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16s rDNA

검색결과 1,414건 처리시간 0.024초

순천만에 자생하는 염생식물 근권에서 유래한 해양세균의 계통학적 분석 및 다양성 (Phylogenetic Analysis and Diversity of Marine Bacteria Isolated from Rhizosphere Soils of Halophyte in Suncheon Bay)

  • 유영현;박종명;이명철;김종국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65-78
    • /
    • 2015
  • 순천만의 염생식물 근권에서 정주하는 세균의 분리를 위해 순천만에서 우점하는 자생식물인 칠면초 군락 3개 지점을 선발하여 샘플링 하였다. 시료는 marine broth, tryptic soy broth 한천배지를 통해 분리되었으며, 형태학적인 구분을 통해 순수분리되었다. 분리주의 16S rDNA를 분석하여 총 92 균주가 동정되었다. 이들의 유연관계 확인을 위한 계통수 작성 결과, 각각 firmicutes (56.5%), gamma-proteobacteria (29.3%), alpha-proteobacteria (5.4%), actinobacteria (5.4%), bacteroidetes (3.3%)에 속하였다. Shannon’s Diversity index (H')를 산출하였을 때 각각 1.675, 1.924, 2.04로, 채취 지점별로 종 다양성의 차이를 보였다.

Analysis of Plasmid pJP4 Horizontal Transfer and Its Impact on Bacterial Community Structure in Natural Soil

  • KIM TAE SUNG;KIM MI SOON;JUNG MEE KUM;JOE MIN JEONG;AHN JAE HYUNG;OH KYOUNG HEE;LEE MIN HYO;KIM MIN KYUN;KA JONG OK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5권2호
    • /
    • pp.376-383
    • /
    • 2005
  • Alcaligenes sp. JMP228 carrying 2,4­dichlorophenoxyacetic acid (2,4-D) degradative plasmid pJP4 was inoculated into natural soil, and transfer of the plasmid pJP4 to indigenous soil bacteria was investigated with and without 2,4-D amendment. Plasmid pJP4 transfer was enhanced in the soils treated with 2,4-D, compared to the soils not amended with 2,4-D. Several different transconjugants were isolated from the soils treated with 2,4-D, while no indigenous transconjugants were obtained from the unamended soils. Inoculation of the soils with both the donor Alcaligenes sp. JMP228/pJP4 and a recipient Burkholderia cepacia DBO 1 produced less diverse transconjugants than the soils inoculated with the donor alone. Repetitive extragenic palindromic-polymerase chain reaction (REP-PCR) analysis of the transconjugants exhibited seven distinct genomic DNA fingerprints. Analysis of 16S rDNA sequences indicated that the transconjugants were related to members of the genera Burkholderia and Pandoraea. Denaturing gradient gel electrophoresis (DGGE) analysis of PCR-amplified 16S rRNA genes revealed that inoculation of the donor caused clear changes in the bacterial community structure of the 2,4-D­amended soils. The new 16S rRNA gene bands in the DGGE profile corresponded with the 16S rRNA genes of 2,4-D­degrading transconjugants isolated from the soil. The results indicate that introduction of the 2,4-D degradative plasmid as Alcaligenes sp. JMP228/pJP4 has a substantial impact on the bacterial community structure in the 2,4-D-amended soil.

한천분해 미생물 Vibrio sp. GNUM08123의 동정 및 agarase 생산의 발효적 특성 (Ident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gar-degrading Vibrio sp. GNUM08123 Isolated from Marine Red Macroalgae)

  • 지원재;김윤희;김종희;홍순광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243-249
    • /
    • 2017
  • An agar-degrading bacterium, designated as the GNUM08123 strain, was isolated from samples of red algae collected from the Yongil Bay near East Sea, Korea. The isolated GNUM08123 strain was gram-negative, aerobic, motile, and beige-pigmented, with $C_{16:0}$ (25.9%) and summed feature 3 (comprising $C_{16:1}{\omega}7c/iso-C_{15:0}2-OH$, 34.4%) as its major cellular fatty acids. A similarity search based on the 16S rRNA gene sequence revealed that it belonged to class Gammaproteobacteria and shared 97.7% similarity with the type strain Vibrio chagasii $R-3712^T$. The DNA G+C content of strain $GNUM08123^T$ was 46.9 mol%. The major isoprenoid quinone was ubiquinone-8. The results of DNA-DNA relatedness and 16S rRNA sequence similarity analyses, in addition to its phenotypic and chemotaxonomic characteristics, suggest that strain GNUM08123 is a novel species within genus Vibrio, designated as Vibrio sp. GNUM08123. Agarase production by strain GNUM08123 was induced by agar and sucrose, but was repressed probably owing to carbon catabolite repression by glucose and maltose.

