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1-pentanol

검색결과 63건 처리시간 0.022초

The Hydroxyl Group-Solvent and Carbonyl Group-Solvent Specific Interactions for Some Selected Solutes Including Positional Isomers in Acetonitrile/Water Mixed Solvents Monitored by HPLC

  • Cheong, Won-Jo;Keum, Young-Ik;Ko, Joung-Ho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23권1호
    • /
    • pp.65-70
    • /
    • 2002
  • We have evaluated the specific hydroxyl group-solvent and carbonyl group-solvent interactions by using an Alltima C18 stationary phase and by measuring the retention data of carefully selected solutes in 60/40, 70/30, and 80/20(v/v%) acetonitrile/water eluents at 25, 30, 35, 40, 45, and 50 oC. The selected solutes are phenol, acetophenone, alkylbenznes(benzene to hexylbenznene), 4 positional isomers of phenylbutanol, 5-phenyl-1-pentanol, 3 positional isomers of alkylarylketone derived from butylbenzene, and 1-phenyl-2-hexanone. The magnitudes of hydroxyl group-acetonitrile/water specific interaction enthalpies are larger than those of carbonyl group-acetonitrile/water specific interaction enthalpies in general while the magnitudes of carbonyl group-methanol/water specific interaction enthalpies are larger than those of hydroxyl group-methanol/water specific interactions. We observed clear discrepancies in functional group-solvent specific interaction among positional isomers. The variation trends of solute transfer enthalpies and entropies with mobile phase composition in the acetonitrile/water system are much different from those in the methanol/water system. The well-known pocket formation of acetonitrile in aqueous acetonitrile mixtures has proven to be useful to explain such phenomena.

경상도 전통마른오징어 식해의 향기성분 및 생리활성효과

  • 이희덕
    • 좋은식품
    • /
    • 통권172호
    • /
    • pp.38-56
    • /
    • 2003
  • 경상도 전통마른오징어 식해를 제조하여 GC와 GC/MS를 이용하여 향기성분의 원인물질을 분석, 동정하였다. 식해에서 동정된 물질 중에서 $\alpha-zingibirene$이 19.73mg/kg으로 전체 상대농도에서 가장 높았으며 (Z)-Di-2-propenyl disulfide, $\alpha-curcumene$, methyl allyl disulfide, (E, E)-$\alpha-farnesene$, pentanol, z-citral, 3-ethyl-1, 2-dithi-5-ene-$\beta-elemene$, $\beta-Elemene$, acetic acid 및 $\beta-phellandrene$의 함량 순으로 동정되어 이러한 성분들이 식해의 주요성분으로 나타났다. 식해의 향기성분은 hydrocarbone류가 49종, 알데히드류가 15종, 알콜류가 33종, 케톤류 및 에스테류 11종을 포함하여 총 162종을 동정하였다. 식해의 메탄올 추출물을 용매 분획하여 얻은 각 분획물의 전자공여능을 측정한 결과 $200{\mu}M$ DPPH radical을 $50\%$ 환원시키는데 필요한 SC50 값이 헥산과 물층에서는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ethylacetate 층은 $310.64\;{\mu}g/mL$, butanol 층은 $1096.49\;{\mu}g/mL$으로 나타났다. 혈압상승 억제효과를 살펴본 결과 헥산과 물 분획물에서는 전혀 효과가 없었으며 ethylacetate 층에서는 IC50이 1.623mg/mL, butanol 층에서는 1.303mg/mL의 저해효과를 나타내었으며, xanthine oxidase에 대한 $IC_{50}$은 ethylacetate 층은 3.591mg/mL, butanol 층은 2.083mg/mL로 나타났다.

  • PDF

부탄올 내성 미생물의 분리, 동정 및 변이주의 개발 (Isolation, Identification and Mutant Development of Butanol Tolerance Bacterium)

