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2-Phenoxyethanol

검색결과 32건 처리시간 0.024초

지구물리 탐사기법을 이용한 심해 Dmitri Donskoi호 확인 (Locates the Sunken Ship 'Dmitri Donskoi' using Marine Geophysical Survey Techniques in Deep Water)

  • 유해수;김수정;박동원
    • 한국지구물리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구물리탐사학회 2004년도 정기총회 및 제6최 특별 심포지움
    • /
    • pp.104-117
    • /
    • 2004
  • 해양지구물리탐사 기술을 이용하여 100년 전 러${\cdot}$일 전쟁 당시 울릉도 저동 앞바다에 침몰한 6200톤급 Dmitri Donskoi호를 확인하고 인양가능성 평가를 위한 기술검토를 실시하였다. 심해 침몰선 확인을 위해 주로 해양지질, 지구물리, 해양물리학적 방법을 이용하여 해저지형과 영상 그리고 퇴적상태와 해류 등에 대한 정보를 얻었다. 해저영상 및 지형정보를 얻기 위하여 Multi-beam과 Side scan sonar, Chirp 등을 이용하였으며 철 구조물의 확인은 자력탐사를 사용하였다. 지구물리탐사를 통해 확인된 이상체에 대하여 심해용 카메라와 ROV(Remotely Operated Vehicle) 및 유인 잠수정 등으로 침몰선의 비디오 영상을 얻은 후, 이를 러${\cdot}$일 전사자료 및 실물 모형과 비교하였다. 한편 침몰선체 인양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선체 부식강도 측정을 실시하였다. 굴곡이 큰 심해 계곡에서의 지구물리 탐사방법에서는 음파의 난반사로 인해 해저 영상 구별이 어려웠으며, 중천해용 다중빔에 의한 탐사에서만 빔 각도를 조절하여 해저영상 확인이 가능하였다. 조사지역이 철성분이 많이 함유된 대규모 화산암 지대이므로 일반 자력탐사로는 침몰선의 식별이 어려웠으며 정밀도가 높은 Gradiometer를 사용할 경우에만 이상대 확인이 가능하였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센서를 해저면 가까이 접근시켜 조사를 해야 한다. 해양지질, 지구물리, 해양물리 자료를 종합적으로 분석한 결과 침몰선을 발견할 수 있었으며, 발견된 침몰선은 함포가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군함으로 판명되었다. 또한 전사기록 및 실물 모형과 비교해 볼 때 Dmitri Donskoi호로 추정된다. 100년 된 침몰선체의 부식정도를 전기화학적인 방법으로 예측해본 결과 침몰선체의 강도는 초기강도에 비해 약 2/5정도 감소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할 수 있었다. 이 연구 사례를 통하여 3차원 GPR 탐사 또한 국부적인 이상대의 규명뿐만 아니라 광역적인 고고학 조사에도 다른 물리탐사와 마찬가지로 쉽게 활용될 수 있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3차원 GPR 탐사가 향후 국내의 문화재 조사에 표준화된 탐사과정 중의 하나로써 적극 활용되길 기대한다.larity가 높은 oil에서는 약 $70 {\~} 90\%$의 phenoxyethanol이 유상에 존재하였다. 또한, 미생물에 대한 항균력도 phenoxyethanol이 수상에 많이 존재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제형 내 oil tomposition을 변화시킴으로써 phenoxyethanol의 사용량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피부 투과를 감소시켜 보다 피부 자극이 적은 저자극 방부시스템 개발이 가능하리라 보여 진다. 첨가하여 제조한 curd yoghurt는 저장성과 관능적인 면에서 우수한 상품적 가치가 인정되는 새로운 기능성 신제품의 개발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여자의 경우 0.8이상이 되어서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 범위에 속하는 수준이었다. 삼두근의 두겹 두께는 남녀 각각 $20.2\pm8.58cm,\;22.2\pm4.40mm$으로 남녀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조사대상자의 식습관 상태는 전체 대상자의 $84.4\%$가 대부분이 하루 세끼 식사를 규칙적으로 하고 있었으며 식사속도는 허겁지겁 빨리 섭취하는 경우가 남자는 $31.0\%$, 여자는 $21.4\%$로 나타났고 이들을 제외한 나머지 사람들은 보통 속도 혹은 충분한 시간을 가지고 식사를 하였다. 평소 식사량은 조금 적게 혹은 적당하게 섭취하는 사람이 대부분이었으며 남자가 여자보다는 배부르게 먹는 경 향이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식사는 혼자 하는 경우가 남자는 $20.4\%