Acinetobacter marinus sp. novo and Acinetobacter seohaensis sp. nov., Isolated from Sea Water of the Yellow Sea in Korea

  • Yoon, Jung-Hoon;Kim, In-Gi;Oh, Tae-Kwang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7권11호
    • /
    • pp.1743-1750
    • /
    • 2007
  • Two Gram-negative, nonmotile, coccobacilli, SW-$3^T$ and SW-$100^T$, were isolated from sea water of the Yellow Sea in Korea. Strains SW-$3^T$ and SW-$100^T$ contained ubiquinone-9 (Q-9) as the predominant respiratory lipoquinone and $C_{18:1}\;{\omega}9c$ and $C_{16:0}$ as the major fatty acids. The DNA G+C contents of strains SW-$3^T$ and SW- $100^T$ were 44.1 mol% and 41.9 mol%, respectively. A neighbor-joining tree based on l6S rRNA gene sequences showed that the two isolates fell within the evolutionary radiation enclosed by the genus Acinetobacter. Strains SW-$3^T$ and SW-$100^T$ exhibited a l6S rRNA gene similarity value of 95.7% and a mean DNA-DNA relatedness level of 9.2%. Strain SW-$3^T$ exhibited l6S rRNA gene sequence similarity levels of 93.5-96.9% to the validly described Acinetobacter species and fifteen Acinetobacter genomic species. Strain SW-$100^T$ exhibited l6S rRNA gene sequence similarity levels of less than 97.0% to the other Acinetobacter species except Acinetobacter towneri DSM $14962^T$ (98.0% similarity). Strains SW-$3^T$ and SW-$100^T$ exhibited mean levels of DNA-DNA relatedness of 7.3-l6.7% to the type strains of some phylogenetically related Acinetobacter species. On the basis of phenotypic, phylogenetic, and genetic data, strains SW-$3^T$ and SW-$100^T$ were classified in the genus Acinetobacter as two distinct novel species, for which the names Acinetobacter marinus sp. novo (type strain SW-$3^T$=KCTC $12259^T$=DSM $16312^T$) and Acinetobacter seohaensis sp. novo (type strain SW-$100^T$=KCTC $12260^T$=DSM $16313^T$) are proposed, respectively.

수계 생태계에서의 세균 군집 구조의 분자생물학적 분석

  • 이동훈;김상종
    • 미생물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55-65
    • /
    • 1997
  • 16S rRNA를 분석한 연구들은 자연 생태계에서 추출한 핵산을 이용하여 16rRNA 유전자의 염기서열을 분석하거나 특정 DNA probe를 이용한 hybridization 실험이 주류를 이루어 왔다. 특히 PCR 기법이 개발됨에 따라 적은 양의 시료를 대량으로 손쉽게 증폭시킬 수 있어 다양한 분야에 응용되고 있다. 세균 군집의 구조를 이해하는데 있어서 PCR 방법의 적용 대상은 주로 16S rRNA 유전자의 염기서열 해독분야이며 해양 생태계를 대상으로 많은 연구 결과가 보고되었다(11,13,21,26). 한편 자연 생태계의 개별적 미생물 분류룬들을 검출하기 위한 특정 oligonucleotide probe의 개발방법들은 미생물 군집의 유전적 다양성에 대한 정보 파악 이외에 배양이 어려운 혐기성 세균과 같은 특정 세균들의 동정에도 이용되고 있다(3,24,55). 본고에서는 세균 군집의 구조와 다양성을 연구하는데 적용 가능한 rRNA 분석방법들을 수계 생태계를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 PDF

