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17세기(世紀)

Search Result 807,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단령의 구성에 관한 연구

  • 이태옥;조우현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of Costume Conference
    • /
    • 2003.05a
    • /
    • pp.49-49
    • /
    • 2003
  • 단령은 둥근 깃이라는 뜻으로 군신(君臣)이 착용한 관복명의 의미를 가지고 있다. 단령은 검박(儉朴)하고 활동적인 옷의 형태로 AD 1세기 경 서아시아 일대의 기마 유목민족에게 발생되었고 중국에서는 호복(胡服)이라고 불렀으며 4 세기 초부터 17세기까지 군신(君臣)의 관복으로부터 일반인의 생활복에 이르기까지 여러 계층에서 착용되었다. 우리나라에서는 신라 28대 진덕여왕 2년(AD 648년)에 김춘추가 당(唐)나라 태종에게 단령을 하사 받음으로 착용하기 시작하였고 고려시대 조선시대에는 주로 관복(官服)으로 계속 착용하였고 현재에는 혼례 예복으로 착용하고 있다. 이와 같이 오랜 기간 동안 착용되어 온 단령은 봉재와 구성면에서 깃의 너비나 형태 앞 뒤 길이 차이 소매의 너비무의 변화 등 구성과 여러가지 면에서 변화를 거쳐 왔다. 단령의 구조는 깃이 둥근 형태에 옆 목점에서 매듭단추나 끈으로 여미며 길이가 길다. 따라서 15-16세기의 전단후장형 단령과 현재 혼례시 신랑 예복으로 착용되는 후기의 단령을 비교하여 구성의 차이점을 알아보도록 한다.

  • PDF

Historical Eclecticism in Fashion - a focus on the $19^{th}$ and $20^{th}$ centuries - (복식의 역사적 절충주의 양식 -17세기와 20세기를 중싱으로-)

  • Chun, Hei-Jung;Na, Hyun-Shi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 /
    • v.25 no.10
    • /
    • pp.1779-1790
    • /
    • 2001
  • 새로운 탄생을 위해 과거의 것을 재조합하는 역사적 절충주의는 오늘날 과거로 회귀하고픈 현대인들의 요구에 부합하며 환영받고 있다. 본 연구는 복식에 표현된 역사적 절충주의 양식을 파악하기 위해 건축을 통해 그 특성을 규명하고 이를 복식에 적용시켜 19세기 복식은 복식사 문헌을 바탕으로 20세기를 대표하는 1990년대의 복식은 $\ulcorner$콜렉션$\lrcorner$지를 중심으로 복식의 역사적 절충주의 양식을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서로 다른 두 장르에서 펼쳐진 역사적 절충주의는 비슷한 시기가운데 1)형태 참고를 특징으로 하는 조형성, 2)장식적인 아름다움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성, 3)새로운 재질과 발전된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기술성, 4)불투명한 시대 경향을 지시하는 모호성이라는 조형적 특성을 나타내었고, 이로 인해 건축과 복식의 문화적 공유성은 재확인되었다. 이처럼 복식의 역사적 절충주의를 통해, 과거의 힘이 무엇이며 현재에 어떠한 의미를 지니는가를 상기한다면 복식사의 중요성은 더욱 부각될 것이다.

  • PDF

Tradition of Records Creation of Mongolia: XIII-XX Century (몽골에서의 기록생산 전통: 18-20세기)

  • Oyunchimeg, Ch
    •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 /
    • no.35
    • /
    • pp.217-230
    • /
    • 2013
  • 근대 이전 몽골 부족의 기록생산은 토바어, 훈누어, 숨베어, 거란어, 한자 등 여러 고대 언어에 의해 십여 종의 기록에 집중되어 있음을 발굴기록을 통해 알 수 있다. 최초의 몽골어 기록생산은 소고도어의 영향을 받은 몽골비사라고 할 수 있다. 소그도어에 기반한 몽골문자는 13세기 이후 몽골의 기록생산에 사용되었으며 위구르어와는 다른 독창적인 문자이다. 칭키즈칸의 석문은 몽골제국의 공문 생산의 증거이며 소그도어로 쓰여졌다. 이후 몽골제국의 기록생산은 몽골제국이 여러 나라에 보낸 기록을 통해 알 수 있다. 몽골의 전통기록은 고지, 포고, 칙서, 임명장 등 여러형태가 있으며, 제목, 본문, 결재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고에서는 몽골 전통문서의 형식과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을 제공한다. 17세기 이후 몽골의 공식문서는 13세기의 문서 양식에 기초하고 있다.

