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1mm 응력

검색결과 539건 처리시간 0.033초

내부 응력이 .06 taper ProFile의 피로 파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internal stress on cyclic fatigue failure in .06 taper ProFile)

  • 정혜림;김진우;조경모;박세희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7권2호
    • /
    • pp.79-83
    • /
    • 2012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relation between intentionally induced internal stress and cyclic fatigue failure of .06 taper ProFile. Materials and Methods: Length 25 mm, .06 taper ProFile (Dentsply Maillefer), and size 20, 25, 30, 35 and 40 were used in this study. To give the internal stress, the rotary NiTi files were put into the .02 taper, Endo-Training-Bloc (Dentsply Maillefer) until auto-stop by torque controlled motor. Rotary NiTi files were grouped by the number of induced internal stress and randomly distributed among one control group and three experimental groups (n = 10, Stress 0 [control], Stress 1, Stress 2 and Stress 3). For cyclic fatigue measurement, time for separation of the rotary NiTi files was recorded. The fractured surfaces were observed by field 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FE-SEM, SU-70, Hitachi). The time for separation was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two-way ANOVA and post-hoc Scheffe test at 95% level. Results: In .06 taper ProFile size 20, 25, 30, 35 and 40,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n time for separation between control group and the other groups (p < 0.05). Conclusion: In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cyclic fatigue failure of .06 taper ProFile is influenced by internal stress accumulated in the files.

유연 다물체 동역학 해석을 이용한 충격 하중에 따른 트랙터 프론트 로더의 응력 분석 (Stress Analysis of Tractor Front-End Loader against Impact Load Using Flexible Multi-Body Dynamic Simulation)

  • 신창섭;김범수;한현우;정우진;조승제;박영준
    • 한국기계가공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26-32
    • /
    • 2019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stresses by impact loads on front-end loaders attached to tractors using flexible multi-body dynamics. The model was designed and validated by comparing previous experimental data with the simulation data obtained in this study. Nine sets of conditions were designed using three weights (500, 300, and 100 kg) loaded inside a bucket and three heights (1700, 1350, and 1000 mm) of the bucket from ground level. A parametric study was carried out at five locations for two types of parts of a front-end loader. All the safety factors for the five locations under all conditions were calculated and were greater than 1. Thus, the designs of the front-end loaders were structurally safe. Based on this study, front-end loaders attached to tractors can be designed effectively in terms of cost and safety.

비조밀단면을 가진 SC 합성 기둥의 비선형 해석 (Inelastic Analysis of Steel-Concrete Composite Column with Non-Compact Steel Section)

  • 오명호;장태영;김명한;김대중;김상대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17권1호통권74호
    • /
    • pp.63-71
    • /
    • 2005
  • 최근 기존의 합성 기둥들이 가지는 단점은 보완하고 장점은 유지시킬 수 있는 효율적인 기둥 시스템으로 철골-콘크리트 합성 기둥(SC 합성 기둥)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본 연구자는 선행 실험 연구를 통해 SC 합성 기둥의 압축 내력을 평가하였지만, 실험실의 용량 부족으로 대형 기둥에서의 실험은 수행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실험 연구의 후속 연구로서 범용 유한요소 해석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콘크리트와 철골의 상호 작용 및 비조밀단면을 가진 철골 플랜지의 국부좌굴을 반영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러한 유한요소해석 모델은 기 수행된 압축 실험값과 비교하여 적합성을 검증하였다. 또한 이렇게 검증된 해석적 모델을 이용하여 대형 크기의 기둥에 대해 비선형 해석을 수행하여 단면 증대에 따른 SC 합성 기둥의 비선형 거동에 대해 비교 분석하였다. 비선형 해석 결과 SC 합성 기둥의 철골 단면의 폭-두께비는 25.0을 초과하지 않아야 하고, 연결재의 단면적은 $0.025d{\cdot}t$ 이상, 연결재의 간격은 d/2 또는 최대 300mm이하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결론을 얻었다.