산불토양복원을 위한 Extracellular Polymeric Substances (EPS) 생성세균의 분리, 동정 및 특성에 관한 연구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Extracellular Polymeric Substances (EPS)-producing bacteria for restoration of burnt forest soils)

  • 이건영;송인근;정재춘;김영준
    • 유기물자원화
    • /
    • 제12권4호
    • /
    • pp.139-147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입단화 촉진을 통한 훼손토양의 복원을 위하여 산불토양으로부터 EPS 생성균주 2종을 순수분리 하였다. EPS 생성세균인 FM-02 균주는 Gram 음성 간균으로 16s-rDNA 염기서열분석 결과, Beta Proteobacterium sp. 에 속하는 종으로 동정 되었고, AL-02 세균은 양성 간균으로 16s-rDNA 염기분석 결과 Zoogloea sp. 와 81%의 유사도를 나타내었다. 분리균주가 생산하는 EPS의 양은 건중량 측정시 FM-02 균주는 1L당 약 1.8g 의 생산율을 보였으며, AL-02의 경우 약 8.3g의 수율을 보였다. 분리균주의 토양입단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응집활성을 측정하였으며, FM-02 세균은 active carbon에 대한 응집활성 (FA)이 2.31로 나타났고, AL-02 세균은 kaolin clay에 대한 응집활성 (FA)이 6.21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FM-02균주는 active carbon에 대한 높은 응집활성을 고려할 때 화학응집제를 대신한 생분해성 응집활성제로의 응응 가능성을 확인하였으며, AL-02균주는 kaolin clay에 대한 고활성의 응집능과 고생산성의 EPS수율을 갖는 균주로써 훼손된 토양에서 토양입자들의 응집을 통한 입단을 촉진하여 강우에 의한 토사유출 피해를 줄이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양식장 배출수 퇴적층에서 분리된 리파아제 생산 박테리아의 동정 및 배양학적 특성 (Identification and Cultural Characterization of Lipase Production Bacteria Isolated from Pond Effluent Sedimentary Layer)

  • 김만철;장태원;;장익수;여인규;정준범;허문수
    • 미생물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58-62
    • /
    • 2009
  • 제주 연안 양식장 배출수 퇴적층으로부터 미생물 배양 배지를 사용하여 총 200여 균주를 분리하였으며, 분리된 균주를 이용하여 olive oil이 함유된 평판배지에서 투명환을 형성하는 균주를 분리하였고, 이를 LI-68, LI-80로 각각 명명하였다. 분리 균주 LI-68, LI-80의 BIOLOG를 이용한 생화학적 분석 특성 및 16S rDNA의 염기서열 분석 결과 Janibacter anophelis와 99%의 유전적 상동성을 보여 최종적으로 Janibacter sp. LI-68, Janibacter sp. LI-80으로 동정되었다. 분리 균주 Janibacter sp. LI-68과 Janibacter sp. LI-80의 증식을 위한 최적 배양온도를 확인하고 증식온도에 따른 지방분해효소 활성의 변화를 조사하였으며, 이를 위하여 배양 온도를 $20^{\circ}C$에서 $40^{\circ}C$까지 $10^{\circ}C$ 간격으로 배양하여 균체의 증식과 분비되는 지질분해 효소의 활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분리균주 Janibacter sp. LI-68는 $30^{\circ}C$ 배양실험구에서 가장 높은 균 생육도를 나타냈으며, 효소활성은 균 생육도와는 다른 $40^{\circ}C$에서 가장 높은 효소활성을 보였다. 반면 Janibacter sp. LI-80 균주는 $30^{\circ}C$에서 가장 높은 균 생육도를 보였으며, 효소활성은 균 생육도와 반비례하여 $40^{\circ}C$에서 가장 높은 효소활성을 보였다.

