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1 Pagoda and 3 Temple

검색결과 39건 처리시간 0.03초

한국고대가람 변천양상에 관한 불교사적 고찰 - 불신관의 발전과 불탑 및 불상의 위상변천에 관한 분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hanging Patterns of the Ancient Buddhist Temples of Korea - Based on the Analysis about Development of View of Buddha-kaya, Change of Status of Stupa and Statue of the Buddha -)

  • 이주형;장석하
    • 건축역사연구
    • /
    • 제20권1호
    • /
    • pp.95-116
    • /
    • 2011
  • It is a true fact that the ancient Buddhist temples of Korea were great, important historical influence revealing the transition and developing stages of all the BUddhist temples in Eastern Asia including China and Japan. Before Mahayana arose within India, the monastery and pagoda were united during the conflict and development of the original Buddhism and pagoda faith. With the arising of Mahayana and the introduction of Buddhist statues, the Buddhist temple and pagoda were in conflict and resulted in separation. With the creation and development of the Mahayana Bodhisattva concept, Hinayana and Mahayana started to show doctrine differences and expressed each others' characteristics relevant to the structure of the temple. As a result, the Buddhist Temple having 1 pagoda spread in China together with Hinayana and Mahayana. The Buddhist temple of Hinayana had its temple and pagoda separated and the Buddhist temple that has a pagoda in front was divided into a form of 1 pagoda and 1 main temple. The temple and pagoda for Mahayana in the form of 1 pagoda and 2 temple, where the main statue of the Buddha may be worshipped from both the left and right hand sides, were separated in the form of 1 pagoda and 3 temples to have its original form again. Mahayana was first introduced into Goguryeo through the routes in the northern region and developed from having 1 pagoda and 2 temples, to having 1 pagoda and 3 temples. China was influenced by the southern regions, which is why Abhidharma was introduced into Baekje. Later on, the importance of Bodhisattva increased and the transition speed of the Buddhist temple having 1 pagoda and 3 temples accelerated, as Buddhism became more popular and as Mahayana flourished. The statue of the Buddha on both sides of the pagoda shall gradually move next to the central temple, and the temple shall form large crowds to not only form a tacit boundary with the pagoda but the expansion of Bodhisattva shall also have a wall or a corridor constructed in between the central, left and right hand side temples to form separate areas, and shall have a pagoda built in front of the temples that worship from both sides. In conclusion, independence shall exist among each Bodhisattva within the Buddhist temple, and the status of the pagoda shall fall and appear as the pagoda on both sides in front of the main Buddha statue.

탑골공원 설계 (Design of Pagoda Park, Seoul)

  • 김성균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42-49
    • /
    • 2001
  • This design proposal was presented to a design competition for renovation of the Pagoda Park, located in Chongro-2ga, Chongro-gu, Seoul, where the first ˝Manse˝ (hurrah) Movement fighting against Japanese colonization, broke out on March 1st, 1919. The park has been considered to be the first modern park in Korea also. The objectives for the design were to make a sacred place to commemorate the 3.1 ˝Manse˝ Movement, to preserve and symbolically memorialize historic remains of the old ˝Wongaksa˝ Temple, an to provide natural and rest areas for citizen. For the space composition, three axes symbolic of, ´freedom and independence´, ´mercy´, and ´nature´, were created. For the freedom and independence axis, exiting facilities, such as statures and monuments related to the 3.1 Movement, were relocated centering around the octagonal pavilion, which was the starting point for the movement, to give order of the site. For the ercy axis, symbols of traditional temple structures, such as, ´Iljugate´-´Pian bridge´-´Chongwang gate´-´Haetal gate´-Pagoda-Buddhist sanctum, were created to symbolize the temple remains and placeness. For the nature axis, tree groves, walking trails, and rest areas for citizen were provided around the site. As a whole the design provided structural orders from secular spaces outside to sacred spaces inside.

