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1/2 MS

검색결과 5,538건 처리시간 0.028초

이온강도에 따른 Agar와 공정육묘용 상토에서 기내배양된 딸기 소식물체의 생육 (Growth of Strawberry Plantlets Cultured in Vitro in the Agar or Commercial Plug Medium as Affected by Ionic Strength)

  • 황승재;정병룡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0권2호
    • /
    • pp.201-207
    • /
    • 2012
  • 본 연구는 딸기 소식물체의 급속대량 증식을 위한 기내배양에서 적정한 지지물과 최적의 MS 배지 이온강도를 구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딸기($Fragaria$ $ananassa$ 'Houkouwase') 절편체는 지지물로 agar와 Tosilee(상업적 플러그 육묘용 배지) 배지를 사용하고, 공급된 MS 배지는 기본 MS(대조구), 1/2 MS, 1/4 MS의 강도로 공급하여 자가영양배양 하에서 미세증식하였다. Agar 배지에서 생육을 비교했을 때 1/2 MS 강도에서 초장과 근장이 가장 길었다. 또한 1/2 MS 강도에서 지상부 생체중과 건물중, 그리고 엽면적이 1/4 MS와 기본 MS 강도에서보다 우수했다. 기본 MS의 Tosilee 배지에서 딸기 소식물체를 배양했을 때 초장, 근장, 지상부와 지하부의 생체중과건물중이 agar 배지에서 배양했을 때보다 더 양호했다. 자가영양배양을 통한 기내미세번식 딸기 소식 물체는 1/2 MS 강도의 agar 배지에서 배양하기보다는 기본 MS 강도의 토실이배지에서 가장 우수한 생육을 나타냈다.

배지 및 생장조절제 종류를 이용한 바위떡풀 신품종 '그린스타' 의 다신초 유도 (Multiple Shoot Induction on the New Cltivar, Saxifraga fortunei 'Greenstar' by Different Media and Plant Growth Rregulators)

  • 서종택;류승열;유동림;남춘우;허윤영
    • 화훼연구
    • /
    • 제18권2호
    • /
    • pp.83-86
    • /
    • 2010
  • 바위떡풀의 기내 배양시 MS배지의 농도별로 12주간 배양한 결과 1/2 MS 배지에서 신초길이 1.9 cm, 엽수 24.7매, 뿌리수 8.0개, 신초수 절편당 11.0개로 1 MS나 2 MS 배지에 비해 효과적이었다. 1/2 MS배지를 기본으로 하여 생장조절제를 첨가하여 8주간 배양한 결과 CPPU 농도처리시 신초길이와 뿌리수는 무처리구에서 많았으나 신초수에 있어서는 농도가 높아질수록 많아져 $2.00mg{\cdot}L^{-1}$ 농도 처리구에서 8.2개로 가장 많아 증식에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TDZ, zeatin과 BA처리는 무처리에 비해 처리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바위떡풀을 조직배양 방법을 이용하여 대량증식 시키고자 할 때에는 생장점을 초대배양(MS배지)한 후 신초를 CPPU $2.00mg{\cdot}L^{-1}$ 을 첨가한 1/2 MS배지에 치상하여 다신초를 발생시킨 후 다시 신초를 하나씩 분리하여 1/2 MS배지에 계대하여 배양한 후 순화하면 다량의 식물을 획득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생물반응기 생산 현삼 신초의 순화에 미치는 배지의 영향 (Effects of Composition and Concentration of Media on the Acclimation of the Shoots of Scrophularia buergeriana Miquel Produced in Bioreactor)

