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17th Century's Spain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22초

장르화를 통해 본 17세기 스페인 전경 (Panorama of 17th Century's Spain Seen Through Genre Painting)

  • 박영미
    • 비교문화연구
    • /
    • 제22권
    • /
    • pp.51-72
    • /
    • 2011
  • The economic decline coincided with the crooked political path of Spanish monarchy that has been on an almost permanent state of war. The Spanish empire was divided and consequently, general impoverishment spread throughout the whole country quickly. Nevertheless Spanish culture reached the climax, especially in the field of painting. Spanish paintings of 17th century are basically religious based on concept of Baroque, whose theme is usually the immaculate conception or mysterious figures of saints. Velaquez, Mrillo, and Ribera are the main painters who represented the trend of this time. Despite having fame as religious court painters, they painted subjects from low society such as beggars in rags, dwarves, jesters, or the poor child. They reflected an optimistic expression and an awe for human being in their paintings greatly. In this paper, we are dealing with three main representative painters of Baroque era whose theme was a picaresque character. This character was one of the axes that coexisted with royals and nobles in 17th century of Spain. The art works that are dealt in this paper serve as materials for historial values and through them we can observe the atmosphere of decline that dominated Spain of the time.

A Study on the Culture Marketing Using the "Digital Costume Avatar"

  • Kim, Young-Sam
    • 한국복식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복식학회 2003년도 International Costume Conference
    • /
    • pp.77-77
    • /
    • 2003
  • If we look closely to the power shift of the powerful countries historically. during the 16th century Spain's power came from gold, colony trade, the mercenary force, close relation with the thrown, 17th century Netherlands owes their power to trade, capital market, the marines, 18th century France owes it to population, agriculture, public administration, and the army. Also, England had their industry, political unity, finance and trust, the marines, liberalistic principles, a geographical merit of being an island which can be defended well and the 20th century America has their cosmopolitan culture, supernational communication, the capacity of the economy, science technology, military strength, alliances, liberalism international formation. But in the 21st century culture and art will prevail over the information age where technology and knowledge was the key, and it is predicted that this will be the source of power for a strong country. Rolfe Yesson, the head of The Copenhagen Research Center for future studies said, "Information age has ended and in the future Dream Society will arrive which focuses on making distinctions by delivering dreams and emotions to consumers". As cyberspace gradually substitutes reality, cyberspace has become more than an information search engine and has become a place where people fulfill their desires and exchange culture. And as a medium for diffusing culture, the importance of the digital dress-up avatar is predicted to increase gradually.gradually.

  • PDF

로뻬의 연극 『세비야의 별』에 나타난 비극성 연구 (Study on Tragic Characteristic in Lope's Drama La estrella de Sevilla)

  • 윤용욱
    • 비교문화연구
    • /
    • 제50권
    • /
    • pp.371-394
    • /
    • 2018
  • 황금세기 스페인 연극의 대표적 걸작으로 평가되는 "세비야의 별"은 17세기의 대표적인 극작가인 로뻬의 비극작품이다. 그러나 이 연극은 뛰어난 작품성에도 불구하고 로뻬의 창작 진위 여부를 둘러싼 여러 논란들로 인해 스페인에서도 작품 자체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는 그리 많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 연극이 가지고 있는 비극성을 크게 아리스토텔레스적 관점과 셰익스피어적 관점으로 나누어 구체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이 연극은 주인공들의 고귀한 사회적 신분이나 남자주인공 산초 오르띠스의 고뇌하는 적절한 대사 등 덕분에 아리스토텔레스가 말하는 카타르시스적 기능을 수행하는 데에는 별 문제가 없어 보인다. 그러나 아리스토텔레스적 비극의 핵심적 본질인 '절대적 운명에 저항하는 주인공의 자유의지'의 측면에서는 다소 문제점이 발견된다. 이 연극에는 절대적 운명을 형성하는 핵심적 장치인 하마르티아가 부재하고, 이에 따라 절대적 운명이나 운명의 불가항력성이 설정되어있지 않기 때문이다. 오히려 이 연극이 지닌 비극성은 셰익스피어적 관점에서 좀 더 온전하게 규명되어질 수 있다. 아리스토텔레스와 달리 셰익스피어는 비극성을 주인공의 성격으로부터 비롯된 것이라고 여긴다. 즉 절대적 운명과 같은 외부적 요인이 아닌 주인공 자신의 가치관과 성격으로부터 비극이 시작된다는 것이다. 실제로 이 연극의 두 가지 비극적 사건인 부스또의 죽음과 산초 오르띠스와 에스뜨레야의 이별은 불가항력적인 사건이라기보다 전횡을 휘두른 국왕 산초 4세의 비뚤어진 이기심과 욕망, 그리고 산초 오르띠스의 국왕에 대한 지나치게 맹목적인 충성심으로 인해 비롯된 것이라 할 수 있다. 즉, 절대적 권력의 부당함 앞에 궁극적으로 할 수 있는게 아무것도 없다는 무기력한 상황 그리고 이로 인한 절망감이야말로 이 연극의 비극적 결말을 목격하며 관객들이 느꼈을 비극적 감정인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