  • PDF

중국 초기 불교사원 배치에 관한 연구 - 후한(後漢)부터 남북조(南北朝)까지의 문헌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Layout of Early Chinese Buddhist Temples - Focusing on the Literature from the Eastern Han Dynasty to the Northern and Southern Dynasties -)

  • 현승욱
    • 건축역사연구
    • /
    • 제22권1호
    • /
    • pp.29-39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layout of Early Chinese Buddhist Temples from the Eastern Han Dynasty to the Northern and Southern Dynasti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In the Eastern Han Dynasty and Three Kingdoms Period, the layout of Temples was a pagoda-centered system which had one-courtyard. The layout of Temples in this period was still under the influence of Indian Temples. 2) In the Western and Eastern Jin Dynasties, the layout of Temples was still a pagoda-centered system. However, many buildings began to appear in Temples after the mid-4th century. In the Eastern Jin Dynasty, Twin pagodas started to appear in Temples. 3) In the Northern and Southern Dynasties, there were many layout types, but the main form was the layout of front Pagoda and rear Buddhist Hall. The layout of Temples in this period was in a transition stage, which evolved from a pagoda-centered Temple which had one-courtyard and after developed into a Buddhist Hall-centered Temple which had multi-courtyard.

부재 해석을 통한 경주 고선사지 삼층석탑의 연혁 추적 (Tracking the History of the Three-story Stone Pagoda from the Goseonsa Temple Site in Gyeongju throughan Analysis of Component)

  • 전효수
    • 박물관보존과학
    • /
    • 제21권
    • /
    • pp.41-52
    • /
    • 2019
  • 2017년 실시한 경주 고선사지 삼층석탑의 정밀안전진단 과정에서 1975년 석탑 이전 시 2층 탑신석이 회전되었을 가능성이 제기되었다. 이에 일제강점기와 1975년 해체 전후의 관련정보와 사진자료 등을 수집하여 석탑부재에 대한 정밀조사를 진행하였다. 분석결과 1943년 개건 전·후에는 부재의 변동이 없었으나 1975년 이전과정에서 2층 탑신석이 오른쪽 방향으로 90도씩 회전하였고, 1층과 2층의 옥개석 1매가 서로 바뀌었음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석탑부재의 변동이 오류인지를 확인하기 위해 3차원 스캐닝 정보를 토대로 정밀계측과 옥개석 부재의 재구성 등을 통해 검증해 보았다. 검증결과 현재 1층 옥개석 4매의 두께는 75~76cm, 2층은 78~79cm로 특이점이 발견되지 않았고, 옥개석 간 연접선의 형상 역시 자연스러웠다. 이에 고선사탑은 조성이후부터 1943년 사이에 중수(重修)된 숨은 연혁이 존재하며, 고대에 발생한 오류를 1975년 바로잡은 것이라고 결론지었다. 아울러, 2층 탑신석의 회전은 옥개석 위치변동에 따른 부수적 조치일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석조문화재 디지털복원 및 구조안정성 평가를 위한 3차원 영상분석: 마곡사오층석탑 (3D Image Analysis for Digital Restoration and Structural Stability Evaluation of Stone Cultural Heritage: Five-storied Magoksa Temple Stone Pagoda)

  • 조영훈;이찬희
    • 보존과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15-130
    • /
    • 2009
  • 이 연구에서는 공주 마곡사오층석탑을 대상으로 3차원 스캐닝 시스템을 적용하여 디지털 복원 및 구조안정성평가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16방향에서 측정한 레이저 스캐닝 데이터를 7단계의 데이터처리 프로그램 과정에 활용하여 석탑의 디지털복원을 완성했다. 디지털복원 결과, 전반적으로 층별 부재의 높이와 폭은 방위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었고, 각 층별 옥개석의 폭은 매우 큰 차이를 나타냈다. 탑신의 층별 폭은 1층에서 5층으로 갈수록 줄어들지만 체감비율은 일정하지 않았다. 구조해석을 위한 3차원 영상분석 결과, 1층 탑신이 남동쪽으로 기울어진 것을 제외하고는 2층 탑신부터 상륜부까지 모두 북서쪽으로 변위가 발생하였다. 이와 같은 3차원 영상분석이 석조문화재에 지속적으로 사용되기 위해서는 측정방법의 정량화가 필요하며, 훼손도 정량평가와 같은 다양한 분야에도 적용되어야 할 것이다.