  • 한석훈;채영암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62-67
    • /
    • 2001
  • 본 실험의 목적은 생물반응기를 이용한 현삼 종묘의 기내증식과 기내순화에 관여하는 적정 배지조건을 검토하여 추후 종묘의 건전한 생육과 안정적 생산에 활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얻고자 하였으며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생물반응기에서 4주간 배양한 신초의 발근과 생장은 1X MS 액체배지에서 양호하였으나 6주간 배양한 신초는 1/10 MS 배지에서 좋았다 2. MS 고체배지에서의 잎 전개율은 생물반응기에서 6주간 배양한 신초가 4주간 배양한 신초보다 높았다. 3. 잎이 전개된 신초의 수와 신초당 잎의 수는 1X MS 고체배지에서 많았으나 유리화도 1/2X MS 고체 배지에서 보다 많이 발생하였다. 4. 전반적으로 보아 신초의 지상부 생육은 MS 기본배지에서 양호하였으나 지하부 생육은 암모니아 태 질소를 1/4로 줄인 배지에서 좋았다. 5. 암모니아태 질소를 1/4로 줄이고 아가농도를 1.2%로 조정한 배지에서 신초의 생육이 좋았으나 유리화가 많이 발생하였다. 6. 신초의 생육과 순화는 1X MS배지에 1.6% 아가농도가 좋았으나 1/2X MS에 1.2%의 아가를 첨가한 경우보다 유리화가 많이 나타났기 때문에 신초의 순화는 1/2 MS 기본배지에 아가농도를 1.2%로 한 배지가 가장 적합한 것으로 생각되었다.

  • PDF

모형을 이용한 1.5T와 3.0T 자기공명에서의 뇌 대사물질들의 수소 T1과 T2 이완시간의 비교 (Comparison of Proton T1 and T2 Relaxation Times of Cerebral Metabolites between 1.5T and 3.0T MRI using a Phantom)

  • 김지훈;장기현;송인찬
    •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 /
    • 제12권1호
    • /
    • pp.20-26
    • /
    • 2008
  • 목적 : 주요 뇌 대사물질들의 T1 및 T2 이완시간들을 1.5T 및 3.0T 자기공명영상에서 산출하고 비교하여, 실제 임상응용의 기초자료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5T와 3.0T에서 N-acetyl aspartate (NAA), Choline (Cho), Creatine (Cr)을 함유한 모형을 이용하여 STEAM (STimulated Echo-Acquisition Mode)방법으로 반복시간 (Repetition time)을 5000 ms, 에코시간 (Echo time)을 20 ms로 고정한 후 혼합시간 (Mixing time)을 11단계로 변화시켜서 획득된 스펙트럼들에서 뇌 대사물질들의 T1 이완시간을 산출하였으며, PRESS (Point-REsolved SpectroScopy)방법으로 반복시간을 3000 ms에 고정시킨 후 에코시간을 5단계로 변화시켜서 획득된 스펙트럼들에서 뇌 대사물질들의 T2 이완시간을 산출한 후 그 결과들을 1.5T와 3.0T사이에서 비교하였다. 결과 : T1 이완시간에 대하여, NAA는 1.5T에서 $2293\;{\pm}\;48\;ms$, 3.0T에서 $2559\;{\pm}\;124\;ms$로 산출되어 1.5T와 비교하여 3.0T에서 11.6% 길어졌고, Cho은 1.5T에서 $2540\;{\pm}\;57\;ms$, 3.0T에서 $2644\;{\pm}\;76\;ms$로 3.0T에서 4.1% 길어졌으며, Cr 은 1.5T에서 $2543\;{\pm}\;75\;ms$, 3.0T에서 $2665\;{\pm}\;94\;ms$로 3.0T에서 4.8% 길어졌다. T2 이완시간에 대하여, NAA는 1.5T에서 $526\;{\pm}\;81\;ms$, 3.0T에서 $468\;{\pm}\;74\;ms$로 산출되어 3.0T에서 11.0% 짧아졌고, Cho은 1.5T에서 $220\;{\pm}\;44\;ms, 3.0T에서 $182\;{\pm}\;35\;ms$로 3.0T에서 17.3% 짧아졌으며, Cr 은 1.5T에서 $289\;{\pm}\;47\;ms$, 3.0T에서 275\;{\pm}\;57\;ms$로, 3.0T에서 4.8% 짧아졌다. 결론 : 1.5T와 비교하여 3.0T에서 모형에 함유된 주요 뇌 대사물질들의 T1이완시간들은 $4.1%\;{\sim}\;11.6%$ 증가하였고, T2이완시간들은 4.8% ~ 17.3% 감소하였으므로, 자기공명분광법의 적정화를 위하여 3.0T에서 반복시간을 연장시키고, 에코시간은 단축시켜야 한다.