  • 정혜숙;이진호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26-32
    • /
    • 2013
  • 부탄올 용매에서 생존하는 부탄올 내성 미생물을 분리하였다. 분리된 미생물들의 세포성장은 부탄올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으며, 그 중에서 BRS02가 12.5 g/L에서 가장 높은 내성도를 나타내었다. 또한, UV를 이용하여 BRS02균의 변이를 유도하여 고농도 부탄올 내성균 BRS251을 개발하였다. 부탄올 생산 모델균주로 대장균과 함께 부탄올, 프로판올 및 펜탄올에 대한 내성도를 비교한 결과, 대장균은 7.5 g/L 부탄올과 20 g/L 프로판올, 2 g/L 펜탄올 농도까지 생육이 가능한 반편, BRS251은 더 고농도인 17.5 g/L 부탄올과 32.5 g/L 프로판올, 6 g/L 펜탄올 농도까지 생육이 가능하였다. 분리된 세균을 동정하기 위해서 그람염색 후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그람양성의 구균으로 확인이 되었으며, 6.5% NaCl에서 생육이 가능하였다. 생화학적 특성을 분석한 결과, arginine dihydrolase, ${\alpha}$-glucosidase, urease 효소활성을 가지고 있었으며, 호기적인 조건에서 D-galactose, Dmaltose, D-mannitol, D-mannose, methyl-${\beta}$-D-glucopyranoside, D-ribose, sucrose, D-trehalose를 탄소원으로 자화하여 산을 생성할 수 있었으며, bacitracin, vibriostatic agent O/129 및 optochin에 대한 항생제 내성을 나타내었다. 16S rRNA 유전자 서열을 결정하고 계통발생도 분석을 통해 BRS02는 최종적으로 Staphylococcus sp.임을 동정하였다.

An Efficient and Green Approach for the Esterification of Aromatic Acids with Various Alcohols over H3PO4/TiO2-ZrO2

  • Kalbasi, Roozbeh Javad;Massah, Ahmad Reza;Barkhordari, Zeynab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31권8호
    • /
    • pp.2361-2367
    • /
    • 2010
  • $TiO_2-ZrO_2$ was prepared with surfactant through a sol-gel method. Catalysts containing 5 - 35% $H_3PO_4$ were prepared using these oxides. Subsequently the catalytic performance of prepared catalysts was determined for liquid phase esterification of aromatic acids. $H_3PO_4/TiO_2-ZrO_2$ has been used as catalyst to synthesize various novel esters by esterification of some aromatic acids with aliphatic alcohols (2-propanol, 1-butanol, iso butanol, 3-pentanol, 1-hexanol, heptanol, cyclo heptanol, octanol and decanol). Under optimized conditions, maximum yields and selectivity (100%) to the corresponding ester, was obtained by using 25 wt % $H_3PO_4/TiO_2-ZrO_2$ as catalyst. The Catalyst can be easily recycled after reaction and can be reused without any significant loss of activity/selectivity performance. No by-product formation, high yields, short reaction times, mild reaction conditions, operational simplicity with reusability of the catalyst are the salient features of the present synthetic protocol. The reaction was carried out under solvent-free condition.

Burley 21 잎담배에서 건조기간중의 정유성분 조성의 변화 (Changes in the Composition of Essential Oils during Air-Curing Process of Burley 21 Tobacco)

  • 홍열;임흥빈
    • 한국연초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39-46
    • /
    • 2003
  • The essential oils from Burley 21 tobacco was isolated by using the SDE (Simultaneous Distillation & Extraction) apparatus coupled with gas chromatography and mass spectrometry analysis. Burley 21 tobaccos were divided and collected by six stages at intervals of five days during air-curing process. Air curing was conducted with horizontal hanging method in greenhouse settled by shading materials. 55 components were identified by comparisons of retention indices and mass spectral data, including 22 hydrocarbons, 6 alcohols, 3 aldehydes, 9 ketones and 15 miscellaneous compounds. Neophytadiene was the major components of the oils and almost all hydrocarbons were gradually decreased during air-curing process. Most of alcohols were also diminished, on the contrary, 1-pentanol and benzyl alcohol among them were increased. Aldehydes and ketones were increased during air-curing and especially, the concentrations of solanone, $\beta$-damascone, $\beta$-damascenone and megastigmatrienones were much increased. Indole level of miscellaneous compounds were continuously increased during air-curing of Burley 21 tobacco.

