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10세 어린이인체모형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32초

정면충돌 시험방법에 따른 어린이 탑승객 충돌안전성 비교연구 (A Study on the Comparison for the Child Occupant Safety from Frontal Crash Test Protocol)

  • 김시우
    • 자동차안전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33-38
    • /
    • 2016
  • Recently, development in vehicle safety could increase interest in children's safety in vehicle collisions. But the research of children safety in vehicle collisions is not being conducted as many as that of adult's. Especially the study for the vehicle crash was not much. This study focused on the comparison of child safety between test protocols to evaluate children's safety in crash test. Injuries of Q6 and Q10 dummy were evaluated using FFRB (Full frontal rigid barrier) test and 40% ODB (Offset deformable barrier) test with one model vehicle. Even though the limit number of test, the tendency of injury criteria of Q6 and Q10 dummy between the test protocols was not conformed but injury criteria of Q6 and Q10 were not same between FFRB and 40% ODB.

좌석안전띠 부착장치 위치에 따른 어린이 충돌안전성 연구 (The Study on the Effect of Seatbelt anchorage points using Q6 in sled test)

  • 김시우;류현;김용길;백선현;김민우;박지훈
    • 자동차안전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49-54
    • /
    • 2014
  • Development in vehicle industry could increase interest in children's safety recently. However the research of children safety is not being conducted as many as that of adult's. Especially the basic study for the vehicle crash on-board children was not much. This study focused on the effect of seatbelt anchorage points to evaluate children's safety in frontal crash. The current regulation of the seatbelt anchorage points is suitable for ranged from female 5% to male 95%. The assessment of children's safety at buckle up of no used CRS(child restraint system) was performed using frontal sled tests. The frontal crash pulse in sled tests was designed to the average of about 30 KNCAP frontal crash pulses. To reduce number of experiments, DOE is used. The Q6 child dummy and standard seat in UN R 129 were used.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est results, children's safety has been influenced by the points of seatbelt anchorage.

메타분석 방법을 적용한 서울시 대기오염과 조기사망의 상관성 연구 (1991년$\sim$1995년) (A Meta-analysis of Ambient Air Pollution in Relation to Daily Mortality in Seoul, $1991\sim1995$)

  • ;김춘배;지선하;정용;이종태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32권2호
    • /
    • pp.177-182
    • /
    • 1999
  • 유럽과 미국을 비롯한 선진 산업국가에서 1930년에서 1950대 사이에 발생하였던 일련의 대기오염사건을 경험한 이후, 대기오염과 인체건강영향과의 상관성을 평가하려는 체계적인 연구수행이 있어왔다. 국내에서도 최근 2-3년 동안 단면적 연구 설계에서 벗어나 시계열적 분석방법을 적용한 연구결과들이 발표되었으며, 외국에서의 결과와 유사하게 현재 수준의 대기오염도에서도 인체건강영향 특히 조기사망발생과 유의한 상관성이 있음이 제시되었다. 특히 서울시를 대상으로 한 일련의 연구결과가 대기오염도와 일별사망과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음을 보이고 있어 이에 대한 보다 정밀한 연구수행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메타분석적 방법론을 적용하여 서울시내의 구별분석 결과를 통합하여 기존의 연구결과와 비교함으로써 대기오염과 인체건강영향의 원인적 상관성을 규명하는 보조적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대기오염 자동측정기가 설치된 서울시 내 총 18개 구를 대상으로 대기오염도와 사망과의 상관관계를 추정하는 구별 예측치를 산출하였다. 이렇게 산출된 각 개별 예측치는 전체로서 총괄되는 가중평균 예측치를 계산하기 위하여 사용되었으며 이 때 모수효과 모형 또는 랜덤효과 모형을 적용하여 가중평균 예측치를 산출하였다. 지역별 또는 구별 예측치간의 변이차를 검정하는 동질성 검정의 결과 세 오염물질의 경우 모두 지역간 변이가 큰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따라서 랜덤효과 모형의 결과를 최종결과로 선정하여 제시하였다. 랜덤효과 모형의 결과를 보면 총부유분진과 아황산가스의 경우 일별사망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으나 오존의 경우는 그렇지 않았다. 또한 메타분석 결과가 기존의 연구결과와 비교할 때 유사하게 평가된 점으로 미루어 현재 수준의 대기오염도와 일별사망 또는 인체건강영향과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메타분석 방법을 적용하였어도 직접적 개인노출평가가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점에서 정보편견의 가능성을 제외할 수 없다. 그러나 이러한 메타분석 방법이 기존의 연구(서울시 전체를 대상으로 하는)에 비하여 정보편견을 어느정도 줄여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었으며, 분석결과 기존 연구에서 제시하는 것과 매우 유사함을 알 수 있다. 결론적으로 대기오염 역학 연구에 있어서 이와 같은 메타분석적 방법이 유용하며, 본 연구결과도 기존의 연구에서와 같이 현재 수준의 대기오염도가 인체 건강에 위해한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보여 준다는 점에서 향후 보다 강화된 대기오염관리 방안 마련의 필요성을 제기한다고 하겠다. 이를 위하여 대기 오염기준치의 강화뿐 아니라 대기오염에 민감한 인구집단, 즉 어린이나 노약자 등에 대한 각별한 감시와 연구수행이 필요시 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