Alginate Lyase 생산 균주 Pseudomonas sp. N7151-6의 분리 및 특성 (Ident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lginate Lyase Producing Pseudomonas sp. N7151-6)

  • 이재형;배민지;김양춘;남수완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350-354
    • /
    • 2009
  • 해운대 연안에서 그람 음성균이면서 알긴산 분해효소를 생산하는 세균을 분리하였다. 분리된 N7151-6 균주의 성장을 위한 최적 온도는 $30^{\circ}C$, 최적 pH는 8.0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0-7%(w/v) NaCl 농도에서도 성장 가능하다. 16S rDNA 염기 서열 분석과 생화학적 분석에 의해 이 균주는 Pseudomonas 속으로 동정되어 Pseudomonas sp. N7151-6으로 명명하였다. Pseudomonas sp. N7151-6에서 생산하는 알긴산 분해효소를 한외여과(ultrafilteration; MWCO=30 kDa) 방법에 의해 부분정제하였다. 분리된 효소의 최적 pH는 7.0으로 최적 온도는 $30^{\circ}C$로 조사 되었다. pH 5.0에서 9.0까지 이 효소는 안정하였으며, $23^{\circ}C$에서 $37^{\circ}C$까지의 범위에서도 안정성을 보여주었다. 알긴산 분해효소의 전체 활성은 110 unit/L이었다.

A Fosmid Cloning Strategy for Detecting the Widest Possible Spectrum of Microbes from the International Space Station Drinking Water System

  • Choi, Sangdun;Chang, Mi Sook;Stuecker, Tara;Chung, Christine;Newcombe, David A.;Venkateswaran, Kasthuri
    • Genomics & Informatics
    • /
    • 제10권4호
    • /
    • pp.249-255
    • /
    • 2012
  • In this study, fosmid cloning strategies were used to assess the microbial populations in water from the International Space Station (ISS) drinking water system (henceforth referred to as Prebiocide and Tank A water samples). The goals of this study were: to compare the sensitivity of the fosmid cloning strategy with that of traditional culture-based and 16S rRNA-based approaches and to detect the widest possible spectrum of microbial populations during the water purification process. Initially, microbes could not be cultivated, and conventional PCR failed to amplify 16S rDNA fragments from these low biomass samples. Therefore, randomly primed rolling-circle amplification was used to amplify any DNA that might be present in the samples, followed by size selection by using pulsed-field gel electrophoresis. The amplified high-molecular- weight DNA from both samples was cloned into fosmid vectors. Several hundred clones were randomly selected for sequencing, followed by Blastn/Blastx searches. Sequences encoding specific genes from Burkholderia, a species abundant in the soil and groundwater, were found in both samples. Bradyrhizobium and Mesorhizobium, which belong to rhizobia, a large community of nitrogen fixers often found in association with plant roots, were present in the Prebiocide samples. Ralstonia, which is prevalent in soils with a high heavy metal content, was detected in the Tank A samples. The detection of many unidentified sequences suggests the presence of potentially novel microbial fingerprints. The bacterial diversity detected in this pilot study using a fosmid vector approach was higher than that detected by conventional 16S rRNA gene sequencing.

한국 남해에서 출현한 돌돔 (Oplegnathus fasciatus)과 강담돔 (Oplegnathus punctatus) 사이의 자연교잡종 (Occurrence of Natural Hybrid between Oplegnathus fasciatus and Oplegnathus punctatus from the South Sea of Korea)

  • 권혁준;김진구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201-205
    • /
    • 2010
  • 2008년 8월 경남 통영에서 강담돔과 돌돔의 자연교잡종 1개체가 발견되어 형태 및 유전적 특정을 강담돔 및 돌돔과 비교하였다. 형태적으로 본 총은 체측에 선명한 검은색 둥근 점을 많이 가지며 동시에 4개의 연한 가로줄을 가져 강담돔과 비슷하였다. 강담돔 및 돌돔의 계수 계측형질이 거의 일치하였으나, 체장에 대한 배지느러미길이 비에서 자연교잡종(26.7%)은 돌돔(17.2~23.6%)보다 강담돔(26.4%)에 더욱 가까웠다. 미토콘드리아 DNA 16S rRNA 510 bp를 이용한 분자분석에서 자연교잡종은 형태결과와는 달리 강담돔(d=0.020)보다 돌돔(d=0.000~0.010)에 더욱 가까웠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경남 통영에서 발견된 자연교잡종은 암컷 돌돔과 수컷 강담돔 사이에서 태어난 것으로 추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