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1-메틸나프탈렌

검색결과 16건 처리시간 0.022초

느티나무에서 단리한 카달렌 화합물에 관한 연구 I -7-hydroxy-3-methoxycadalene 단리 및 목부 내 분포 - (Study on Cadalene Compounds Purified from Zelkova serrata Wood I - Purification of 7-hydroxy-3-methoxycadalene and Its Distribution in Xylem -)

  • 최준원;문성희;최돈하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6권6호
    • /
    • pp.130-137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느티나무의 에탄올 추출액에서 실리카겔 칼럼크로마토그래피법을 이용하여 15개의 탄소로 이루어진 나프탈렌 구조의 세스퀴테르펜인 카달렌 화화물을 단리하였다. 단리한 카달렌 화합물은 HPLC, EI-MS와 $^1H$, $^{13}C-NMR$로 화학 구조를 규명하였다. 느티나무에서 단리한 카달렌 화합물의 분자량은 244 (m/z)으로 측정되었으며, 나프탈렌 구조의 1번 위치에 메틸기($CH_3$), 4번 위치에 isopropyl기가 부착되어 있으며, 7번 위치에 수산기(OH)와 3번 위치에 메톡실기($OCH_3$)가 치환된 7-hydroxy-3-methoxycadalene 구조를 이루고 있었다. 수율은 기건상태 느티나무 중량의 약 0.03% 정도로 나타났다. 카달렌은 느티나무의 잎과 수피에서는 전혀 발견되지 않았고, 목부 부위를 연륜별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에 의하면 7-hydroxy-3-methoxycadalene은 변재부위에는 전혀 존재하지 않고 심재부에서만 발견되었다.

단위체 서열이 다른 액정 코폴리에스테르의 합성 및 특성(I) (Synthesis and Properties of Liquid Crystalline Copolyesters in Different Comonomer Sequences(I))

  • 조철형;김선일;박기주;최재곤;최수경;조병욱
    • 공업화학
    • /
    • 제5권6호
    • /
    • pp.998-1008
    • /
    • 1994
  • p-옥시벤조일, iso-나프탈렌, 디메틸 디실록실 그룹으로 이루어진 코폴리에스테르를 모노머 서열을 달리하여 용액중합으로 합성하고 이들의 특성을 비교하였다. iso-나프탈렌 그룹의 naphthalene은 1,4, 1,5, 2,6, 2,7 치환 단위를 사용하였다. 합성된 중합체의 고유점성도는 0.27~0.42dl/g이었고, 2,7-ordered 코폴리에스테르를 제외한 모든 중합체는 양방성 네마틱 액정을 보였다. 중합체를 열처리한 결과는 분자량의 증가와 결정화도의 증가를 가져왔다. 또 ordered코폴리머와 random코폴리머의 열전이 온도, 열안정성, 결정화 거동, 액정성에서 많은 차이가 남을 관찰하였다.

  • PDF

나프탈렌기를 갖는 새로운 액정폴리우레탄의 합성 및 특성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New Thermotropic Liquid Crystalline Polyurethanes with Naphthalene Moiety)

  • 이종백;이광현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40권1호
    • /
    • pp.37-44
    • /
    • 2005
  • 새로운 형태의 액정성 폴리우레탄을 2,6-bis(${\omega}$-hydroxyalkoxy)naphthalene (BHNm; m= 5, 6, 8, 11)과 2,5-tolylene diisocyanate 또는 1,4-phenylene diisocyanate의 중부가 반응에 의해 합성하였다. 폴리우레탄의 고유 점성도는 0.28-0.43 dL/g 였다. 열적 성질은 DSC 및 편광현미경에 의해 측정되었다. 단량체 BHNm과 메틸치환기를 가진 2,5-tolylene diisocyanate에 의해 합성된 폴리우레탄은 모두 단방성 액정성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BHNm와 1,4-phenylene diisocyanate를 합성한 폴리우레탄에서는 DSC와 편광현미경으로 조사 결과 전혀 액정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Poly (ethylene naphthalate) (PEN 수지)의 2,6-디메틸나프탈렌 디카복실레이트 (2,6-NDC)과 2,6-나프탈렌디카복실산(2,6-NDA) 분석법 확립 (Analytical Method Development of 2,6-dimethylnaphthalene Dicarboxylate (2,6-NDC) and 2,6-naphthalene Dicarboxylic Acid (2,6-NDA) in Poly (ethylene naphthalate) (PEN))