  • PDF

감은사지 삼층석탑 구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tructure of the Three storied Stone pagoda in Gameunsa Temple site.)

  • 남시진
    • 건축역사연구
    • /
    • 제17권3호
    • /
    • pp.7-21
    • /
    • 2008
  • Three-story Stone pagodas in Gameunsa Temple site, one of the early staged stone pagodas, has been known as a standard of Silla stone pagodas. A stone pagoda is not only a stone art work and but also a stone architecture. In understanding the stone pagoda it is very important to be approached with technological side in which we can investigate the stone pagoda deeply and as well as to have been approached with art historical view. Also it needs that we should see the stone pagoda in view of structural safety. We can get many high technique from our ancestors who made Gameunsajiseoktap. 1. To reduce any deformation such as relaxation and sinking of members which is caused by a heavy load the members such as the lower tier of the base is made up of the foundation stone and side stone in each, comprising one stone. 2. A special construction method for connection between wall stone and column stone in stereobates was invented. It is to make column stone projected partially and wall stone be caved in that two members should be jointed well. This unique method is not used any longer after the three-story Stone pagodas in Gameunsa Temple Site. 3. In each side upper and lower member are not engaged as the size of roof stones and support stones of roof stones are different. It can be done for a distribution of perpendicular load and a prevention for relaxation of members. 4. It makes sure that to make upper ends of support stones 10mm lower was to be avoid upper loads to it judging from survey in disassemblying east pagoda. It proves that ancestors who made this stone pagoda had a technique to understand the structural matters to make small members as big as possible, not to engage in joint, to avoid in ends of members from upper load.

  • PDF

석가탑 출토 묵서지편의 석탑 부재 관련 용어 고찰 (On the terminology for pagoda subsidiaries in the manuscripts excavated from Seokgatap pagoda)

  • 주경미
    • 동양고전연구
    • /
    • 제32호
    • /
    • pp.391-424
    • /
    • 2008
  • 1966년 해체 수리된 경주 불국사의 석가탑에서는 여러 가지 사리장엄구와 묵서지편들이 출토되었는데, 이들은 한국 불교사 및 불교미술사 연구에 매우 귀중한 자료이다. 본고에서는 석가탑에서 출토된 묵서지편에 등장하는 여러 가지 석탑 부재 관련 용어들을 정리하고, 이러한 새로운 용어들의 의미를 현존하는 유물과 비교하여 파악해 보았다. 석가탑 묵서지편은 크게 (1)<무구정광탑중수기(無垢淨光塔重修記)(1024)>, (2)<서석탑중수형지기(西石塔重修形止記)(1038)>, (3)<불국사탑(佛國寺塔) 중수포시명공중승소명기(重修布施名公衆僧小名記)(1038)> 등 세 종류로 구성되어 있는데, 그중에서도 석탑 부재 관련 용어들은 무구정광탑중수기와 서석탑중수형지기에서 기록되어 있다. 무구정광탑중수기에는 앙연대(仰蓮臺), 화예(花?), 통주(筒柱), 절석(節石), 통석(筒石), 분복(盆覆) 등 10개의 석탑 부재 관련 용어가 등장하는데, 이들은 대부분 석탑 상륜부 부재의 명칭으로 추정된다. 한편, 서석탑중수형지기에는 두정석(斗頂石), 상층석(上層石), 통주(筒柱), 통주석(筒柱石), 하층금당석(下層金堂石), 초층금당대석(初層金堂臺石), 월개석(月蓋石), 지대(地臺) 등의 여러 용어가 등장하는데, 이들은 현재의 석가탑 석탑의 탑신 및 기단부 부재와 크기 및 위치가 대부분 일치하여 주목된다. 이러한 여러 가지 석탑 부재 관련 용어들은 고려시대 11세기 불교계에서 실제로 사용되었던 것이지만, 현대 학계에서 사용하는 용어들과는 큰 차이가 있다. 아직까지 묵서지편의 판독과 해석은 정확하지 않기 때문에, 앞으로 중국, 일본의 중세 문헌의 관련 용어 및 다양한 실물 자료와의 비교 연구를 통해서 보다 정확하게 판독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러한 묵서지편에 등장하는 여러 가지 다양한 용어들의 분석을 통해서, 한국 불교사 및 불교 미술 연구가 한층 더 발전하기를 기대한다.