Taoism in Korea, Past and Present

  • Baker, Donald
    • Journal of the Daesoon Academy of Sciences
    • /
    • v.16
    • /
    • pp.241-263
    • /
    • 2003
  • 조선 시대 중기에 한국은 도교의 내단에 흥미가 고조되는 것을 체험했고, 16~17세기 중에 많은 유교 학자들이 받아들인 호흡법과 심신 수련은 이미 초기 중국에서 고안된 심신 수련자의 신체에서 나오는 기의 순환과 양·질을 강화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18~19세기의 한국인들은 이러한 양생법에 대해서 흥미를 잃게 되지만, 20세기의 지난 반세기 동안에 내단을 이채롭게 다시 부흥시킨 것이다. 여러 가지 새로운 조직체들이 단전호흡과 도인체조를 서울과 다른 도시에서 증진 시키고 있다. 국선도가 1970년에 처음으로 시행되었고 이것은 1984년 새로운 내단으로 되기까지 대중들의 호응을 받지 못했다. 그러나 이러한 심신수련이 새 조직인 단(丹)세계에 의해서 멀리 번창되어 나갔으며 이 조직의 지도자인 이 승훈에 의해서 흥미롭게 다시 소생되었다. 단 세계는 한국에서 무려 360개가 넘는 선원이 있으며 수련자들에 의해서 유럽과 북미에서도 선원이 시작되었다. 이것은 근본적으로 중국의 도교 보다는 고조선 시대 단군에 의해서 고안된 것이라고 말한다. 단 세계는 도교적 양생법 수련보다 한국의 전통적인 것에 대한 자부심을 가지고 장려되고 있다.

  • PDF

남병길의 성경(星鏡) 별자리를 활용한 혼상(渾象) 제작

  • Ham, Seon-Yeong;Kim, Sang-Hyeok;Lee, Yong-Sam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37 no.2
    • /
    • pp.92.2-92.2
    • /
    • 2012
  • 조선(朝鮮)의 혼상(渾象)은 세종대(世宗代, 1418~1450)에 처음 제작되었다. 그 후 중종대(中宗代, 1506~1544)와 명종대(明宗代, 1545~1567)에 이를 보수를 하고, 선조대(宣祖代, 1567~1608)에 중수되었으나 현존하지 않고 있다. 민간에서 제작한 혼상은 16세기에 만든 도산서원의 혼상 유물이 유일한 것이다. 그 후 18세기에 만들어진 홍대용(洪大容, 1731~1783)의 혼상의(渾象儀)는 문헌으로만 전해지고 있다. 17세기 이전에 만들어진 혼상은 구법(舊法) 천문도에 의해 만들어졌지만, 17세기 이후에는 서양 과학의 유입으로 신법(新法)의 별자리를 사용하고 있다. 중국과 일본의 현존하는 혼상 유물 중에는 신법 별자리로 표기되어 있으며, 조선 후기 조선의 유물 가운데 평혼의(平渾儀) 유물은 신법의 별자리를 활용하고 있다. 최근 국내에서 복원한 혼상들은 구법 천문도로 제작되어왔다. 이 연구에서는 1861년 남병길(南秉吉, 1820~1869)이 저술한 조선의 신법을 대표할 수 있는 성표(星表)인 "성경(星鏡)"의 별자리를 활용하여 혼상을 제작하였다. 혼상구(渾象球)에는 적도좌표(赤道座標)와 황도좌표(黃道座標)를 함께 표기한 경선(經線)과 위선(緯線)을 각각 $30^{\circ}$ 간격으로 표기하였다. 또한 적도환(赤道環)에는 12궁(宮)을 표기하였고, 황도환(黃道環)에는 $15^{\circ}$ 간격으로 24기(氣)를 표기하였다. 별을 표기할 때 성경에 제시한 밝기와 같이 6등급으로 나누어 별의 크기를 제작하였다. 남병길의 "성경" 별자리를 활용한 혼상 제작으로 신법 별자리의 천상(天象)에 대한 이해와 연구 모델로 활용할 수 있게 되었다.

  • PDF

A Study on Sulwhaji (설화지(雪花紙)에 대한 연구)

  • Jung, Sun-Young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38 no.1
    • /
    • pp.363-373
    • /
    • 2007
  • Sulwhaji(雪花紙, meaning "snow-white flower paper") had been originally manufactured before 16th century until after 19th century in Pyunggang, Korea, which represented the typical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Korean paper. Since 17th century, however, it had been also made in Namwon, Sunchang, Jinju and so on. Its material was mulberry bark tree and was bleached beautifully white by using snow. It was highly qualified mainly used for painting, caligraphy, and book printing. That had been used in the Royal palace and as cherished gift for foreign envoys.

  • PDF

Chinese Mathematics in Chosun (조선(朝鮮)과 중국수학(中國數學))

  • Lee, Chang Koo;Hong, Sung Sa
    • Journal for History of Mathematics
    • /
    • v.26 no.1
    • /
    • pp.1-9
    • /
    • 2013
  • It is well known that the development of mathematics in eastern Asia was based on Chinese mathematics. Investigating Chinese mathematics books that were brought into Chosun, we study how Chinese mathematics influenced Chosun mathematics. Chinese mathematics books were brought into Chosun in three stages, namely basic mathematics books in the era of King SeJong(1397-1450), Chinese mathematics books influenced by western mathematics in the 17th century and finally those with commentaries on mathematics of Song-Yuan era in the 19th century. We also study the process of their importations.

A Study on Modesty in Western Costume (서양복식에 나타난 정숙성에 관한 연구 -6~12세기와 17세기 청교도 혁명기를 중심으로-)

  • 이희현;김진구
    •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 /
    • v.1 no.2
    • /
    • pp.181-198
    • /
    • 1993
  • The study is to analyze modesty of clothing motive of western costume during the 6∼12 th and 17th pilgrim's revolution period by Flugel's theory. these society of tow period maintained the moral and ascetic life under he control christianity and pilgrim. This study utilized terms of Freud's theory on human personality in defining the characteristics of periods. Two periods is to define as Super-ego perio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