  • 성준현;오재명;신동우;최재천;임호수;박세종;박건우;김소희;김미혜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56-62
    • /
    • 2013
  • 연구에서는 PEN 수지 안전관리를 위하여 HPLC-UV 검출기를 이용한 2,6-NDC 및 2,6-NDA 분석법을 확립하였다. 분석법 검증 결과, 2,6-NDC 및 2,6-NDA 모두 $0.002{\mu}g/mL$ 검출한계, $0.005{\mu}g/mL$ 정량한계 및 $0.05{\sim}1{\mu}g/mL$의 농도 범위에서 $r^2$= 0.999 이상의 직선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회수율도 90~110%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여러고리 방향족 화합물과 요오드 사이의 전하이동 착물생성에 관한 열역학적 연구 (Thermodynamics of the Formation of Polynuclear Aromatics-Iodine Charge Transfer Complexes)

  • 권오천;김정림;이영훈
    • 대한화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575-581
    • /
    • 1985
  • 벤젠, 나프탈렌 및 페난스렌과 요오드 사이의 각계를 사염화 탄소 용액에서 자외선 분광광도법에 의하여 연구한 결과 1:1분자 착물이 형성됨을 알았다. 이들 착물 생성에 의한 흡수 최대는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blue shift되므로 이에 따른 각 온도에서의 평형 상수를 구하였다. 이 값으로부터 이들 착물 생성에 대한 열역학적 파라미터를 산출한 결과 각 온도에서 여러 고리 방향족화합물과 요오드 사이에 생성된 착물의 상대적 안정도는 방향족 고리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사실을 요오드에 대한 여러 고리 방향족 화합물들의 상대적 염기성도를 나타내며 방향족 화합물과 요오드 사이의 상호작용에 관한 공명현상에 의하여 설명할 수 있다. 그리고 이 계열의 연구결과를 폴리메틸 벤젠계열의 연구결과와 비교 고찰하였다.

  • PDF

다양한 합성조건에서 얻어진 멜라민계 고유동화제가 함유된 시멘트의 물리적 유동특성 (The Physical Fluidity Properties of Cement Containing Melamine-type Superplasticizer Obtained with Various Synthetic Conditions)

  • 윤성원;이범재
    • 공업화학
    • /
    • 제16권6호
    • /
    • pp.815-821
    • /
    • 2005
  • 현재 콘크리트 산업에서 주로 사용되고 있는 3가지 화학 혼화제로서 변경 리그닌계(LS), 나프탈렌계(SNF) 및 멜라민계(SMF) 혼화제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SMF계 고유동화제의 합성과정을 수산화메틸화 반응(Hydroxymethylation)-술폰화 반응(Sulfonation)-중합(Polymerization)-중화(Neutralization) 및 안정화(Stabilization)의 4단계로 나누어 반응을 진행시키면서 멜라민과 포르말린의 몰비를 변화시키고, 반응 3단계 중합과정에서 산촉매의 종류와 양을 조절하면서 시멘트용 고유동화제를 합성하였다. 다양한 합성조건에서 합성된 SMF계 고유동화제를 시멘트 모르타르 및 페이스트에 적용하여 작업성, 슬럼프 손실 및 압축 강도 등의 물리적 특성을 비교하였고, SEM image를 통하여 수화물 형태를 관찰하였다. 실험결과 SMF 고유동화제의 축합물 구조특성이 시멘트의 유동화 특성에 큰 영향을 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