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2-Phenethyl alcohol

검색결과 17건 처리시간 0.018초

GC-MS 및 HPLC를 이용한 대추발효주의 유리 아미노산 및 향기성분 분석 (Analysis of Free Amino Acids and Flavors in Fermented Jujube Wine by HPLC and GC/MS)

  • 전명숙;김순진;노봉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4권6호
    • /
    • pp.779-784
    • /
    • 2012
  • 통대추(JW1), 대추과육(JW2), 대추과즙(JW3)에 효모를 사용하여 만든 대추발효주의 제조과정 중 유리 아미노산과 향기성분을 HPLC와 GC-MS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Cysteine등 18종의 유리 아미노산이 검출 되었고 시험구별 총량은 각각 통대추구(JW1)가 141-210 ppm, 과육구(JW2)가 147-342 ppm, 과즙구(JW3)가 336-362 ppm이었다. 이 중 다량 검출된 유리 아미노산은 proline, aspartate, glutamate, arginine이었다. 한편 향기성분은 ethyl alcohol, iso-butyl alcohol, n-butyl alcohol, iso-amyl alcohol, n-amyl alcohol, phenethyl alcohol의 alcohol류 6종, ethyl acetate, hexyl acetate, ethyl caprylate, phenethyl acetate의 ester류 4종, diethylacetal, furfural, benzaldehyde의 aldehyde류 3종이 검출 되었으며 이 중 ethyl alcohol(30.50-33.95% peak area), benzaldehyde(2.55-15.97% peak area), iso-amyl alcohol(1.04-14.73% peak area), furfural(0.07-15.28% peak area), phenethyl acetate(0.78-9.28% peak area)가 많이 검출 되었다.

Characteristics of Korean Alcoholic Beverages Produced by Using Rice Nuruks Containing Aspergillus oryzae N159-1

  • Kim, Hye Ryun;Lee, Ae Ran;Kim, Jae-Ho
    • Mycobiology
    • /
    • 제45권2호
    • /
    • pp.119-122
    • /
    • 2017
  • Herein, nuruks derived from non-glutinous and glutinous rice inoculated with Aspergillus oryzae N159-1 (having high alpha-amylase and beta-glucosidase activities) were used to produce Korean alcoholic beverages. The resultant beverages had enhanced fruity (ethyl caproate and isoamyl alcohol) and rose (2-phenethyl acetate and phenethyl alcohol) flavors and high taste scores.

숙지황(熟地黃)의 성분연구 (Phytochemical Studies on Rehmanniae Radix Preparata)

  • 이주영;이은주;김주선;이제현;강삼식
    • 생약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117-126
    • /
    • 2011
  • Twenty-two compounds were isolated from the 70% ethanolic extract of Rehmanniae Radix Preparata (Scrophulariaceae) and their structures were identified as three triterpenoids [oleanolic acid (1), pomonic acid (2) and ursolic acid (5)], an iridoid, catalpol (13), four furan derivatives [5-hydroxymethyl-2-furaldehyde acetate (3), 5-hydroxymethyl-2-furfural (6), 5-hydroxymethyl-2-furancarboxylic acid (7), and 5-(${\alpha}$-D-galactopyranosyloxymethyl)-2-furancarboxaldehyde (15)], three phenethyl alcohol glycosides [darendoside B (14), phenethyl alcohol 2-O-${\beta}$-D-xylopyranosyl(1${\rightarrow}$6)-${\beta}$-D-glucopyranoside (17), and salidroside (19)], four sugar derivatives [L-arabinose (11), raffinose (20), stachyose (21), and mannitol (22)], and seven others [2,5-dihydroxyacetophenone (4), succinic acid (8), daucosterol (9), ${\beta}$-sitosterol (10), adenosine (16), uridine (18) jio-cerebroside (12)]. The chemical structures of these compounds were identified on the basis of spectroscopic methods and comparison with literature values. This is the first report of the triterpenoids oleanolic acid (1), pomonic acid (2), and ursolic acid (5) from the genus Rehmannia, as well as the first report of compounds 5-hydroxymethyl-2-furaldehyde acetate (3), 2,5-dihydroxyacetophenone (4), daucosterol (9), darendoside B (14), 5-(${\alpha}$-D-galactopyranosyloxymethyl)-2-furancarboxaldehyde (15), adenosine (16), phenethyl alcohol 2-O-${\beta}$-D-xylopyranosyl(1${\rightarrow}$6)-${\beta}$-D-glucopyranoside (17), and salidroside (19) from the Rehmanniae Radix Preparata.