  • PDF

에멀젼 제형에서 수종의 폴리올이 방부 시스템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Various Polyols on Antiseptic System in Emulsions)

  • 조완구;조영진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477-484
    • /
    • 2008
  • It is inevitable to use chemical germicidal agents like paraben, imidazolidinyl urea and phenoxyethanol to preserve the emulsions which is usually used in cosmetics. Although these chemical preservatives are good enough to reduce the microbiological contamination, they are irritative, allergenic to the skin. Several kinds of polyols are used in cosmetics as moisturizer and solvent. In this study, we evaluate the effects of polyols on anti-microbial activities, safety and resistant index. MIC(minimal inhibitory concentration) of polyols determined against 6 germs including Staphylococcus aureus. The order of MIC was PG $\cong$ DPG $\cong$ 1,3BG > HG > 1,2-PD > 1,2-HD $\cong$ 1,2-OD. The $2{\sim}3\;wt%$ of 1,2-HD(hexanediol) shows good anti-microbial effects in emulsions without allergenic response. Resistant index of 1,2-HD was less than 2 and this value was smaller than that of chemical preservatives. The mechanism of antimicrobilogical effect might be disturb the membrane of germs by investigating using electron microscope. Added to that, using this paradigm, low preservative contents, paraben-free system, and even preservative-free systems can be expected from these results.

이방성 레이다 시추공 토모그래피와 그 응용 (Anisotrpic radar crosshole tomography and its applications)

  • 김정호;조성준;이명종
    • 한국지구물리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구물리탐사학회 2005년도 제7회 특별심포지움 논문집
    • /
    • pp.21-36
    • /
    • 2005
  • 우리나라의 지질은 화강암과 편마암이 주를 이루나 시추공 레이다 토모그래피 탐사자료에서 이방성이 나타나는 것은 드문 일이 아니며 심지어는 결정질 암반에서 나타나기도 한다. 이방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불균질 타원형 이방성 매질을 가정하여 토모그래피 역산 알고리듬을 개발하였으며, 이를 계속적으로 개량하여 왔다. 개발된 알고리듬에 의한 역산 결과는 세 종류의 변수, 즉 최고속도, 최저속도, 대칭축 방향의 세 종류의 토모그램으로 영상화할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먼저 개발된 알고리듬에 대하여 논의하고, 국내에서 수행한 4가지의 이방성 레이다 토모그래피 탐사 사례에 대해 소개한다 전반부의 두 사례는 토목 구조물의 건설을 위한 지반조사의 일환으로 수행한 사례로서, 주목적은 석회암 용식공동의 탐지에 있었다. 후반부의 두 탐사 사례는 결정질 암반인 편마암과 화강암 지역에서 수행한 사례이다. 이들 4가지 사례에서 이방성을 야기하는 원인은, 화강암 지역에서 수행한 사례에서는 미세 열극이 일정한 방향으로 배열함에 있었으며, 나머지 석회암과 편마암 지역에서의 사례는 특정광물이 일정한 방향으로 배열함에 있었다 이들 이방성 토모그래피 탐사 사례에 대한 논의를 통하여, 지하 매질이 이방성을 될 경우, 이방성의 분포는 지하의 상태 변화를 이해하는 데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며, 이방성 분포 자체가 매우 중요한 정보라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특히 최고속도와 최저속도의 차이를 최고속도로 정규화한 값으로 정의한 이방성 계수와 대칭축 방향은 이방성 토모그래피 영상을 해석함에 매우 유용함을 확인하였다.verlapping Rate(DOR)는 상호작용 예측 정확도의 중요한 요소임을 찾아 내었다.time을 최소화하는 동시에 클라이언트들의 제한된 에너지 소비를 최소화하는데 목적이 있다. 제안기법에 대한 평가는 수학적 분석을 통해 HIDAF 기법과 기존의 브로드캐스트 기법의 성능을 비교 분석한다.하였으나 사료효율은 증진시켰으며, 후자(사양, 사료)와의 상호작용은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는 거세비육돈에서 1) androgen과 estrogen은 공히 자발적인 사료섭취와 등지방 침적을 억제하고 IGF-I 분비를 증가시키며, 2) 성선스테로이드호르몬의 이 같은 성장에 미치는 효과의 일부는 IGF-I을 통해 매개될 수도 있을을 시사한다. 약 $70 {\~} 90\%$의 phenoxyethanol이 유상에 존재하였다. 또한, 미생물에 대한 항균력도 phenoxyethanol이 수상에 많이 존재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제형 내 oil tomposition을 변화시킴으로써 phenoxyethanol의 사용량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피부 투과를 감소시켜 보다 피부 자극이 적은 저자극 방부시스템 개발이 가능하리라 보여 진다. 첨가하여 제조한 curd yoghurt는 저장성과 관능적인 면에서 우수한 상품적 가치가 인정되는 새로운 기능성 신제품의 개발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여자의 경우 0.8이상이 되어서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 범위에 속하는 수준이었다. 삼두근의 두겹 두께는 남녀 각각 $20.2\pm8.58cm,\;22.2\pm4.4

