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2-Fluoroethanol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19초

시판(市販) 불소계(弗素系) 살서제(殺鼠劑)의 성분특성(成分特性) (On the Chemical Properties of Commercial Organofluoro Rodenticide)

  • 이규승
    • 농업과학연구
    • /
    • 제9권2호
    • /
    • pp.591-595
    • /
    • 1982
  • 시판중인 유기불소계 살서제인 키라톨-F 제의 화학적(化學的)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시료는 제조회사에 따라 두 종류를 비교 검토하였으며, 아울러 실험실내 합성을 통해 주성분을 확인하고자 시도하였으며 그 중요한 결과는 아래와 같다. 1. 시판 키라톨-F제의 주성분으로 제시된 ${\beta}$-fluoroethanol acetate 는 확인할 수 없었으며, 그대신 ${\beta}$-fluoroethanol 이 주성분으로 밝혀졌다. 2. 시판 키라톨-F제는 수용액이며 chloro ethanol 이 소량 함유되어 있다. 3. 실험 실내에서 합성한 fluoroethanol은 ${\alpha}$-와 ${\beta}$-fluoroethanol 의 혼합물로 추정되며 합성수율은 광조건이 암조건보다 훨씬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4. 키라톨-F제의 희석 배율에 따른 경시변화를 조사한 결과, 주성분의 분해는 일어나지 않았으며, 따라서 2차독성의 가능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산저항성을 가진 PVA 투과증발막을 이용한 불화에탄올과 메타크릴산의 에스테르화 반응 (Esterification of Fluoroethanol with Methacrylic Acid through Acid-resistant Poly(vinyl alcohol) Pervaporation Membranes)

  • 김정훈;장봉준;이용택;이수복
    • 멤브레인
    • /
    • 제16권3호
    • /
    • pp.230-234
    • /
    • 2006
  • 본 연구는 산저항성을 가진 새로운 폴리비닐알콜계 투과증발막을 이용한 불화에탄올(TFEA)과 메타크릴산(MA)의 에스테르화 반응에 관한 연구이다. TFEA와 MA의 에스테르화 에스텔화반응에 사용된 폴리비닐알콜계 막은 PVA와 EGDE의 열 가교반응을 통하여 제조되었다. 에스텔화 반응의 반응조건 - 반응온도, 산 촉매의 양, 초기 몰비(불화에탄올/메탄크릴산)- 등을 달리하여 에스텔화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실험 결과, TFEMA 전환율은 반응온도 촉매의 양, 초기몰비가 증가함에 따라 향상되었다. TFEMA 전환율이 90% 이상을 위한 경제적인 반응조건은 $90^{\circ}C$의 반응온도, 2.5 wt%의 촉매 양, 그리고 1.7의 초기 반응 몰비였다.

가교된 폴리비닐알콜 복합막을 이용한 불화에탄올/물 혼합용액의 투과증발분리 특성 (Pervaporation Separation of fluoroethanol/water Mixtures through Crosslinked Poly(vinyl alcohol) Composite Membranes)

  • 이수복;안상만;장봉준;김정훈;이용택
    • 멤브레인
    • /
    • 제14권2호
    • /
    • pp.166-172
    • /
    • 2004
  • 본 연구는 에스텔화 막반응공정에 의한 2,2,2-trifluoroethyl metacrylate (TFEMA)의 생산을 위한 선행연구로, 가교된 poly(vinyl alcohol) 복합막을 이용하여 TFEA (2,2,2-trifluoroethanol)/water 혼합용액을 대상으로 투과증발 특성을 연구하였다 복합막은 다공성 polyethersulfone (PES) 지지체 위에 PVA와 glutaraldehyde (GA)를 같이 녹인 수용액을 코팅한 후 산 촉매 하에서 열가교시킴으로써 제조하였다. SEM (scanning electron microscopy)을 통하여 선택층의 두께는 2-3 $\mu\textrm{m}$로 확인되었고, 제조한 PVA 코팅층의 수평윤도는 가교제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투과증발 실험결과 가교제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투과도는 감소하고 TFEA/water의 선택도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리고 85-95wt%의 TFEA 혼합용액의 전범위에서 운전온도가 증가할수록 투과도는 증가하였지만, 선택도는 90 wt% TFEA 농도 이하에서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 반면, 95 wt%에서는 증가하는 흥미로운 경향을 보였다. 0.1 moi GA로 가교된 PVA 복합막은 운전온도 8$0^{\circ}C$, 90 wt% TFEA 농도에서 1.5 kg/$m^2$hr의 매우 높은 투과도와 320의 선택도를 보였으며, 따라서 TFEA의 에스텔화 막반응공정에 적용 가능성을 보여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