질소비료형태(窒素肥料形態)가 Vinyl Mulching 재배시황색종(栽培時黃色種) 입담배의 휘발성 (揮發性) 향기성분(香氣成分)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Ammonium and Nitrate Nitrogen on the Volatile Oil of Flue-cured Tobacco under Vinyl Mulching Cultivation)

  • 장기운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31-40
    • /
    • 1988
  • 1. 황색종(黃色種) 담배를 P. E. Mulching 재배(栽培)시 $NH_4-N$ 처리구(處理區)가 $NH_4-N$ 처리구(處理區)에 비(比)하여 Nicotine함량(含量)이 적고 환원당(還元糖) 함량(含量)이 높았다. 2. 건조엽(乾燥葉)의 휘발성(揮發性) 향기성분중(香氣成分中) Furfural, Benzyl alcohol 및 Phenethyl alcohol의 경우(境遇) $NH_4-N$$NO_3-N$ 처리간(處理間)에 별(別) 차이(差異)가 없었다. 3. 담배 향미(香味)에 좋은 영향(影響)을 미치는 Linalool, Solanone, Damascenone, Neophtadiene 및 Oxysolanone+megastigmatriene-one의 함량(含量)이 $NH_4-N$ 처리구(處理區)보다 $NO_3-N$ 처리구(處理區)에서 현저(顯著)히 높았다. 4. 결론적(結論的)으로 $NO_3$태(態) 질소(窒素)보다 황색종(黃色種) 담배의 Nicotine함량(含量)을 감소(減少)시키면서 상대적(相對的)으로 중요(重要)한 향기성분(香氣成分)을 증가(增加)시키는 효과(效果)가 있었다.

  • PDF

Chemical Constituents of the Root of Dystaenia takeshimana and Their Anti-Inflammatory Activity

  • Kim, Ju-Sun;Kim, Jin-Cheul;Shim, Sang-Hee;Lee, Eun-Ju;Jin, Wen-Yi;Bae, Ki-Hwan;Son, Kun-Ho;Kim, Hyun-Pyo;Kang, Sam-Sik;Chang, Hyeun-Wook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9권8호
    • /
    • pp.617-623
    • /
    • 2006
  • In our ongoing search for bioactive compounds originating from the endemic species in Korea, we found that the hexane and EtOAc fractions of the MeOH extract from the root of Dystaenia takeshimana (Nakai) Kitagawa (Umbelliferae) showed cyclooxygenase-2 (COX-2) and 5- lipoxygenase (5-LOX) dual inhibitory activity by assessing their effects on the production of prostaglandin $D_2\;(PGD_2)$ and leukotriene $C_4\;(LTC_4)$ in mouse bone marrow-derived mast cells. By activity-guided fractionation, five coumarins, viz. psoralen (2), xanthotoxin (3), scopoletin (4), umbelliferone (5), and (+)-marmesin (6), together with ${\beta}-sitosterol$ (1), were isolated from the hexane fraction, and two phenethyl alcohol derivatives, viz. 2-methoxy-2-(4'-hydroxyphenyl)ethanol (7) and 2-hydroxy-2-(4'-hydroxyphenyl)ethanol (8), three flavonoids, viz. apigenin (9), luteolin (10), and cynaroside (11), as well as daucosterol (12) were isolated from the EtOAc fraction using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In addition, D-mannitol (13) was isolated from the BuOH fraction by recrystallization. Two of the coumarins, scopoletin (4) and (+)- marmesin (6), the two phenethyl alcohol derivatives (7, 8) and the three flavonoids (9-11) were isolated for the first time from this plant. Among the compounds isolated from this plant, the five coumarins as well as the three flavonoids showed COX-2/5-LOX dual inhibitory activity.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D. takeshimana might in part occur via the inhibition of the generation of eicosanoids.

Solid-Phase Microextraction(SPME)을 이용한 감식초의 휘발성 성분 분석 (Volatile Components in Persimmon Vinegars by Solid-Phase Microextraction)

  • 서지형;박난영;정용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153-156
    • /
    • 2001
  • 2단계 발효로 제조한 감식초를 static headspace-GC법과 SPME-GC법으로 휘발성 성분을 각각 포집 분석하여 상호간의 특성에 대해 조사하였다. 감식초의 휘발성 성분 포집조건은 $80^{\circ}C$에서 20분간으로 설정하였으며, 감식초 휘발성 성분의 total FID response는 CW/DVB fiber를 이용한 SPME법에서 total peak area $18.18{\times}10^6$로, static headspace-GC법의 total peak area $1.35{\times}10^6$보다 현저하게 높았다. 감식초의 주된 휘발성 성분으로 acetic acid, ethyl acetate, 3-hydroxy-2-butanone, ethanol, phenethyl alcohol 등이 확인되었으며, static headspace-GC법에서는 acid류 3종, aldehyde류 3종, alcohol류 5종, ester류 8종 및 ketone류 1종이 확인되었다. SPME-GC법에서는 acid류 6종, aldehyde류 7종, alcohol류 6종, ester류 9종, hydrocarbone류 2종, ketone류 1종, 기타 3종으로, 총 34종의 휘발성 성분이 확인되었으며, benzaldehyde, phenethylacetate, phenethylalcohol 등의 비율이 headspace-GC법에 비해 높았다.