  • PDF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Alkoxyalcohols in Wet Wipes Using Static Headspace Gas Chromatography and Mass Spectrometry

  • Lee, Soojin;Pyo, Heesoo;Chung, Bong Chul;Kim, Haidong;Lee, Jeongae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35권11호
    • /
    • pp.3280-3288
    • /
    • 2014
  • Alkoxyalcohols are used as solvents or preservatives in various consumer products such as wet wipes. The metabolites of alkoxyalcohols are known to be chronically toxic and carcinogenic to animals. Thus, an analytical method is needed to monitor alkoxyalcohols in wet wip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imultaneous analytical method for 14 alkoxyalcohols using headspace gas chromatography coupled with mass spectrometry to analyze the wet wipes. This method was developed by comparing with various headspace extraction parameters. The linear calibration curves were obtained for the method ($r^2$ > 0.995). The limit of detection of alkoxyalcohols ranged from 2 to $200ng\;mL^{-1}$. The precision of the determinative method was less than 18.20% coefficient of variation both intra and inter days. The accuracy of the method ranged from 82.86% to 119.83%. (2-Methoxymethylethoxy)propanol, 2-phenoxyethanol, and 1-phenoxy-2-propanol were mainly detected in wet wipes.

Synthesis and Properties of Poly[oxy(arylene)oxy(tetramethyldisilylene)]s via Melt Copolymerization Reaction

  • Jung, Eun Ae;Park, Young Tae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34권6호
    • /
    • pp.1637-1642
    • /
    • 2013
  • We carried out the melt copolymerization reactions of 1,2-bis(diethylamino)tetramethyldisilane with several aryldiols such as, 4,4'-biphenol, 4,4'-isopropylidenediphenol, 9H-fluoren-9,9-dimethanol, and 4,4'-(9-fluorenylidene) bis(2-phenoxyethanol) to afford poly[oxy(arylene)oxy(tetramethyldisilylene)]s containing fluorescent aromatic chromophore groups in the polymer main chain: poly[oxy(4,4'-biphenylene)oxy(tetramethyldisilylene)], poly[oxy{(4,4'-isopropylidene) diphenylene}oxy(tetramethyldisilylene)], poly[oxy(9H-fluorene-9,9-dimethylene) oxy(tetramethyldisilylene)], and poly[oxy{4,4'-(9-fluorenylidene)bis(2-phenoxyethylene)}oxy(tetramethyldisilnylene)]. These prepared materials are soluble in common organic solvents such as $CHCl_3$ and THF. The obtained polymers were characterized by several spectroscopic methods such as $^1H$, $^{13}C$, and $^{29}Si$ NMR. Further, FTIR spectra of all the polymers exhibited characteristic Si-O stretching frequencies at 1014-1087 $cm^{-1}$. These polymeric materials in THF showed strong maximum absorption peaks at 268-281 nm, strong maximum excitation peaks at 263-291 nm, and strong maximum fluorescence emission bands at 314-362 nm due to the presence of tetramethyldisilylene and several arylene chromophores in the polymer main chain. TGA thermograms indicated that most of the polymers were stable up to $200^{\circ}C$ with a weight loss of 3-16% in nitrogen.

