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130 MPa

검색결과 92건 처리시간 0.026초

차량용 복합소재 수소연료탱크의 강도안전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trength Safety of a Composite Hydrogen Fuel Tank for a Vehicle)

  • 김청균;김도현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15권5호
    • /
    • pp.37-41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미국의 DOT-CFFC와 한국의 KS 기준에 근거하여 수소가스 복합소재 연료탱크에 대한 강도안전성을 FEM으로 해석하였다. 알루미늄 라이너 소재인 6061-T6와 탄소섬유 복합소재인 T800-24K로 적층이 형성되도록 감은 수소가스 복합소재 연료탱크는 130L의 저장용량을 갖으며, 70MPa의 충전압력으로 수소가스가 채워진다. FEM 해석결과에 의하면, 내부탱크를 형성하는 알루미늄 라이너에 작용하는 von Mises 응력 255.2MPa은 알루미늄 소재의 항복응력 대비 95%인 272MPa보다 낮기 때문에 안전하다. 또한, 복합소재 연료탱크에서 후프방향의 탄소섬유 응력비는 3.11이고, 헤리컬방향의 응력비는 3.04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응력비 데이터는 탄소섬유 복합소재 연료탱크에서 안전기준으로 권고한 2.4에 비해 높기 때문에 양방향 모두에서 안전하다. 따라서 70MPa의 충전압력을 갖는 130L 저장용량의 복합소재 연료탱크에 대한 강도안전성은 유용한 것으로 판단된다.

초고강도(130MPa) 콘크리트의 현장적용성 평가에 관한 실험 (Field Applicability Evaluation Experiment for Ultra-high Strength (130MPa) Concrete)

  • 조춘환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20권1호
    • /
    • pp.20-31
    • /
    • 2024
  • 연구목적: 고강도 콘크리트 연구개발은 건축물의 고층화를 가능케 하고, 단면 축소로 구조물 자중이 경감되어 보와 슬래브 두께를 얇게 함으로 보다 많은 층수를 축조할 수 있었으며, 넓은 유효공간이 확보되고, 기초 저면 지정에 사용된 자재 및 철근과 콘크리트 양을 절감하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연구방법: 현장시공 및 품질측면에서는 낮은 물결합재비 배합를 연구하므로 건조수축 발생 저감 효과를 확인할 수 있고, 콘크리트 표면의 블리딩 최소화 연구를 통하여 그 효과를 검증할 수 있다. 연구결과:고성능감수제 사용에 의한 유동성 증진으로 자체 충전성이 높아 현장 시공 용이성을 확인하고, 콘크리트의 조기 강도 발현으로 거푸집 탈형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장점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실험결과 자료는 초고층 건축물에서는 설계기준강도 100MPa급 이상의 초고강도콘크리트의 현장 적용이 확대될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하여 국내에서도 120층 이상의 초고층 건축물 현장 적용성이 고려된 130MPa급 이상의 초고강도 콘크리트를 현장에서 실제 적용 가능성 여부를 실험, 평가하였다. 결론:본 연구에서는 초고강도의 현장적용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방법의 실내기초 실험으로 연구되어진 최적의 배합비를 찾아서 모의부재 예비 실험 후 실물크기와 유사한 모의부재에 130MPa 초고강도콘크리트를 레미콘 공장에서 생산하여 현장 펌프 압송 타설하고, 콘크리트의 유동성 및 강도 발현과 수화열에 관하여 현장 적용성을 실험한 연구다.

초고강도 콘크리트(130MPa)에 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on ultra-high strength concrete(130 MPa))

  • 조춘환;양동일
    • 한국건설안전학회 논문집
    • /
    • 제6권1호
    • /
    • pp.12-18
    • /
    • 2024
  • 건축물의 초고층화, 대형화, 다양화가 가능하고 콘크리트 단면의 축소로 구조물 자중이 경감되어 보와 슬래브 두께를 얇게 함으로 층고를 증감하거나 같은 높이에서 많은 층수를 축조할 수 있고 넓은 유효공간이 확보되며, 기초 저면 지정에 사용된 자재 및 철근과 콘크리트 양을 절감하는 효과를 기할 수 있다. 현장시공 및 품질측면에서는 낮은 물결합재비 배합으로 건조수축 발생 저감 효과와 콘크리트 표면의 블리딩 최소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고성능감수제 사용에 의한 유동성 증진으로 자체 충전성이 확보되어 현장시공이 용이해지며, 콘크리트의 조기 강도 발현으로 거푸집 탈형 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근래에 들어 콘크리트와 관련한 건축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에 따라 초고층 건축물에서는 설계기준강도 100MPa급 이상의 초고강도콘크리트의 적용이 확대되고 있다. 그러나 최근 국내에서도 120층 이상의 초고층 건축물들이 발주 또는 발주 예정되어 있으나, 현장 적용성이 고려된 130MPa급 이상의 초고강도 콘크리트를 개발하여 현장에서 실제 적용 가능성 여부를 실험, 평가한 연구실적은 미흡하다. 본 연구에서는 초고강도콘크리트의 현장적용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방법의 실내기초 실험으로 연구되어진 최적의 배합비를 찾아서 축소모의부재 예비실험을 실시하였다. 그 후 실물크기와 유사한 모의부재에 130MPa급 초고강도콘크리트를 레미콘 공장에서 생산하여 현장 펌프압송 타설을 통해 콘크리트의 유동특성, 강도특성, 수화열에 관하여 실험 연구하였다.