질소산화물 제거를 위한 펄스코로나 방전공정의 에너지 소모 저감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Reduction of Energy Consumption in the Pulsed Corona Discharge Process for NOx Removal)

  • 정재우;손병학;조무현;목영선;남궁원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475-483
    • /
    • 1999
  • A lab-scale test was carried out to study the reduction of electrical energy consumption in the pulsed corona discharge process for nitrogen oxides removal. The experiment was mainly focused on 1) the activation of pollution removal reactions by chemical additives and 2) the optimization of electrical circuit for the efficient energy transfer from the power supply to the corona reactor. Hydrocarbon chemical additives used in the experiment are thought to be responsible for the enhancement of the NO conversion through the chain reactions of free radicals such as, R, RCO, and RO. Electrical energy consumption per converted NO molecule has a minimum value of 17 eV when pentanol is injected. When ethylene and propylene are injected, 30 eV and 22 eV of electrical energy consumption is required for the conversion of NO molecule respectively. The ratio of the pulse forming capacitance$(C_e)$ to the reactor capacitance$(C_R)$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energy transfer efficiency to the reactor. Maximum energy transfer efficiency of approximately 72% could be obtained by using the pulse forming capacitance which is 3.4 times larger than the reactor capacitance, and also the maximum NO conversion efficiency was observed with the same condition.

  • PDF

n-Alkanols가 소의 대뇌피질로부터 분리한 Synaptosomal Plasma Membrane Vesicles의 측방확산운동 범위와 속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n-Alkanols on the Lateral Diffusion of Synaptosomal Plasma Membrane Vesicles Isolated from Bovine Cerebral Cortex)

  • 정인교;강정숙;윤일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157-163
    • /
    • 1993
  • n-Alkanols의 분자적 약리작용기전 탐구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소의 신선한 대뇌피질로부터 분리한 synaptosomal plasma membrane vesicles (SPMV) 지질 이중층의 측방확산운동에 미치는 n-alkanols의 영향을 형광 probe법으로 검색하였다. n-Alkanols는 SPMV 지질 이중층의 측방확산운동 범위와 속도를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시켰고 1-nonanol까지는 탄소수가 두개 증가될 때마다 그 효력은 약 10배 가량 증가되었으나 탄소수 10개인 1-decanol의 효력은 오히려 감소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 PDF

누룩 종류를 달리하여 담금한 탁주 술덧의 휘발성 향기성분 (Volatile Flavor Components in Mash of Takju Prepared by Using Different Nuruks)

  • 한은혜;이택수;노봉수;이동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563-570
    • /
    • 1997
  • GC와 GC-MS를 사용하여 발효 16일 후 탁주술덧의 휘발성 향기성분으로 alcohol 20종, ester 26종, acid 10종, aldehyde 10종, 기타 6종 등 모두 72종이 검출되었다. Aspergillus oryzae구는 68종으로 가장 많았고 재래누룩구의 술덧은 60종으로 적었다. 72종의 휘발성 향기성분 중 54종의 향기성분이 모든 시험 구에서 공통으로 검출되었다. 휘발성 향기성분의 면적비율은 alcohol류 $71.28{\sim}90.23%$, ester류 $0.66{\sim}9.05%$, acid류 $0.20{\sim}0.60%$, aldehyde류 $0.02{\sim}0.09%$순으로 나타났다. 시험구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ethanol, 2-methyl-1-propanol, 3-methyl-1-butanol, 1-hexanol, 2.3-butadienol(D,L), benzeneethanol, acetic acid ethyl ester, succinic acid diethyl ester, butanoic acid monoethyl ester, acetic acid 그리고 benzene acetic acid 4-acetyloxy-3-methyl ethyl ester 등의 면적 비율이 높아 본 실험 탁주 술덧의 휘발성 향기 주성분으로 나타났다. 재래 누룩구는 1-pentanol, hexanoic acid ethyl ester의 면적비율이 다른 시험구보다 높았고, Mucor racemosus 누룩구는 1-hexanol, 1-dodecanol, 1,2-benzenedicarboxylic acid dipropenyl ester, acetic acid가, Rhizopus japonicus 누룩구는 2-methyl-1-propanol, 3-methyl-1-butanol, benzeneethanol, succinic acid diethyl ester, butanoic acid monoethyl ester, 4-methyl benzeneacetic acid phenyl ester, butanoic acid의 면적 비율이 타 시험구보다 각각 높았다. Aspergillus oryzae구는 acetic acid ethyl ester, 3-methyl butanoic acid, pentanoic acid가 높았으며 Aspergillus kawachii구에서는 1-butanol이 높았다.