국내 판매중인 여성청결제의 사용실태 및 함유 보존제 분석 (Usage Patterns of Feminine Hygiene Products and Preservative Contents in Feminine Cleansers in the Korean Market)

  • 김완서;윤영인;이고운;박나연;고영림;최경호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115-123
    • /
    • 2018
  • Objectives: Preservatives, suspected to be endocrine disrupting chemicals, are widely used in feminine hygiene products for the prevention of deterioration. Information regarding the usage patterns of feminine hygiene products and the concentrations of preservatives in these products is limited.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use of feminine cleansers among Korean women and quantify the concentration of preservatives in feminine cleansers. Methods: Approximately 500 women were recruited from the city of Busan in August 2017 and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the use of feminine cleansers. Several major feminine hygiene products (n=69) were identified and selected for analysis of 22 preservatives. Following appropriate preparation, the products were analyzed by HPLC/DAD. Results: Over 70% of the participating women used at least one feminine cleanser. Marital status and parity were associated with the frequency of use. Liquid was most frequently used form of feminine cleanser (66.6%). The greatest proportion of subjects answered that they use it 'one to two times per week' (36.5%). Among the 69 feminine cleansers, benzoic acid, sorbic acid, phenoxyethanol, and methyl paraben were detected at $144-4,428{\mu}g/g$, $195-1,470{\mu}g/g$, $269-4,237{\mu}g/g$, and $625-4,901{\mu}g/g$, respectively. BA was the most frequently detected (46.4%). Conclusions: In the present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feminine cleanser use among Korean women were investigated. Based on an analysis of preservatives in the feminine hygiene products, one product was determined to exceed the maximum authorized concentration of MeP (0.4%). Our results will help refine exposure and risk assessment for toxic chemicals in feminine cleansers.

Abnormal behaviour in rock bream (Oplegnathus fasciatus) detected using deep learning-based image analysis

  • Jang, Jun-Chul;Kim, Yeo-Reum;Bak, SuHo;Jang, Seon-Woong;Kim, Jong-Myoung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25권3호
    • /
    • pp.151-157
    • /
    • 2022
  • Various approaches have been applied to transform aquaculture from a manual, labour-intensive industry to one dependent on automation technologies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echnologies associated with the monitoring of physical condition have successfully been applied in most aquafarm facilities; however, real-time biological monitoring systems that can observe fish condition and behaviour are still required. In this study, we used a video recorder placed on top of a fish tank to observe the swimming patterns of rock bream (Oplegnathus fasciatus), first one fish alone and then a group of five fish. Rock bream in the video samples were successfully identified using the you-only-look-once v3 algorithm, which is based on the Darknet-53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In addition to recordings of swimming behaviour under normal conditions, the swimming patterns of fish under abnormal conditions were recorded on adding an anaesthetic or lowering the salinity. The abnormal conditions led to changes in the velocity of movement (3.8 ± 0.6 cm/s) involving an initial rapid increase in speed (up to 16.5 ± 3.0 cm/s, upon 2-phenoxyethanol treatment) before the fish stopped moving, as well as changing from swimming upright to dying lying on their sides. Machine learning was applied to datasets consisting of normal or abnormal behaviour patterns, to evaluate the fish behaviour. The proposed algorithm showed a high accuracy (98.1%) in discriminating normal and abnormal rock bream behaviour. We conclude that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detection of abnormal behaviour can be applied to develop an automatic bio-management system for use in the aquaculture industry.

GC를 이용한 화장품 살균·보존제의 다성분 동시분석법 (Simultaneous Multicomponent Analysis of Preservatives in Cosmetics by Gas Chromatography)

  • 조상훈;정홍래;김영숙;김양희;박은미;신상운;엄경숙;홍세라;강효정;윤미혜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69-75
    • /
    • 2019
  • 우리나라 화장품의 살균 보존제 성분은 포지티브 리스트로 관리되고 있다. 포지티브 리스트는 적절한 정량분석법이 필요하지만 아직 분석법 개발이 미비한 상황이다. 본 실험에서는 가스크로마토그래피와 불꽃이온화검출기(GC/FID)를 이용하여 살균 보존제 성분 14종을 동시분석 하는 방법을 개발하였다. 분석법의 validation 결과 특이성을 확인하였고, 검량선의 직선성은 dehydroacetic acid (0.9891)를 제외한 14종에서 상관계수가 0.9997 이상으로 양호하였다. 검출한계(LOD)와 검량한계(LOQ)는 각각 0.0001 mg/mL ~ 0.0039 mg/mL와 0.0003 mg/mL ~ 0.0118 mg/mL로 나타났으나, dehydroacetic acid는 각각 0.0204 mg/mL, 0.0617 mg/mL로 나타났다. 반복성은 1.0% 이하로 나왔으나 dehydroacetic acid는 7.1%로 나왔다. 회수률은 96.9% ~ 109.2% 나타났다. 본 실험방법으로 유통 중인 화장품 50건을 검사한 결과 화장품에 주로 사용되는 살균 보존제는 chlorophene, phenoxyethanol, benzyl alcohol, parabens 이고, 모두 배합한도 이내로 검출되었다.

