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2차 생성물

검색결과 429건 처리시간 0.031초

Compost, Peatmoss, GAC의 복합 메디아로 충전된 Biofilter의 Toluene 제어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Toluene Control Chracteristics of Biofilter Packed with Compost, Peatmoss and GAC)

  • 엄성윤;서병철;정용원
    • 한국대기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대기환경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362-363
    • /
    • 2001
  • VOCs의 위해성은 광화학 스모그의 원인 물질이며 발암성 유해물질, 지구 온난화와 성층권오존층의 파괴 물질 및 대기중 악취 물질로서 국민 건강 및 환경에 악 영향을 초래하여 세계적으로 VOCs관리를 대기질 관리의 주요 정책 수단으로 이용하는 국가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그러나 국내의 현행 대기질 관리 정책은 대기중에 광범위하게 분포하고 있는 몇 가지의 환경기준물질 관리에만 중전을 두고있는 실정이면, 또한 VOCs 처리 기술로 적용 가능한 기존의 소자, 흡착, 흡수와 같은 기술의 경우, 폭발성 화합물 처리 시 발생하는 위험성이나, 2차 오염물 생성 등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고, 또한 초기 설치비나 운전비용 등에 의해 적용하기가 힘든 경우도 발생할 수 있다. (중략)

  • PDF

고수분 환경에서 미세먼지 실시간 측정을 위한 다공 튜브형 희석장치의 개발 및 성능 평가 (Development and performance evaluation of the porous tube dilutor for real-time measurements of fine particles from high humidity environments)

  • 우창규;홍기정;김학준;김용진;한방우;안정언;강수지;천성남
    • 한국입자에어로졸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105-110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고온희석-상온희석 2단 희석의 다공 튜브형 희석장치를 제작하여 실제 배기가스와 시험챔버의 다양한 고수분 환경에서의 희석 조건에 따른 응축성 물질의 생성 억제와 생성된 응축 입자의 제거 특성에 관하여 살펴보았다. 디젤 엔진의 배출 입자는 응축 성분의 핵화 모드와 고체상의 응축성장 모드의 이중모드 분포를 나타내었고, 다공 튜브형 희석장치의 1차 고온희석 유량을 증가시킴으로써 핵화 모드 입자의 생성을 억제시키고 응축성장 모드의 입자만을 측정할 수 있었다. 석탄보일러에서 배출되는 미세먼지에 대해서도 다공 튜브형 희석장치를 적용하여 응축성 성분의 입자 생성 없이 응축성장 모드의 입자만을 측정할 수 있었고, $3{\mu}m$ 크기 이상의 입자에 대해서 기존 이젝터 방식에 비해 상대적으로 입자 손실이 적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30m^3$ 시험챔버에서 가습기로 인위적으로 발생시킨 물입자가 측정하고자 하는 고체 입자와 공존할 때 다공 튜브형 희석장치를 사용하여 물입자를 증발시켜 제거함으로써 고체 입자만을 정확하게 분리하여 측정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대형 도시폐기물 소각로의 연소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수치 해석적 연구 (The Study of Numerical Simulation for Investigation of Combustion Characteristics in Municipal Waste Incinerator)

  • 전영남;엄태인;송형운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0권6호
    • /
    • pp.757-762
    • /
    • 2002
  • 도시 폐기물의 효율적인 처리방법중의 하나인 소각은 폐기물을 감량화시키고 폐열도 이용할 수 있어 점차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3차원 수치모델을 개발하여 대형 도시폐기물 소각로인 상무소각로에 연소특성과 최적의 운전조건을 파악하기 위하여 적용하였다. 아울러 개발된 3차원 수치모델을 실제 운전시와 동일한 조건으로 수치해석하여 얻어진 온도와 실측치 온도를 비교하여 모델의 적용성을 검증하였다. 본 모델을 적용하여 상무소각로의 소각시에 로내 연소특성을 파악한 결과 1차 공기가 충분하지 못하여 후연소영역에 불완전 연소생성물의 발생이 높지만 주화염대에서 2차 연소되어 불완전 연소생성물이 낮게 배출되고 연소효율이 좋은 특성을 가진다.