낙산사 공중 사리탑 복장직물의 조형특성 및 시기감정 (Characteristics of Textiles Found in the Pagoda at Naksan Temple)

  • 조효숙
    • 복식
    • /
    • 제59권6호
    • /
    • pp.29-40
    • /
    • 2009
  • On April 28th of 2006, a set of Buddha's reliquary was excavated from the pagoda in n Nacsan Temple. According to the record, the relics were put in the pagoda in the 18th year of King SookJong in the Chosun Dynasty (1692). The present paper examines ten pieces of wrapping clothes covering reliquary found in the pagoda. They are especially precious data in the history of textiles because they were blocked off from outside and was preserved in good condition with vivid colors still remaining after more than 300 years. Of the ten pieces of wrapping cloth, five were double-layered and the other five were single-layered. They include 15 pieces of silk fabric but, excluding repeated use of the same silk fabric, the total of 11 pieces of silk fabric were examined. All 11 kinds of silk fabric were patterned, 9 of which were Satin and the other 2 were Twill. Of the 9 Satin pieces, 8 pieces were 5-end satin which had the ground of 5-end warp satin with the figure of 5-end weft satin. The remaining 1 Satin piece were more splendid with prominent figures by using warp and weft of different colors. The 2 Twill pieces used twill weave-the ground was 3-end warp twill and the figures were 5-end weft twill. Both of the Twill pieces were weaved with character patterns, partly using wrapped gold thread as supplementary weft. The patterns of 11 pieces of silk fabric include flower, dragon/phoenix, cloud, and geometric patterns. Five were flower patterns, three were dragon/phoenix patterns, two were geometric pattern, and one was cloud pattern. In addition, various treasure patterns, character patterns were utilized as supplementary patterns. The flower and phoenix patterns reflect characteristics of the textiles of the 17th century whereas check pattern and cloud pattern were very unique.

미륵사지석탑 붕괴상태 고찰 (A Study of collapsed conditions of the stone pagoda in Mireuk Temple Site)