가스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한 화장품 중 항균작용의 3종의 직쇄상 1,2-알칸디올류의 동시분석 (Simultaneous Analysis of Antimicrobial Three Straight Chain 1,2-alkanediols in Cosmetics by Gas Chromatography)

  • 이후섭;이상훈;김은죽;정철희;표형배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37-44
    • /
    • 2014
  • 화장품에 사용되는 방부제로는 가격이 저렴하고 방부효과가 좋은 파라벤류, 페녹시에탄올 및 클로로페네신 등이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하지만, 최근들어 이들 방부제가 독성과 피부 자극을 유발할 수 있다는 소비자들의 인식으로 인하여 항균 작용이 있는 직쇄상 1,2-알칸디올로 대체되고 있는 추세이다. 하지만, 항균 작용의 직쇄상 1,2-알칸디올도 피부에 자극을 줄 수 있어 제한적으로 사용되어야 하므로 화장품 내 함량을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실험에서는 가스크로마토그래피 불꽃이온화검출기(GC/FID)를 이용하여 화장품에서 3종의 직쇄상 1,2-알칸디올류 중, 1,2-pentanediol, 1,2-hexanediol, 1,2-octanediol을 동시 분석하였다. 분석법 Validation 결과 특이성을 확인할 수 있었고, 3종의 직쇄상 1,2-pentanediol, 1,2-hexanediol, 1,2-octanediol의 검량선은 $100{\sim}1,200{\mu}g/g$의 농도 범위에서 상관계수가 0.999 이상의 양호한 직선성을 나타내었다. 검출한계(LOD)와 정량한계(LOQ)는 각각 31, 40, $19{\mu}g/g$와 98, 108, $57{\mu}g/g$로 나타났다. 화장품 내 함량에 대한 정밀성(반복성)은 2.0% 이하의 상대표준편차(% RSD)를 나타냈고, 정확성(회수율)은 99.3 ~ 103.3%, 99.4 ~ 106.7%, 97.5 ~ 107.3%로 각각 나타났다. 따라서 화장품 내에서 3종의 1,2-알칸디올류의 동시 분석이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시험법은 3종의 1,2-알칸디올류를 화장품에서 정확하게 정량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국내 유통 자외선 차단 기능성화장품 중 살균보존제 및 자외선차단성분 사용실태조사 (Survey of Preservatives and UV Filter Ingredients of Distributed Sunblock Products in Korea)

  • 박정희;김종필;김진아;서계원;김은선;서정미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381-390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국내 유통 중인 자외선 차단 기능성화장품 총 100건을 대상으로 살균보존제 16종과 자외선차단성분 18종의 사용실태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검출률이 가장 높은 살균보존제 성분 5가지는 페녹시에탄올(61건), 안식향산(19건), 메틸파라벤(11건), 벤질알콜(8건), 프로필파라벤(7건)순이었으며, 자외선차단성분의 경우는 티타늄디옥사이드(81건),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69건), 징크옥사이드(48건), 에칠헥실살리실레이트(48건), 비스-에칠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44건)순이었다. 검사한 100건의 화장품 모두 검출된 살균보존제와 자외선차단성분 함량이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정한 사용한도 기준에 적합하였지만 일부 자외선 차단 화장품의 경우 포장 용기에 표시되어 있지 않은 살균보존제와 자외선차단성분이 검출되었다. 100건 중 31건의 화장품에서 표시되지 않은 살균보존제 성분(벤질 알콜 등 6종)이 검출되었고, 2건에서는 표시되지 않은 자외선차단성분(호모살레이트 등 2종)이 검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