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1/7/76

검색결과 5,097건 처리시간 0.037초

체외성숙, 체외수정 우 난포란의 Co-culture에 관한 연구 (Co-culture of In Vitro Matured and Fertilized Bovine Oocytes with Oviductal Epithelium)

  • 고광두;양부근;김정익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50-56
    • /
    • 1990
  • Bovine oocytes obtained from follicles(2~5mm) of ovaries after slaughter were cultured in TCM 199 medium with 10~20% heat-inactivated estrus cow serum(ECS) for 25~27 hr, at 39$^{\circ}C$ under 5% CO2 in air. At the end of culture period, some oocytes were stained with 1% acetoorcein and examined for the evidence of oocyte maturation. The remainder were used to assess the potential of in vitro fertilization(IVF) with frozen-thawed spermatozoa and subsequent development in media with or without bovine oviduct epithelial cell (BOEC) co-culture. The results obtained were summarized as follows ; 1. The maturation rate of oocyte in vitro in TCM 199 medium with 15% ECS group(76.3) was superior to 10% ECS group(68.3%) and 20% ECS group(64.5%). 2. The IVF rates of oocytes matured in vitro, and formation rate of male and female pronuclei were 63.6%(77/121) and 93.5%(72/77), respectively. The incidence of polyspermy was very low(2.4%). 3. Of 73 oocytes fertilized in vitro and cultured in TCM 199 medium with 10% fetal calf serum for 7 days, 41(56.3%) were cleaved over 2-cell and only 1(2.4%) was developed beyond the 16-cell stage. 4. Of 76 oocytes co-cultured with BOEC, 58(76.3%) were cleavaged and 23(39.7%) were developed to morula and blastocyst stage.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co-culture with BOEC deserved a positive effect on the IVF oocyte development through the 16-cell block.

  • PDF

석유탄화수소를 이용한 단세포단백질의 생산에 관한 연구 제 7 보 시험공장에서 혼합배양균주의 생육조건 (Production of Single-Cell Protein on Petroleum Hydrocarbon Part 7. Growth Conditions of Mixed Cultures in Pilot Plant)

  • 변유량;민태익;권태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231-240
    • /
    • 1974
  • 탄화수소자화성균주인 C. tropicalis var. KIST 76과 비(非)자화성균주인 T. cutaneum KIST 76-H의 혼합배양을 이용한 탄화수소효모(炭化水素酵母)의 생산기술을 개발하기 위하여 시험공강규모 회분(回分)배양연구를 수행하였는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C. tropicalis var. KIST 76과 T. cutaneum KIST 76-H는 안정한 혼합배양계(培養界)를 형성하며 균체수율, 단백질함량 및 균체생산속도는 각각 102%, 57.6% 및 3.2 g/l,hr로서 단독배양의 71%, 52% 및 2.4 g/l,hr에 비하여 현저히 향상된 우수한 산업균주(産業菌株)임을 알았다. 2. 혼합배양균주의 임계용존(臨界溶存)산소농도 및 친화성(親和性), km 값은 각각 1.5ppm, 0.228 ppm이였으며 최적조건에서 산소요구량은 9.2 mmole $O_2/g$ cell,hr였다. 한편 시험공장 발효조의 산소전달량은 $140{\sim}230$ m mole $O_2/l,hr$로서 필요한 산소량을 공급할 수 있었다. 3. 혼합균주의 생육적온(適溫)은 $33{\sim}36^{\circ}C$였으며 최적 pH 는 5.0이다. 그러나 pH 4.0에서 비증식속도, 균체생산성, 균체성분에 큰 영향을 주지 않고 무살균(無殺菌)조업이 가능하였다. 4. 최적 n-paraffin농도는 $1.5{\sim}2$ g/l이며 기질농도가 증가할수록 균체수율은 감소하였으나 비증식속도, 균체성분에는 큰 영향이 없었다.

  • PDF

한국 재래닭의 산란형질에 대한 능력변이

  • 상병돈;최철환;김학규;나재천;김상호;장병귀;서옥석;이상진
    • 한국가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가금학회 2004년도 제21차 정기총회 및 학술발표회
    • /
    • pp.97-98
    • /
    • 2004
  • 한국 재래닭의 중요 산란형질에 대한 각 계통의 세대별 시산일령, 시산난중, 270일령 난중 및 산란수의 평균능력은 각각 147.1$\pm$1.9일, 32.3$\pm$0.9 g, 49.4$\pm$0.7 g 및 76.2$\pm$1.7개이었고, 세대당 평균 능력 변이는 각각 -0.75$\pm$0.01 일, 0.33$\pm$0.08 g, 0.19$\pm$0.05 g 및 0.47$\pm$0.3개였다.