선상가열한 선급 DH32 후판 강재의 물성 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variation of physical properties of line heated classification DH32 thick plate steel)

  • 김정태;정한식;정효민;이광성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40권9호
    • /
    • pp.774-779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선박의 곡 외판 구조에 TMCP 강재의 사용 범위 확대 가능성을 연구하고자 노말라이징강 및 TMCP 강 DH32 재질 강재에 선상가열 후 기계적 물성 시험을 실시하여 DNV 선급 및 IACS 규정의 품질 요구 기준에 적합한지 연구하였다. TMCP강재 인장시험에서 요구기준 YS = 315 MPa 대비 385 Mpa로서 약 18% 높게 나타났고, TS = 440 ~ 570 MPa 기준 대비 525 MPa로 요구 기준에 적합하였다. 샤르피 V-노치 $-20^{\circ}C$ 충격시험에서도 요구 기준에 적합하였으며 경도시험에서 평균 T : 216, L : 275로서 규정인 Hv10 = 130 ~320 범위에 만족 하였다.

호스릴옥내소화전설비와 옥내소화전설비의 성능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the performance for hose reel hydrant system and indoor hydrant system)

  • 남준석;백창선;김준배;강태영;박승옥;한재호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2008년도 춘계학술논문발표회 논문집
    • /
    • pp.104-107
    • /
    • 2008
  • 호스릴옥내소화전설비와 옥내소화전설비의 성능을 비교 시험하였다. 그 결과 조작성측면에서 호스릴옥내소화 전설비가 우수하고 그 성능이 옥내소화전설비와 같음을 확인하였다. 호스릴옥내소화전설비의 성능조건이 0.17 MPa 이상의 방수압력에서 130 LPM 이상의 방수량을 가질 경우 옥내소화전설비를 대체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반응소결 물라이트-스프넬-지르코니아 복합체에 관한 연구 (Reaction Sintered Mullite-Spinel-Zirconia Composites)

  • 박홍채;편지현;이윤복;류수착;박성수;오기동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32권11호
    • /
    • pp.1255-1261
    • /
    • 1995
  • Mullite-spinel-zirconia composites were prepared by reaction sintering of calcined alumina and magnesia, and zircon powders. The influence of calcining temperature on densification processes and on mechaical properties of subsequently sintered compacts was investigated. The mullite was formed by the reaction of $\alpha$-Al2O3 and amorphous SiO2 at firing temperatures over 141$0^{\circ}C$. The mullitization proceeded more rapidly in the specimen calcined at 110$0^{\circ}C$ than at either 120$0^{\circ}C$ or 130$0^{\circ}C$. Microstructures before and after the mullitization (or mullite dissociation) showed different morphologies, and their effects on mechanical properties were significant. The flexural strength and fracture toughness of the specimen calcined at 130$0^{\circ}C$ and subsequently fired at 145$0^{\circ}C$ were 316 MPa and 4.2Mpa.m1/2, respectively.

  • PDF

Al 7075 압연재의 피로균열 성장과정에서의 이방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nisotropy of Al 7075 Rolling Material in Fatigue Crack Growth Process)

  • 최병기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9-25
    • /
    • 1999
  • The research has extracted two kinds of specimen, one is rolling direction material(R-material) and the other rectangular of rolling direction(V-material), from Al alloy 7075 rolled. We have come to a conclusion by measuring crack propagation behavior with movement type microscope and Replica. 1) R-material shows 130% higher, approx. 39.2MPa in fatigue strength than V-material, approx. 29.4MPa. 2) In crack proportion, contrary to V-material growing directly toward specimen axis, R-material grows neared to shear direction. 3) The life proves that R-material is approx. 122% higher than V-material at 43.1MPa and approx. 135% higher at 47MPa. 4) The correlation between fatigue crack length and fracture life ratio applied to 'log(2a)=A+B ($N/N_f$)'equation shows inappropriate, because property value of Al alloy is low and the difference of chemical composition is high comparing with steel material.