하악각 골절의 치료 방법에 따른 하악골의 응력 분포 및 변위에 관한 삼차원 유한요소법적 연구 (THE THREE DIMENSIONAL FINITE ELEMENT ANALYSIS OF STRESS DISTRIBUTION AND DISPLACEMENT IN MANDIBLE ACCORDING TO TREATMENT MODALITIES OF MANDIBULAR ANGLE FRACTURES)

  • 구제훈;김일규;장재원;양정은;사시카라 바라라만;왕붕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32권3호
    • /
    • pp.207-217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the stress distribution and displacement in mandible according to treatment modalities of mandibular angle fractures, using a three dimensional finite element analysis. A mechanical model of an edentulous mandible was generated from 3D scan. A 100-N axial load and four masticatory muscular supporting system were applied to this model. According to the number, location and materials of titanium and biodegradable polymer plates, the experimental groups were divided into five types. Type I had a single titanium plate in the superior border of mandibular angle, type II had two titanium plates in the superior tension border and in the inferior compression border of mandibular angle, type III had a single titanium plate in the ventral area of mandibular angle, type IV had a single biodegradable polymer plate in the superior border of mandibular angle, type V had a single biodegradable polymer plate in the ventral area of mandibular angle.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were follows: 1. Stress was concentrated on the condylar neck of the fractured side except Type III. 2. The values of von-Mises stress of the screws were the highest in the just-posterior screw of the fracture line, and in the just-anterior screw of Type III. 3. The displacement of mandible in Type III was 0.04 mm, and in Type I, II, IV, and V were 0.10 mm. 4. The plates were the most stable in the ventral area of mandibular angle (Type III, V). In conclusion, the ventral area of mandibular angle is the most stable location in the fixation of mandibular angle fractures, and the just- posterior and/or the just-anterior screws of the fracture line must be longer than the other, and surgeons have to fix accurately these screws, and the biodegradable polymer plate also was suitable for the treatment of mandible angle fracture.

저작압이 임프란트 주위골 내 응력분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N ANALYSIS OF STRESS DISTRIBUTION AROUND THE IMPLANT ACCORDING TO THE BONE QUALITY AND BITE FORCE: FINITE ELEMENT METHOD)

  • 현기봉;이선형;장익태;양재호;신상완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391-409
    • /
    • 2001
  • Since the early study about the osseointegration, lots of researches have been performed to increase the success rate and the stress around the implant in the jaw bone has been considered as one of the causes of failu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mplant failure and the stress by analysing the influence of different bone quality and bite force of some foods on the stress distribution around the implant, and to estimate the treatment result according to the bone quality and dietary pattern of patients. Bone quality was divided in 4 groups and models were drawn with the assumption that thread type implant(Nobel Biocare AB, Goteborg, Sweden) of 3.75mm diameter, 13mm length was installed to the bones. Various bite forces were applied to the occlusal surface of superstructure and the stress distributed around the implant were analysed with finite element analysis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 stress was changed proportionally to the bite forces of foods at all measuring points in all load cases. 2. The stress at the marginal bone was higher than that of the other measuring points in all load cases, and it was decreased at the first thread area. 3. The stress at the marginal bone was highest in type IV bone in all load cases. Especially it was twice those of other bone types at the bucco-lingual marginal bone and 50% higher at the mesio-distal marginal bone. 4. The stress at the bucco-lingual sides of the bone around the apical portions of implant showed little differences among the bone types, while type IV bone showed lower stress concentration than the other bone types in the mesio-distal sides. 5. Under the buccal oblique load ($15^{\circ}$ ), the stress at the lingual marginal bone was higher than that of buccal marginal bone,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points was almost same regardless of bone types.

  • PDF

V2O5 도핑한 페라이트 페이스트로 제조된 칩인덕터의 자기적 특성 (Magnetic Properties of Chip Inductors Prepared with V2O5-doped Ferrite Pastes)

  • 제해준
    • 한국자기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109-114
    • /
    • 2003
  • NiCuZn 페라이트에 $V_2O_{5}$를 0~0.5 wt% 첨가하여 페라이트 페이스트를 준비한 후,스크린 인쇄법으로 내부전극이 4.5회 회전된 임의의 크기(7.7$\times$4.5$\times$l.4 mm)의 칩인덕터를 제조하여, $V_2O_{5}$ 첨가량에 따른 미세구조 및 자기적 특성 변화를 분석하였다. $V_2O_{5}$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액상소결이 발달하여 페라이트 입계에 내부전극 Ag의 확산과 Cu 석출 현상이 촉진되고, 이로 인하여 과대입자성장이 발달되었다. 이러한 현상은 칩인덕터의 자기적 특성에 큰 영향을 미쳐,900 $^{\circ}C$에서 소결된 $V_2O_{5}$ wt% 첨가시편의 주파수 10 MHz에서의 인덕턴스 값이 3.7$\mu$H로 0.3 wt% 첨가 시편의 4.2 $\mu$H보다 작게 나타났는데, 이는 Ag와 Cu의 석출량이 많아짐에 따라 잔류응력 발생이 심화되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또한 $V_2O_{5}$ 0.5 wt% 첨가한 시편의 경우 소결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품질계수 값이 감소하였는데, 이 결과도 페라이트 입계에서의 Ag나 Cu의 금속성분의 석출량 증가 및 과대입자성장에 의한 입자크기 증대로 인하여 전체 전기비저항이 감소되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결론적으로 자기적 특성을 고려할 때 0.3 wt%가 적정 첨가량으로 나타났다.