흑마늘 추출물 첨가 소시지의 품질특성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Sausage with Added Black Garlic Extracts)

  • 신정혜;강민정;김라정;성낙주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701-711
    • /
    • 2011
  • 15 brix (S1군), 22 brix (S2군) 및 30 brix (S3군)로 농도 조절된 흑마늘 추출물을 각 1%씩 첨가한 소시지를 제조하여 $8^{\circ}C$에서 4주간 저장하면서 품질 변화를 살펴보았다. pH는 대조군에 비해 흑마늘 추출물 첨가군에서 더 낮았으며,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VBN 함량은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모든 실험구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저장 4주에는 흑마늘 추출물 첨가군이 대조군에 비하여 증가폭이 작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TBARS 함량 또한 저장기간에 따라 증가하였지만 4주후에 대조군의 TBARS 함량이 0.63 mg/kg인 것에 비해 흑마늘 추출물 첨가군은 과산화물의 생성을 억제되어 대조군에 비해 낮은 함량이었다. 유리수분의 함량은 S2군이 저장 4주차에 17.63%로 가장 낮았으며, 가열감량은 S3군이 8.92~11.56% 범위로 감소폭이 가장 낮았다. 색도는 첨가된 흑마늘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명도와 적색도는 감소하였고 황색도는 증가하였다. 전 단가는 저장 4주차에 S2군이 $911.76cm/kg^2$으로 유의적으로 높았다. 관능적인 특성을 평가한 결과 색깔, 풍미 및 다즙성에서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지만 흑마늘 추출물을 첨가한 소시지가 전반적으로 선호도가 높았고, 특히 S2군이 다즙성, 조직감 및 전반적 기호도에서 선호도가 높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소시지에 흑마늘 추출물을 첨가함으로써 저장성 및 관능적 기호도에 긍정적으로 기여하며, 이화학적 특성을 고려할 때 적정 첨가 농도는 15~22 brix의 범위로 판단된다.

영천 화강암지역 지하수의 지화학적 모델링 (Geochemical Modeling of Groundwater in Granitic Terrain: the Yeongcheon Area)

  • Koh, Yong-Kwon;Kim, Chun-Soo;Bae, Dae-Seok;Yun, Seong-Taek
    • 대한지하수환경학회지
    • /
    • 제5권4호
    • /
    • pp.192-202
    • /
    • 1998
  • 영천 도수터널 내 화강암 지역의 단열대를 따라 유출되는 지하수에 대하여 지화학 및 환경동위원소 연구를 수행하였다. Ca-HCO$_3$유형에 속하는 유출수의 화학 조성은 화강암을 구성하는 규산염 광물 및 열극 충진 방해석의 지화학적 용해 반응에 의해 설명되며, 그 수문지화학적 진화는 부분적 개방계에서 진행되었음을 보여준다. 환경동위원소 연구 결과, 유출수는 모두 강수 기원으로서 적어도 1953년 이전에 함양된(즉 체류 시간이 최소 45년 이상인) 지하수임을 지시해주며, 나아가 지표로부터의 거리와 단열대의 발달 상태에 따라 부분적으로 지표수의 혼입이 진행되고 있음을 지시한다. 지화학 반응 경로 모델인 CHILLER를 이용하여 본 지역 화강암 지하수의 수문지화학적 진화를 모델링 하였다. 그 결과, $Ca^{2+}$, $Na^{+}$, HCO$_3$$^{-}$ 및 pH는 규산염 광물 및 방해석의 용해 작용과 더불어 점차 증가되는 반면, $Mg^{2+}$$K^{+}$는 각각 몬트모릴로나이트와 백운모의 2차 생성과 더불어 감소됨을 보여준다. 2차 광물의 생성 순서는 적철석, 깁사이트, 카올리나이트, 몬트모릴로나이트, 백운모, 장석의 순이다. 모델링 결과는 유출수의 물리화학적 분석값과 2차 광물의 동정 결과와도 잘 일치한다. 따라서, 이러한 물-암석 상호 반응 모델링을 비교적 복잡한 암반 지하수의 수문지화학적 진화 해석에 타당성 있게 적용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 PDF