  • PDF

Analysis of Amyloid Beta 1-16 (Aβ16) Monomer and Dimer Using Electrospray Ionization Mass Spectrometry with Collision-Induced Dissociation

  • Kim, Kyoung Min;Kim, Ho-Tae
    • Mass Spectrometry Letters
    • /
    • 제13권4호
    • /
    • pp.177-183
    • /
    • 2022
  • The monomer and dimer structures of the amyloid fragment Aβ(1-16) sequence formed in H2O were investigated using electrospray ionization mass spectrometry (MS) and tandem MS (MS/MS). Aβ16 monomers and dimers were indicated by signals representing multiple proton adduct forms, [monomer+zH]n+ (=Mz+, z = charge state) and [dimer+zH]z+ (=Dz+), in the MS spectrum. Fragment ions of monomers and dimers were observed using collision-induced dissociation MS/MS. Peptide bond dissociation was mostly observed in the D1-D7 and V11-K16 regions of the MS/MS spectra for the monomer (or dimer), regardless of the monomer (or dimer) charge state. Both covalent and non-covalent bond dissociation processes were indicated by the MS/MS results for the dimers. During the non-covalent bond dissociation process, the D3+ dimer complex was separated into two components: the M1+ and M2+ subunits. During the covalent bond dissociation of the D3+ dimer complex, the b and y fragment ions attached to the monomer, (M+b10-15)z+ and (M+y9-15)z+, were thought to originate from the dissociation of the M2+ monomer component of the (M1++M2+) complex. Two different D3+ complex geometries exist; two distinguished interaction geometries resulting from interactions between the M1+ monomer and two different regions of M2+ (the N-terminus and C-terminus) are proposed. Intricate fragmentation patterns were observed in the MS/MS spectrum of the D5+ complex. The complicated nature of the MS/MS spectrum is attributable to the coexistence of two D5+ configurations, (M1++M4+) and (M2+M3+), in the Aβ16 solution.

단백체 분석을 위한 일차원 및 이차원 역상크로마토그래피의 비교 (Comparison of 2-D RP-RP MS/MS with 1-D RP MS/MS for Proteomic Analysis)

  • 문평곤;조영은;백문창
    • 약학회지
    • /
    • 제54권5호
    • /
    • pp.377-386
    • /
    • 2010
  • Single-dimensional (1-D) and two-dimensional (2-D) LC methods were utilized to separate peptides from various sources followed by MS/MS analysis. Two-dimensional ultra-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is a useful tool for proteome analysis, providing a greater peak capacity than 1-D LC. The most popular 2-D LC approach used today for proteomic research combines strong cation exchange and reversed-phase LC. We have evaluated an alternative mode for 2-D LC of peptides using 2-D RP-RP nano UPLC Q-TOF Mass Spectrometry, employing reversed-phase columns in both separation dimensions. As control experiments, we identified 129 proteins in 1-D LC and 322 proteins in 2-D LC from E. coli extract peptides. Furthermore, we applied this method to rat primary hepatocyte and a total of 170 proteins were identified from 1-D LC, and 527 proteins were identified from all 2-D LC system. The in-depth protein profiling established by this 2-D LC MS/MS from rat primary hepatocyte could be a very useful reference for future applications in regards to drug induced liver toxicity.