완강기의 설치 실태 분석 및 개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nalysis of Installation on the Actual State and Improvement about a Descending Life Line)

  • 최용혁;박성진;김태구;김광일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2권1호
    • /
    • pp.105-114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2006년 개정소방법의 시행에 따라 다중이용업소 및 고층건물에 피난설비 중 피난기구로 설치가 의무화 되고 있는 '완강기'의 현재 나타난 설치상의 문제점을 조사해보고, 제시된 문제점들을 각 항목별로 나누어 원인 분석 및 개선사항을 제시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하여 총 367건의 문제점이 지적되었으며, 다음과 같이 설치실태의 문제점이 나타났다. 완강기를 이용한 탈출이 부적합한 창문(34%), 관련문구 미부착(23.7%), 부적합한 설치장소(20%) 및 완강기의 파손(20%) 등으로 조사되었다. 특히 완강기 설치상 문제점으로 완강기를 이용한 탈출에 부적합한 창문이라는 사항이 가장 많이 제시되었기에 탈출 시 필요한 유리의 파괴에 관한 응력해석을 수행한 결과 완강기가 설치된 곳의 유리두께는 3,6 mm로 규정되어야 할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존의 소방법에 따른 형식적인 설치가 아닌 화재발생 시 인명을 보호하는 피난도구로써의 완강기 설치 및 사용이 가능할 수 있는 실질적인 완강기 설치상의 개선대책을 제시했다.

수종(樹種) 내화약제(耐火藥劑)로 처리(處理)된 합판(處理)의 기술적(技術的) 성질(性質)에 관(關)한 비교연구(比較硏究)(II) - 열판건조시(熱板乾燥時) 열판온도(熱板溫度)가 처리합판(處理合板)의 휨강도(强度)에 미치는 영향(影響) - (A Comparative Study on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Plywood treated with Several Fire-Retardant Chemicals(II) - Effect of Platen Temperature in Press Drying on the Static Bending Strength of Treated Plywood -)

  • 정우양;김종만;이필우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12권4호
    • /
    • pp.12-18
    • /
    • 1984
  • 열판온도(熱板溫度)가 내화약제(耐火藥劑)로 처리(處理)된 합판(處理)의 재건조(再乾燥) 후(後) 곡강도(曲强度)에 미티는 영향(影響)을 조사(調査)하기 위해 두께 3.5mm 메란티합판(合板)을 황산(黃酸)암모늄, 제1(第一)인산암모늄, 제2인산(第二燐酸)암모늄 그리고 혼합약제(混合藥劑)인 붕사(硼砂) 붕산(硼酸) 및 미나리스 등(等) 5종(種)의 내화제(耐火劑)의 20% 수용액(水溶液)에 9시간(時間)동안 침지처리(浸漬處理)한 다음, 각각(各各) 열판온도(熱板溫度) $90^{\circ}C$, $120^{\circ}C$$150^{\circ}C$를 적용(適用)한 단계별(段階別) 건조방식(乾燥方式)으로 건조(乾燥)하여 곡강도시험(曲强度試驗)을 행(行)하였다. 비례한계(比例限界)에서의 응력(應力), 탄성계수(彈性係數), 파괴계수(破壞係數) 및 비례한계(比例限界)까지의 단위체적당(單位體積當) 일 등(等)을 조사(調査)한 바, 수분처리대조구(水分處理對照區)의 경우, 열판온도(熱板溫度) $120^{\circ}C$까지 유지(維持)되던 강도(强度)가 $150^{\circ}C$에 이르러서는 현저한 감소경향(減少傾向)을 나타내었으나, 내화약제처리합판(耐火藥劑處理合板)은 $150^{\circ}C$까지 열판온도(熱板溫度)가 상승(上昇)함에도 불구(不拘), 강도(强度)가 유지(維持)되었으며 일부 약제처리(藥劑處理)의 경우엔 오히려 증가(增加)하는 양상(樣相)도 보여주었다. 건조속도(乾燥速度)와 강도유지(强度維持)의 측면(側面)을 고려할 때, 바람직한 열판건조온도(熱板乾燥溫度)는 $150^{\circ}C$ 였으며 내화약제중(耐火藥劑中) 보강효과(補强效果)가 가장 좋은 약제(藥劑)는 붕사(硼砂) 붕산(硼酸)이었다.