전기화학적인 콘크리트 부식의 예측 (Prediction of Concrete Corrosion using Electrodchemical Technique)

  • 이종권;박지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3권2호
    • /
    • pp.80-83
    • /
    • 2002
  • 본 연구는 콘크리트 배합시 염분의 함량이 구조물의 부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콘크리트는 물 : 포틀랜트 cemente : 자갈 : 모래의 비율을 1 : 1.78 : 5.35 : 4.73의 비율로 하여 배합하였으며 염분의 함량은 0∼3.5wt%의 범위에서 철근의 부식을 연구하였다. 부식특성을 연구하기 위하여 부식전위를 2년간 측정하였으며 이를 콘크리트 파괴후의 철근의 외관 부식도와 비교하였다. 옥내와 옥외에 두었을 때 부식속도의 차이는 없었으며 염분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활성이 큰 전위값이 측정되었다. 전위값이 낮은 시편은 부동태 피막이 파괴되어 부식이 진행하고 있었으며, 전위값이 높은 시편에서는 부식생성물이 관찰되지 않았다. 본 실험의 결과로 보강용 강재의 부식손상 정도를 자연전위 측정방법을 통하여 콘크리트내 보강용 철근의 부식거동 및 부식속도에 대한 비괴적인 전기화학적 기술로서 구조물의 손상여부를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피부재생용 나노셀룰로스가 포함된 복합 소재의 제조 및 특성평가 (Manufacturing and characterization of composite materials containing nanocellulose for skin regeneration)

  • 한재현;김인경
    • 미래기술융합논문지
    • /
    • 제3권4호
    • /
    • pp.9-15
    • /
    • 2024
  • 본 연구에서는 우뭇가사리 나노셀룰로스, 새싹삼 추출물, 담팔수 추출물이 포함된 복합소재의 제조 및 항균, 항염, 창상치유 효과를 연구하여 드레싱제의 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나노셀룰로스 제조 검증, HPLC 분석을 통한 compound K와 Pentagalloylglucose 함량분석, 복합추출물 배합비에 따른 항균 활성 평가, NO 생성량을 통한 항염효능, SD rat을 통한 창상치유 검증을 수행하였다. 실험결과 각각의 추출물에 항균, 항염효능을 가지는 Compound K (0.38 ± 0.02 mg/mL) , PGG (177.67 ㎍/mL)가 포함된 정도와 SS3DP7에서 표피포도상구균과 황색포도상구균에 대한 항균 효능을 확인하였다. 복합소재는 55% 이상의 항염증 효과와 창상 유발 후 1~2일 차에 대조군 대비 10% 이상 높은 창상회복율이 관찰되었다. 추후 위와 같은 친환경 소재의 효능을 활용한 습윤드레싱 제품 개발을 진행하고자 한다.

열분해 및 촉매반응에 의한 Hydrazine의 Ammonia 전환율 연구 (A Study on Ammonia Conversion rate of Thermal Decomposition & Catalytic reaction of Hydrazine)

  • 정현준;이인형;강신영;장세빈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12년도 춘계학술논문집 1부
    • /
    • pp.452-454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열분해 및 촉매반응의 의한 Hydrazine의 Ammonia 전환율을 연구하였다. 원자력발전소 2차 계통은 물/증기 순환계통으로 기기 및 배관의 부식을 억제하고, 증기발생기(Steam Generator, SG)의 부식생성물 유입을 최소하기 위해 전휘발성처리법(All Volatile Treatment, AVT)을 적용하여 계통수의 pH를 약염기성으로 유지하고 있다. 또한 Hydrazine을 이용하여 계통수의 용존산소제거 및 환원성 분위기를 유지하고 있다. 현재 사용되는 AVT는 대부분 단일 아민(Ammine)으로 계통 전 영역에서 pHt를 약염기성으로 유지하기 어렵다. 따라서 복합 아민을 이용하여 단일 아민의 상호단점을 보완한 수처리법을 적용해야한다. 하지만 복합 아민을 적용할 경우 추가 아민 주입설비, 설치부지, 시설유지보수 및 관리가 요구되므로 기존 주입약품을 이용하여 아민을 공급할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Hydrazine의 열분해 및 촉매반응을 이용한 Ammonia 전환율을 조사하였다.