LC/MS와 1H NMR을 이용한 화장품속의 글리세린 비교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glycerin in cosmetics by LC/MS and 1H NMR)

  • 박교범;박찬조;이석근
    • 분석과학
    • /
    • 제20권5호
    • /
    • pp.400-405
    • /
    • 2007
  • 액체크로마토그래피/질량분석법(LC/MS) 및 핵자기공명분광분석법 $^1H(NMR)$을 이용하여 화장품에 들어있는 글리세린을 동시 비교분석하였다. 화장품 시료를 물에 용해시키고 수산화나트륨을 첨가하여 시료용액을 강알칼리 상태로 유지시킨 후, 시료용액 중의 글리세린을 benzoyl chloride로 유도체화 반응 시키고 유도체화된 글리세린을 pentane으로 추출하여 LC/MS로 정량분석 하였다. $^1H$ NMR 분석은 시료를 전처리 없이 $D_2O$ 용매에 직접 용해시키고, 글리세린을 ERETIC(Electronic REference To access In vivo Concentrations) 방법을 이용하여 $^1H$ NMR로 직접 정량분석 하였다. LC/MS 및 NMR 분석결과 LC/MS의 검량선은 $0.1-10{\mu}g/mL$ 농도범위에서 $r^2=0.9991$ 이었고 $^1H$ NMR의 검량선은 $25-500{\mu}g/mL$ 농도범위에서 $r^2=1$의 상관계수를 갖는 좋은 직선성을 얻었다.

땅두릅의 체세포배로부터 2차배 발생과 식물체 재생에 미치는 싸이토카이닌의 영향 (Effects of Cytokinins on Secondary Embryogenesis and Plant Regeneration from Somatic Embryos of Aralia cordata Thunb.)

  • 이종천;소웅영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49-154
    • /
    • 2000
  • 땅두릅 미성숙 화기절편을 이용하여 1 mg/L 2,4-D의 고체배지에서 배발생 캘러스를 유도하였고 동일조건의 액체배지에서 증식시켰다. 배발생 세포를 270$\mu\textrm{m}$의 걸름체로 거른 다음 배발생 세포는 싸이토카이닌이 포함된 MS 액체배지에서 2주 동안 배양하였고 그후 생장조절물질이 없는 MS 액체배지에서 5주간 배양하여 1차 체세포배가 유도되었다. 이들중 어뢰형과 자엽형 시기의 배를 생장조절물질이 없는 MS고체 배지에 치상하였을 때 캘러스의 형성 없이 2차배가 직접 유도되었다. 2차배를 유도할 때 2mg/L kinetin에서 얻어진 1차 배에서 가장 높은 빈도의 2차배가 발생되었다. 식물체 재생은 1 mg/L kinetin 혹은 1 mg/L zeatin을 처리하여 얻어진 1차 자엽형배로부터 유도된 2차 자엽형배를 생장조절물질이 없는 MS 고체배지에 치상하였을 때 높게 나타났다 (각각 25.4%, 28.6%). 2차배로부터의 3차배 발생과 식물체 재생과의 상관 관계를 볼 때 식물체의 재생에 있어서 3차배의 배발생은 저해적인 영향을 주었다.

  • PDF

Aspergillus nidulans의 역제의 유전자의 작용기작에 관한 연구 II (Studies on the mechanisms of suppression in Aspergillus nidulans)

  • 문은표;강현삼
    • 미생물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10
    • /
    • 1982
  • From Aspergillus nidulans, six suppressor mutants, MSI-MS6, were isolated, and their characteristics were analysed. These were the suppressor mutants for acriflavin resistant and nicotinamide auxotrophic mutant phenotypes. MS1, MS2, MS5 and MS6, were linked to the chromosome IV, I, II respectively, and MS2 was linked to one of the rest chromosomes, MS3 and MS6 mutants had both suppressors for acriflavin resistant marker and for nicotinamide auxotrophic marker. In order to know the stability and efficiency of the suppressors, their reversion frequencies, that is, frequencies of losing the suppressibility, were analysed. Only MS3 and MS5 were reversed with high frequency. The four mutants didn't lose their suppressibilities, and this meant that the suppressors of these four were very stable and highly effcient. The suppressor specificities of these mutants were tested for other mutant's phenotype marker. One of the six suppressors, MS1, had the suppressor specificity for acriflavin resistant marker of 163 strai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