  • PDF

Process of explosive compaction of internally oxidized powders; Cu-0.15%BeO

  • Moon, J.G.
    • 한국윤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윤활학회 2002년도 proceedings of the second asia international conference on tribology
    • /
    • pp.447-451
    • /
    • 2002
  • The explosive compaction for processing of electrode material was realized based on axisymmetric loading scheme. The compression of internally oxidized fraction of the alloy Cu-0.15%BeO alloy did not provide a considerable strengthening effect; average microhardness varied from 130 to l50Mpa. The tensile strength comes to 30Mpa. However this method can be applicable to obtain a dense briquette for further extrusion of electrode.

  • PDF

전부도재 수복을 위한 무색지르코니아 세라믹의 저온열화에 따른 굴곡강도 변화 (The flexural strength Changes by the Low Temperature Degradation of Uncolored zirconia Ceramic for All Ceramic Restoration)

  • 김정숙
    • 대한치과기공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39-44
    • /
    • 2009
  • In the orthopedic field which firstly used zirconia as artificial joints, researchers had studied the reasons for collapsing zirconia used as restorative material by accumulated inner cracks in several years and they found out Low Temperature Degradation is one of the reasons. In the dentistry field, it has not been too long since they used zirconia as the cores of all-ceramic restoration; however, the study is needed as prophylactic measure against Low Temperature Degradation which can be caused by saliva wetting the mouth all the time and frictional forces such as bite pressure and masticatory pressure. Artificial aging by autoclaving is used because there are difficulties of testing in the patient's mouth. To study the changes in the material properties, the flexural strength of dental zirconia ceramic is measured before and after the test. The following are the result of the test. 1) The zirconia blocks in the autoclaves at $130^{\circ}C$ and $200^{\circ}C$ are phase-shifted tetragonal to monoclinic by Low Temperature Degradation. 2)The non-autoclaved specimens have the average fractural strength of 1346.4MPa, the specimens autoclaved at $130^{\circ}C$ have 1226.4Mpa and the specimens autoclaved at $200^{\circ}C$ have 1024.1MPa. The tests show that as the temperature increases, the flexural strength tend to decrease and the differences are noticeable(p<0.001). 3)Through the Duncan's post-hoc test, the differences in flexural strength of the 3 groups were listed in order of strength like normal temperature>at $130^{\circ}C$ autoclave low temperature degradation> at $200^{\circ}C$ autoclave low temperature degradation.

  • PDF

온풍난방기용 건타입 중유버너의 분사특성과 연소특성 (Spraying and 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Heavy Oil in the Gun Type Burner for Hot Air Heater)

  • 김영중;유영선;장진택;윤진하;연태용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24권2호
    • /
    • pp.107-114
    • /
    • 1999
  • To find the best combustion conditions in the heavy oil burner kinetic viscosity of heavy oil A, B and C at different temperature range, from 40 to 140$^{\circ}C$, and the droplet sizes of the heavy oils at different temperature and pump pressure were measured. And, combustion characteristics were investigated under the different conditions : two different heavy oil and three different oil temperature. At temperature of 70, 100, 130$^{\circ}C$ the kinetic viscosity of heavy oil A and B are 7.9, 5.7, 4.3 and 30.4, 13.7, 7.9cSt, respectively. The greatest and smallest viscosity were 7,455 cSt at C oil on 27$^{\circ}C$ and 4.26cSt at A oil on 140$^{\circ}C$. The magnitude of viscosity difference between at 100$^{\circ}C$ and 140$^{\circ}C$ under 6 cSt in cases of A and B oil, but more than 30cST on C oil. Of the droplet sizes, the biggest and smallest droplet size in A oil were 98$\mu\textrm{m}$ at oil temperature of 130$^{\circ}C$(4.3cSt), pump pressure of 1.57MPa and 72$\mu\textrm{m}$ at 70$^{\circ}C$(7.9cSt), 2.35MPa, respectively. It appeared that as spraying pressure increased the droplet size decreased, however, no distinct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effects of kinetic viscosity on the droplet sizes of the test range. The best combustion performance was observed when droplet size, spraying pressure and oil temperature were 73$\mu\textrm{m}$, 2.35MPa and 70$^{\circ}C$ producing CO2 of 13.1%, CO of 13ppm and flue gas temperature of 250$^{\circ}C$ in A oil combustion For B oil, it was100$^{\circ}C$, 2.35MPa, 52$\mu\textrm{m}$, producing CO2 of 10ppm and flue gas temperature of 260$^{\circ}C$. In general, it appeared that better combustion results were observed in the smaller droplets produced burner condi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