  • 김덕문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38권
    • /
    • pp.305-327
    • /
    • 2005
  • 미륵사지석탑은 이미 오래전에 붕괴된 상태로 남아 있다. 붕괴된 시기와 원인은 역사적 기록이 남아 있지 않아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6층까지 무너져 내려 부재가 헝클어진 서측면 하부에는 1층 높이까지 석축이 쌓여 있다. 이 석축은 남아 있는 부분이 더 이상 무너지지 않도록 이미 오래전에 쌓았다. 그러나 언제 누가 이 석축을 쌓았는지 역사적 사실에 대한 기록이나 전해지는 이야기가 없다. 본 연구에서는 제2장에서 미륵사지석탑의 모습을 표현한 옛 문집 등에 나타나 있는 정황을 시대별로 정리하여 역사적 배경을 짐작해 보았다. 1915년 일제 강점기에 일본인들은 서측면을 둘러싸고 있는 석축 상부 무너진 경사면에 콘크리트를 덮었다. 그 후 1998년도에는 전라북도에서 미륵사지석탑에 대한 구조안전진단을 실시하였다. 문화재위원회는 구조안전 진단에 근거해서 1915년에 공사한 콘크리트를 제거하고, 탑을 보수정비하기로 결정하였다. 탑이 무너져 내린 상태는 콘크리트를 제거하면서 그대로 발견되었다. 탑의 붕괴상태는 지진 또는 기초가 침하되는 현상, 홍수, 태풍 따위의 자연 현상에 따라 각각 다른 모 습으로 나타날 수 있다고 가설을 세웠다. 이 논문에서는 제3장에서 역사적으로 기록된, 여러 가지 자연 현상에 의해 무너진 탑들의 모습을 관찰하여 그 특징을 분류해 보았다. 그리고 제4장에서 미륵사지석탑에서 나타나 있는 상태와 앞서의 다른 예들과 비교분석해 보았다. 연구결과 미륵사지석탑은 지표면보다 높게 구성되어 있는 탑의 기초에 해당하는 기단에서 우수에 의한 침식 현상이 발견되었다. 기단에서 발생한 침식은 오랫동안 지속적으로 진행된 현상으로 관찰되었다. 기단 침식이 심해지면서 서측면 1층 벽체가 바깥쪽으로 기울어지게 된 현상을 볼 수 있었다. 상부층을 받치고 있는 1층 벽체가 바깥쪽으로 기울어짐에 따라 탑의 상부 구조는 평형을 잃어 무너지게 되었을 가능성이 있다고 고찰되었다. 그밖에 지진이나 태풍, 지반 침하와 같은 자연현상에 의해 무너진 탑들에서 나타나는 붕괴상태의 특징이 미륵사지석탑에서는 뚜렷하게 발견되지 않고 있다.

감은사지 3층석탑(서탑)의 지반 특성을 위한 지구물리탐사 (GEOPHYSICAL EXPLORATION FOR THE SITE CHARACTERISTICS OF THE WESTERN THREE-STORY STONE PAGODA IN GAMEUM TEMPLE)

  • 서만철;최희수;이찬희;오진용
    • 지구물리
    • /
    • 제6권1호
    • /
    • pp.39-46
    • /
    • 2003
  • 경상북도 경주시 양북면 용당리 감은사지터에 위치한 쌍둥이 3층석탑(전체높이 약 13.4 m, 기단폭 6.78 m x 4.4 m)은 682년에 건립된 국내 최대 3층 석탑으로 국보급 문화재이다. 3층석탑의 서탑(이하 감은사지서탑)은 1959년에 해체 수리되었으나, 현재는 석탑 석재인 화강섬록암의 심한 풍화가 관찰되며, 탑의 구조적 불균형에 의하여 생겨난 하중의 편중으로 일부 옥개석 사이가 역 V자형으로 벌어져 있다. 일반적으로 석탑 안정성 진단을 위해서는 석탑과 인근의 지반환경을 이해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이 연구에서는 감은사지서탑 주변에서 탄성파탐사와 전기비저항탐사의 복합 지구물리탐사를 실시하였다. 웨너법에 의한 천부층의 전기비저항 수평 분포는 55∼350 Ωm의 범위인데, 대체로 석탑 남서측면이 상대적으로 높은 비저항인 반면 북동측은 100 Ωm이하의 낮은 비저항 지역으로서 연약지반으로 해석된다. 이는 동측 방향으로의 구조적인 기울임이 관찰된 석탑의 변위측정 결과와 부합한다. 탄성파 굴절법 탐사에 의하면 석탑인근의 약 3 m 두께의 최상부층의 탄성파 P파 속도범위는 200∼700 m/s이다. 복합지구물리 탐사결과 나타난 감은사지서탑의 기초는 약 11 m x 11 m의 장방형 형태로 약 3 m 깊이까지 분포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