  • PDF

7050Al 합금의 열처리공정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heat treatment processing of 7050 aluminum alloy)

  • 이효수;남태운;이병권
    • 열처리공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39-146
    • /
    • 1996
  • The aero-industry is union industry which includes a research development type, a knowledge accumulation type and a developed country type. The aero-industry of Korea is in semi-developed type stage but departed later than that of other country such as Taiwan, Indonesia etc. Therefore, the necessity of domestic airplane material is required. This study on 7050Al extruded alloy aims to suggest an adequate heat treatment conditions of T73, T74 and T76.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1. The optimum conditions of T7x heat treatment in extruded 7050Al alloy show this; $$T73:121^{\circ}C{\times}7hr+177^{\circ}C{\times}14hr$$. $$T74:121^{\circ}C{\times}7hr+177^{\circ}C{\times}10hr$$. $$T76:121^{\circ}C{\times}7hr+163^{\circ}C{\times}21hr$$. 2. The 2nd step aging heat treatment such as T73, T74 and T76 etc. is efective in 7050Al alloy but the variation otf microstructure and mechanical property with dispersive inclusions produced for extrusion process causes some troubles. Accordingly, in order to produce a good 7050Al alloy, a careful attention is needed in manufacturing process.

  • PDF

특수가금(꿩, 청둥오리, 오골계)육의 영양성분 (Chemical Composition of Special Poultry (Pheasant, Chungdung Wild Duck, and Ogol Fowl) Meatp)

  • 김기준;오홍록;오만진
    • 농업과학연구
    • /
    • 제23권1호
    • /
    • pp.90-98
    • /
    • 1996
  • 특수 가금류인 꿩, 청둥오리 및 오골계고기 가공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기 위하여 고기근육의 일반성분, 지방산조성, 아미노산조성, 무기물함량을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꿩고기는 수분 71.2-74.1%, 단백질 23.3-26.4%, 지방 1.0-2.4%, 회분 1.1-1.4%이었고, 청둥오리 고기는 수분 73.8-76.4%, 단백질 18.6-19.6%, 지방 2.7-6.8%, 회분 0.8-1.6%이었으며 오골계 고기는 수분 71.4-72.3%, 단백질 20.8-22.7%, 지방 1.9-6.3%, 회분 1.0-l.2%이었다. 2. 꿩 및 청둥오리고기의 지방산 조성은 불포화지방산 60-64%, 포화지방산 36-40% 이었고 oleic, palmitic, linoleic, stearic acid의 순이었으며, 오골계의 불포화지방산 72-76%, 포화지방산 24-28%이었다. 3. 꿩고기의 아미노산 함량은 glutamic acid, alanine, aspartic acid, glycine의 순이었으며, 청둥오리는 glutamic acid, glycine, alanine, aspartic acid의 순이었고 오골계는 lysine, glutamic acid, aspartic acid순이었다. 4. 꿩 및 청둥오리고기의 무기물함량은 칼슘, 인, 나트륨, 마그네슘, 칼슘의 순이었고 오골계는 칼륨, 나트륨, 마그네슘, 인, 칼슘의 순이었다.

  • PDF

벼 수확시 충격에 의한 탈립 손실과 탈립성의 년차간 변이 (Shattering Grain Loss in Relation to the Impulse During Harvest and Year-Variation of Grain Tensile Strength in Rice)

  • 권용웅;신진철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419-424
    • /
    • 1983
  • 밀양 2003, 한강찰벼, 태백벼 및 진흥을 공시하여 벼알의 인장강도를 측정하고, binder 수확시 포장손실과 지상 25, 50, 75, 100, 150cm 및 200cm에서 콘크리트 바닥에 이삭을 낙하시켜 낙하높이별 탈립율을 조사하여 충격력과 탈립율과의 관계를 구하고 인장강도의 년차변이를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평균인장강도는 밀양 2003 0.743 Newton, 한강찰벼 1.078N, 태백벼 1.573N, 진흥 1.775N이었다. 2. 인장강도가 낮을수록 binder 수확시 탈립손실이 많았으며 탈립손실이 없는 인장강도는 약 1.7N이상이었다. 3. 벼의 binder 절단부위의 수분함량은 엽초가 76.7-77.8%, 간이 76-87%이었다. 4. Binder 수확시의 포장손실율은 한 이삭을 약 40cm 높이에서 콘크리트 바닥에 떨어뜨렸을 때의 탈립율과 같았다. 5. 충격력($\chi$, NewtonㆍSec)과 탈립율(Y, %)과의 관계는 밀양 2003에서 Y=-25.73+4958.4$\chi$ ($r^2$=0.987), 한강찰벼에서는 Y=-12.97+2258.3$\chi$ ($r^2$=0.979), 태백벼에서 Y=-5.24+840.4$\chi$ ($r^2$=0.976)이었다. 6. 인장강도는 동일품종에서도 년차간에 유의적변이를 보였는데 그 변이폭은 탈립성이 큰 품종에서 작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