 국가차원의 정책적 지원과 같은 사회문화적 변화와 교육과정과 그에 따른 교과서의 변화 등과 같은 요인들이 여학생의 수학 성취도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The Intended Curriculum and Cultural Traditions - A Comparative Case Study of Berlin and Hong Kong

  • Lui, Ka Wai;Leung, Frederick Koon Shing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15권3호
    • /
    • pp.209-228
    • /
    • 2011
  • Many studies such as Pepin (1999a; 1999b), Kaiser (2002), and Park & Leung (2006) revealed that there is a strong dependence of mathematics teaching on cultural traditions in different countries. This study was set up as a detailed comparison between the intended curricula in Berlin and Hong Kong to explore how cultural tradition influenced the intended curriculum. In this study, the intended curriculum is what the (local, state or national) curriculum developers stipulate in the official documents. The German educational system is influenced by the curriculum tradition called Didaktik. Didaktik is a tradition about teaching and learning. Since 16th century, Didaktik has been the most important tool for planning, enacting, and thinking about teaching in most of northern and central Europe (Westbury, 1998). On the other hand, the education system in Hong Kong is influenced by both the Anglo-Saxon curriculum tradition and the Confucian heritage culture (CHC). It was found in this study that, although many studies revealed that there is a strong dependence on cultural traditions of mathematics teaching in different countries, other factors such as social factors or the education system also played an important part in shaping the intended mathematics curriculum. So a simplistic view of dependence of the curriculum on cultural traditions is not warranted. The formation of the curriculum is a much more complicated process encompassing various factors including needs of society, advancement of technology, and government policies at different levels.

시엠피(The Connected Mathematics Project)에 대한 고찰 (A Survey of the Connected Mathematics Project)

  • 김해규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5권1호
    • /
    • pp.119-145
    • /
    • 2011
  • 최근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2009 수학과 교육과정 개발 연구에 시사점을 제공할 목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1990년대 이후에 미국에서 추진되고 있는 수학교육 개혁 프로그램 중의 하나인 'The Connected Mathematics Project(이하, CMP)'에 대하여 고찰한다. 연구 내용들은 CMP를 추진하게 된 배경, 1991년에서 1996년 사이에 수행된 CMP(이하, CMP1)에서 개발된 교과서(이하 CMP1 교과서)에 대한 논란, CMP1을 수정 보완하기 위하여 2000년에서 2006년 사이에 수행된 CMP(이하, CMP2)의 교육과정이며, 문헌연구 방법을 통하여 살펴본 결과, CMP2 교육과정에서는 CMP1 교과서에 대해 제기됨 논란을 일부 반영하여, 기본적인 기능 습득을 위한 절차를 도입하고 과다한 수업량과 시수를 감축할 뿐만 아니라 대수를 강조하고 자료 분석 내용들을 강화하였다.

2011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의 학습내용 성취 기준 양태 분석: '이해한다', '안다', '의미'를 중심으로 (An Analysis of Modes in the Learning-Content Achievement Standards of Korean 2011 Elementary Mathematics Curriculum: Focused on 'Understand', 'Know' and 'Meaning')

  • 박교식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3권4호
    • /
    • pp.517-531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의 성취 기준 진술상 비일관성이 없어야 한다는 관점에서, 2011 교육과정의 학습내용 성취 기준에서 많이 사용하는 어휘인 '이해하다', '안다', '의미'를 대상으로, 그것의 비일관적 사용에 관해 논의하고 있다. 이를 위해, 그것이 2011 교육과정에서 비일관적으로 나타나는 양태를 분석하고 있다. 이러한 분석의 결과는 2011 교육과정에서 어떤 원칙을 바탕으로 '이해하다', '안다', '의미'를 사용한 것으로 보기 어렵다는 것을 말해준다. 양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차후의 교육과정 개발을 위해 다음의 세 가지 제안을 결론으로 제시한다. 성취 기준 진술에서 첫째, '이해하다'를 어떤 맥락에서 사용하는지 한정할 필요가 있다. 둘째, '안다'와 '이해하다'의 차이를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 셋째, '~의 의미'에서 '의미'가 무엇을 함의하는지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

  • PDF

2007년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의 이행에 따른 학년간 내용 이동 분석 (On the Gap of Revision and the 7th National Mathematics Curriculum according to Shifts in Contents)

  • 김상미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11권2호
    • /
    • pp.95-103
    • /
    • 2008
  • 제7차에서 2007년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으로 이행하면서 이에 따라 개발된 교과서를 2009년부터 실행하게 된다. 개정안으로 이행함에 따라 수학과 교육내용의 일부는 학년 간에 이동하였다. 이로 인하여 교육과정 이행 시기 속에 있는 특정 학년도 학생들은 별도의 조치가 없이 도입된다면 일부 내용의 탈락이 예상된다. 본 논문은 2007년 개정 교육과정 이행 시기에 있는 학년별 수학과 교육내용의 이동을 분석하고 이행 시기에 있는 특정 학년도 학생들이 겪게 되는 학년 간 내용 이동에 따른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첫째로, 2007년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 이행에 따라 학년 간 이동하는 수학과 교육내용을 영역별로 살펴보고, 둘째로, 2007년 개정 교육과정의 실시 시기에 따라서 특정 학년도 학생들에게 나타나게 될 학년 간 이동에 따른 교육 내용의 탈락을 분석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