  • PDF

Headspace Solid-phase Microextraction을 이용한 시판 복분자주의 휘발성분 분석 (Volatile Analysis of Commercial Korean Black Raspberry Wines (Bokbunjaju) Using Headspace Solid-phase Microextraction)

  • 이승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425-431
    • /
    • 2014
  • 국내 주요 시판 복분자주 24종을 수거하여 시료의 휘발성 향기성분을 HS-SPME법에 의해 추출한 후, GC-MS를 이용하여 분석 동정하였고 이들 성분의 정량 분석도 실시하였다. 총 43개의 성분이 동정되었고, 화학적 특성에 따라 분류하면 15 esters, 3 ketones, 7 alcohols, 2 aldehydes, 12 terpene류, 4 acids 성분이 동정되었다. ethyl acetate, ethyl octanoate, isoamyl alcohol, phenethyl alcohol이 동정된 성분중 높은 농도를 차지하였고, 그 외 ethyl hexanoate, ethyl decanoate, benzadehyde, dL-limonene, linalool, alpha-terpineol, myrtenol, acetic acid가 주요 성분으로 나타났다. 주성분 분석 결과 향기성분 구성 및 함량에 따라 제조지역별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복분자주에 사용되는 복분자 품종이 대개 북미산인 Rubus occidentalis L.으로 동일한 품종이 전국에 재배됨에 따라 향기성분 구성의 차이가 크지 않은 것으로 여겨진다. 또한 복분자주 제조과정의 특성상 발효 후 제성과정을 통해 발효 원주의 함량과 성분에 변화가 생기므로 생산지역보다는 제조공정 및 방법에 더 영향을 받는 것으로 여겨진다. 향후 생산지역별 제조시 사용되는 복분자에 대한 좀 더 자세한 품종 및 재배 특성에 대한 연구와 제조공정에 따른 이화학적 성분 분석이 필요하다. 그러나 향기성분 분포의 경우, 주요 발효산물인 ester, alcohol, acid 성분은 대개 1 사분면에 분포하고, 복분자 과실에서 유래하는 terpene류의 경우 4 사분면에 모두 분포하여 이들 성분간의 차이를 나타내었다. 향후 복분자주 품질관련 주요 지표물질로 활용이 가능하리라 여겨진다.

초산균에 따른 감자식초의 품질 비교 (Quality Comparison of Potato Vinegars Produced by Various Acetobacter Bacteria)

  • 서지형;정용진;김주남;우철주;윤성란;김대현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60-65
    • /
    • 2001
  • 초산균을 달리하여 제조한 감자식초의 품질을 상호 비교하여, 초산균에 따른 품질 특성을 조사하였다. 3종의 감자식초에 대한 pH는 2.90∼3.09, 총산 함량은 5.30∼5.60%로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Acetobacter sp. PA96을 이용한 감자식초(II)의 색상은 감자식초(I, III)과 구별되었다. 또한 acetic acid를 제외한 유기산 조성은 Acetobacter sp. PA97을 이용한 감자식초(I)에서 citric acid, oxalic acid, succinic acid, Acetobacter pasterianus JK99를 이용한(감자식초 III)에서 lactic acid, Acetobacter sp. PA96을 이용한 감자식초(II)에서 magic acid 비율이 높았다. 3종의 감자식초에서 유리아미노산은 glutamic acid, alanine, histidine, proline 등이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주요 휘발성 성분으로는 acetic acid, isoamyl acetate, isobutyl acetate, 3-methyl-1-butanol, 3-methyl-butanoic acid, phenethyl alcohol 등이 확인되었고, 초산균에 따라 구성비율에 차이가 있었다.

  • PDF

몇가지 페닐 알카놀의 Sodium Dodeylsulfate 수용액 미셀내에서의 가용화 위치 (The Solubilization Site of Some Phenyl Alkanols in Aqueous Sodium Dodecylsulfate Micelle)

  • 정종재;강정부;이경희
    • 대한화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194-199
    • /
    • 1994
  • Sodium dodecylsulfate(SDS) 0.2M수용액 미셀내에 몇 가지 페닐 알카놀$[C_6H_5(CH_2)_nOH;$ 페놀(n=1), 벤질 알코올(n=1), 펜에틸 알코올(n=2), 3-페닐-1-프로판올(n=3)]이 가용화(solubilization)될 때 이들의 가용화 위치를 이차원 이핵 상관 NMR분광법(Two dimensional heteronuclear correlation spectroscopy (2D C-H COSY)으로 조사하였다. 실험 결과 $^1H$-NMR 신호의 적분에 의하여 조사한 이전의 연구결과보다 훨씬 정량적이며 정확한 가용화 위치를 알 수 있었다. 이들이 SDS 미셀 중심의 중간부 메틸렌기에 침투하는 깊이는 ${\alpha}$메틸렌기로부터 6.5~7.0 단위까지 임을 알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