  • PDF

NiO 및 Mn$O_2$ 촉매하에서의 일산화탄소의 산화반응 (Oxidation Reactions of Carbon Monoxide on NiO and Mn$O_2$ Catalysts)

  • 주광열;부봉현;장세헌
    • 대한화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370-379
    • /
    • 1978
  • $Ni(NO_3)_2,\;Ni(OH)_2$ 그리고 Mn$(NO_3)_2$를 진공 속에서 열분해시킨 산화니켈, 이산화망간의 비표면적(단위 : $m^2$/g)을 측정하고 각 촉매의 단위 표면적에서 일산화탄소의 산화반응속도를 여러 온도에서 측정하였다. 낮은 압력에서 일산화탄소의 산화반응은 2차 반응에 따르며 각 촉매 표면에서의 산화반응의 활성화에너지는 $Ni(NO_3)_2,\;Ni(OH)_2$로부터 만든 산화니켈에서 각각 12, 17kcal/mole 그리고 이산화망간에서 18kcal/mole을 얻었다. 같은 제법으로 만들어진 산화니켈 촉매도 그것을 처리하는 방법에 따라 아레니우스 파라미터가 서로 다르게 얻어졌는데, 이것은 생성물인 이산화탄소에 의한 반응의 억제효과를 정량적으로 측정하므로써 설명이 가능하였다. 실험적으로 구한 반응차수로부터 가능한 반응메카니즘을 제안하였다.

  • PDF

독도주변 탄산염퇴적물의 분포와 성인: 예비조사 결과 (Distribution and Origin of Carbonate Sediments near Dok Island: Preliminary Study)

  • 우경식;지효선;김련;전진아;박재석;박흥식;김동선;박찬홍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14권3호
    • /
    • pp.171-180
    • /
    • 2009
  • 독도 주변 퇴적물의 구성요소를 분석하여 퇴적물의 기원과 퇴적상을 조사하였다. 퇴적물은 독도를 이루는 화산기원의 암편과 천해에서 서식하고 있는 여러 생물에 의해 생성된 탄산염퇴적물로 구성된다. 대부분 탄산염입자와 화산암편으로 이루어진 퇴적물 중에서 탄산염입자는 연체동물(이매패류와 복족류), 덮개상과 가지상 태선동물, 덮개상과 마디상 홍조류, 유공충, 해면동물, 환형동물, 극피류(성게류), 절지동물(따개비류), 규조류 등에 의해 만들어지고 있다. 퇴적물 내 구성요소의 상대적 함량의 차이는 주로 수심에 의해 구분되지만 비슷한 수심구간 내에서도 지역적으로 차이를 보이기도 한다. 특히 독도 주변의 퇴적물은 전형적인 냉수성 탄산염퇴적물(cool water carbonates)의 성분을 보여주며, 수심별로 뚜렷한 퇴적상의 변화를 보인다. 독도 주변 퇴적물은 수심에 따른 구성요소 함량의 차이와 입자의 크기에 의해 크게 5개의 퇴적상으로 구분된다. 이들은 해안퇴적상(20 m 이내의 천해퇴적물), 천해퇴적상($20{\sim}100m$ 구간의 천해퇴적물), 상부 전이퇴적상($100{\sim}200m$의 퇴적물), 하부 전이퇴적상($200{\sim}700m$의 퇴적물), 그리고 반원양퇴적상(700 m 이상의 반원양성 퇴적물)이다. 수심 2,000 m 이상의 퇴적물 내에도 약 $10{\sim}20%$의 탄산염 퇴적물이 함유되어 있으며, 이는 독도 주변 해역의 탄산염보상심도가 이보다 더 깊을 수 있음을 암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