  • PDF

n-알코올 수용액에서 Cetylpyridinium Chloride(CPC)와 Triton X-100(TX-100)의 혼합미셀화에 대한 연구 (Mixed Micellar Properties of Cetylpyridinium Chloride(CPC) with Triton X-100(TX-100) in Aqueous Solutions of n-Alcohols)

  • 정종재;김영철;이병환
    • 대한화학회지
    • /
    • 제41권6호
    • /
    • pp.284-291
    • /
    • 1997
  •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인 Cetylpyridinium Chloride(CPC)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인 Triton X-100(TX-100)의 혼합계면활성제가 n-알코올(메탄올, 에탄올, 1-프로판올, 1-부탄올 및 1-펜탄올) 수용액에서 나타내는 임계미셀농도값($CMC^*$)을 25$^{\circ}C$에서 UV 분광광도법으로 측정하였다. 이들 $CMC^*$ 값들로부터 여러 가지 열역학 함수값들을 유사상태분리모델(pseudo-phase separation model)을 이용한 식에 의해 계산하였으며 그 값들을 상호 비교하였다. 그 결과 n-알코올들을 첨가한 CPC/TX-100 혼합계면활성제의 미셀화는 비이상적 혼합미셀모델과 잘 일치하였으며, 이상적 혼합미셀모델과는 음의 벗어남을 보였다.

  • PDF

옥수수 수염의 이화학적 특성과 변이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Corn Silk)

  • 김선림;박철호;김이훈;허한순;손영구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5권6호
    • /
    • pp.392-399
    • /
    • 2000
  • 옥수수 수염의 일반적인 생육특성과 함유된 각종 일반성분 및 유리당, 유기산, 아미노산 및 향기성분에 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본 시험을 수행하였으며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옥수수의 수염은 출사 후 3일 이내에 수정이 완료되고 길이 신장이 정지되나 수정되지 않은 수염은 지속적으로 신장하여 출사 후 8일에 23-25cm였다. 2. 출사기에 옥수수 수염의 수분함량은 92-94%, 출사후 30일에는 70-75%였다. 3.옥수수 수염은 엽록소 b의 함량이 높고, 엽록소 a/b의 비율은 사료용 옥수수> 단옥수수> 초당옥수수> 찰옥수수 순이었다. 4. 유리당은 glucose와 fructose가 주종을 이루고, 그 구성비율은 glucose가 55% fructose가 42% 이었으며 sucrose 및 maltose는 4% 미만으로 낮았다. 5. 가용성 고형물 함량은 미수정 수염이 13.7-16.8 Brix %, 수정된 수염은 12.6-13.7 Brix %로 1.1-3.1 Brix % 차이가 있었다. 6. 옥수수 수염의 유기산은 phytic, oxalic, malic, shikimic, glutaric 및 acetic acid가 검출되었는데, 이중 phytic, oxalic 및 glutaric acid가 주요 유기산이었고 유기산의 함량은 사료용 옥수수> 초당옥수수> 찰옥수수> 단옥수수 순으로 높았다. 7. 단백질 함량은 3.36-4.17%로서 출사후 3일에 최대치를 나타내었고, 단백질 함량은 사료용 옥수수> 찰옥수수> 단옥수수> 초당옥수수 순으로 높았다. 8. 아미노산중 serine, glycine 및 threonine 3종은 10% 이상 함유되어있었으며 glycine의 구성비율이 12.3%로 가장 높았고 황(S)함유 아미노산인 methionine과 cystine 함량은 각각 2.1% 및 1.3%로 함량이 낮았다. 9. 향기성분으로 acetaldehyde, ethanol, acetone, DMS, isobutylaldehyde, cis-3-hexanol, 3-hexe-1-ol, acetate, trans-2-hexanol, pentanol 등이 검출되었고, 사료용의 주요 향기성분은 acetaldehyde와 DMS, 찰옥수수는 acetaldehyde, ethanol 및 DMS였다. 10. 옥수수 수염의 길이는 유기산 함량과 r=0.556, 아미노산 함량과는 r=-0.514로 유의성이 인정되었고, 유리당 함량은 유기산 함량과 r=0.703, flavonoid 함량과 r=0.544로 유의한 정의상관이 있었다. 특히, flavonoid 함량은 엽록소 함량과 정의 상관(r=0.523)이 인정되어 엽록소는 flavonoid 함량의 판단지표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