  • PDF

확장판 선단부착 PHC말뚝 및 볼트 수직이음을 사용한 PHC말뚝의 시공 중 건전성 확인을 위한 동재하시험의 적용성 및 변형시공법 PHC말뚝들의 올바른 검증시험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Applicability of Dynamic Pile Load Test to Check Integrity during Installation of Extension Plate Attached PHC Piles and Bolts Spliced PHC Piles and the Correct Proof Test of the Transformed-installation PHC Piles)

  • 김명학;최용규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34권12호
    • /
    • pp.115-131
    • /
    • 2018
  • 현장 시험 부지에서 확장판 선단부착 PHC말뚝 및 볼트 수직이음 PHC말뚝에 대한 시험시공을 실시하고 시공중 건전성을 동재하시험으로 확인하고 시공 후 말뚝의 건전성을 직접 확인하였다. 그 결과를 분석하여 확장판 선단부착 PHC말뚝 및 볼트 수직이음 PHC말뚝의 시공 중 건전성을 동재하시험의 건전도지수(${\beta}$지수)로 평가할 수 있는지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이론적으로 말뚝 선단에 매우 인접하거나 선단끝단에서 발생하는 손상(특히 확장판 선단부착구 자체의 변형)은 시험기술의 특성상 건전도지수로 정확한 평가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었다. 말뚝의 선단부에 바로 인접해서 발생하거나 말뚝선단 끝단에서의 손상을 PDA시험을 통하여 명확하게 평가하는 데에는 시험기술의 이론에 대한 고도의 지식과 경험이 요구되었다. 다른 볼트 수직이음구로 인하여 실질적인 1차원 파동전달이 용접이음에서와 다를 수 있다는 점, 타격에 의해 발생하는 응력파의 파장이 볼트 수직이음구 높이(약 100mm)보다 클 수 있다는 점, PDA 분석 기능 중 베타 프로세싱(Beta processing)이라는 기능 등이 매우 심도 있는 지식과 경험을 토대로 평가해야만 더욱 정밀한 판단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일반적인 건전성 평가기술로 볼트 수직이음의 건전성을 평가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었다.

API & AISC 기준을 적용한 PolyEthylene (PE) 부유식 플랫폼의 구조 안전성 검토 (Estimation of Structural Safety for PolyEthylene (PE) Floating Platforms with API & AISC Standards)

  • 서광철;남택근;박주신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237-243
    • /
    • 2019
  • PE(PolyEthylene) 재료를 활용한 해상부유 구조물은 바다, 강 또는 호수의 인근이나 수역 내에 일정한 공간 부를 형성하는 부유식 구조물로, 현재는 그 용도가 소형선박 계류장뿐만 아니라 양식장, 수상 펜션, 해상부교 등에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이 제품군의 특징은 유연성이 뛰어나고 재활용할 수 있으며, 내약품성, 내후/내식성이 우수하다. 기존의 PE 제품군을 활용한 부유식 플랫폼은 한 개의 브래킷에 한 개의 부력관을 체결하는 단순한 구조를 구성하였고, 이로 인하여 사용자가 용도 변경 및 사용환경이 변경될 때는 적용하는데 제한이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 개의 브래킷에 다양한 크기를 갖는 부력 관을 체결할 수 있는 구조를 개발하고, 제품의 구조 안전성을 유한요소법을 활용하여 검증하였다. 구조해석 결과, 브래킷 하단에 지름 500 mm 부력관 모델에서 충돌 하중에 대해 최대값을 나타내었으나, 허용기준을 만족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하여, 향후 다양한 형태의 부유체 플랫폼에 대한 구조 안전성 평가에 관한 연구가 가능하며, 관련 평가 기준에 대한 정립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