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1993

검색결과 23,758건 처리시간 0.046초

하절기 장마동안 용존산소의 역동적 변화 (Dynamic Changes of Dissolved Oxygen during Summer Monsoon)

  • 안광국
    • 생태와환경
    • /
    • 제33권3호통권91호
    • /
    • pp.213-221
    • /
    • 2000
  • 본 연구는 1993년부터 1994년까지 대청호의 17개 지점에서 계절적 산소농도 및 심층 산소 결핍율을 조사하였다. 1993년 본류로부터의 유입수는 7${\sim}$8월의 장마철에 최대를 보였으며, 이는 상류의 수온 성층 및 무산소층을 파괴하여, 심층 무산소대는 호수 중 하류역에 제한되었다. 이 기간동안 무산소충은 호수전체 부피의 10%이하에 불과하였다. 반면, 1994년 하절기에 무산소충은 호수전역에 걸쳐 분포하였고, 산소포화도는 30% 이하를 유지하였으며, 무산소대의 체적은 수체 총부피의 85%를 차지하였다. 호수내 산소의 급격한 감소는 냉수성 어종(빙어)의 대량폐사를 야기시켰다. 하절기동안 상대적 산소결핍도(Relative Areal Oxygen Deficit, RAOD)는 1993년에 $-0.024\;mg\;O_2\;cm^{-2}\;d^{-1}$로 산소함량이 증가한 반면, 1994년에는 $-0.080\;mg\;O_2\;cm^{-2}\;d^{-1}$로서 산소의 빠른 감소율을 보였다. 계산된 무산소도(Anoxic Factor, AF)는 RAOD와 동일 페턴을 보였으며, 1993보다 1994년에 50 d 이상 증가를 보였다. 수심별 평균 여름 산소농도의 계산에 따르면, 1993년의 경우 대부분지점에서 강(River)의 특성 ($6{\sim}11\;mg/l\;DO$)을 보인 반면, 1994에는 수체 전역에서 전형적인 호수특성 (<4mg/l DO)을 보였다. 유입량에 대한 용존산소의 회기분석에 따르면, 산소 변화는 장마철유입량의 크기에 의해 결정되었다($R^2\;=\;0.99$). 이런 결과는 대청호에서 하절기 용존산소를 조절하는 1차적 요인이 하절기 강우의 강도라는 사실을 제시한다.

  • PDF

수온변동에 따른 아르헨티나 짧은지느러미오징어, Illex argentinus의 풍도 변화 (Abundance of Argentine shortfin squid, Illex argentinus(Castellanos) in Relation to Fluctuation of Water Temperature in the Southwestern Atlantic Ocean)

  • 김영승;김두남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40권4호
    • /
    • pp.282-294
    • /
    • 2004
  • 아르헨티나 짧은지느러미오징어는 1993년에 99,000톤에서 1994년 56,600톤으로 감소하고 1996년에는 78,600톤에서 1997년 130,300톤으로 다시 증가하였다. 어획량의 급감 및 급증한 1993~1994년과 1996~1997년의 성어기인 3~5월의 풍도 원인을 구명하기 위하여 아르헨티나 짧은지느러미오징어의 수온 변동에 따른 풍도 변화를 분석하였다. 호황을 보였던 해인 1993년과 1997년은 성어기에 주로 50$^{\circ}$~51$^{\circ}$S간 해역에서 주어장이 형성되었고, 불황을 보였던 1994년과 1996년에는 50$^{\circ}$S이북에서 성어기 어장이 형성되었으며 포클랜드 어장의 평균수온은 3월 10~11$^{\circ}$C, 4~5월은 9$^{\circ}$C로 평균 등온선이 형성되는 위치에 따라 어황이 변동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르헨티나 짧은지느러미오징어의 높은 단위노력 당어획량(kg/line) 및 어획량은 어장이 포클랜드 해류의 영향을 받지 않은 1993년 및 1997년은 호황을 보였고, 북상하는 포클랜드 해류의 영향을 받은 1994년 및 1996년에는 급격히 감소되어 불황을 보였다.

전라북도 치과기공사들의 호흡기계 건강에 관한 조사연구 (1993년도와 2001년도 비교연구) (A Study on the Respiratory System Health Condition of Dental Laboratory Technicians in Jullabuk-do)

  • 최운재;신무학;이인규;정희선
    • 대한치과기공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19-31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spiratory system health condition of dental technicians and to be of use for more successful health management and health promotion for them.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155 dental technicians who were working in North Jeolla province. Out of them, 70 dental mechanics were investigated in 1993, and 85 were surveyed in 2001. And the reports of the two groups on respiratory distress, including cough, sputum, phlegm, the notable sound of breathing, nasal discharge, coryza, shortness of breath and gasping, were compar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below: 1. The cough report rate was 24.3% in 1993 and 16.5% in 2001. There appeared approximately 7.8% decrease between the two years. The most powerful variables included working hours and age. 2. The complaint rate of sputum and phlegm was 47.1% in 1993 and 43.5% in 2001. The rate of 2001 reduced by 3.6%. Whether or not they smoked was identified as the most influential variable. 3. The report rate of shortness of breath and gasping was 7.4% in 1993 and 12.9% in 2001, and this rate showed about 1.5% increase in the latter year. The biggest variables were working hours and career. 4. The complaint rate of nasal discharge and coryza was 41.4% in 1993 and 44.7% in 2001, which showed about 3.3% increase. The largest variables were smoking and career. 5. The report rate of the notable sound of breathing and breathing in light little gasps was 12.0% in 1993 and 17.6% in 2001. There was approximately 5.6% increase, and the most powerful variables were working hours and career.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