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1,3-butylene glycol

검색결과 50건 처리시간 0.02초

화장품에서 1,3-부틸렌 글라이콜 및 알칸디올계 조성에 따른 방부력에 관한 연구 (Preservative Efficacies according to the Composition of 1, 3-Butylene Glycol and Alkane Diols in Cosmetics)

  • 서지영;윤믿음;이예슬;현송화;박동순;박수남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363-373
    • /
    • 2018
  • 최근 화장품에서 방부제로 사용되는 파라벤류는 인체 안전성에 대한 문제가 이슈화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파라벤류를 대체할 수 있는 방부시스템으로 1,3-butylene glycol, 1,2-hexanediol 및 1,2-pentanediol의 함량에 따른 방부력 효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화장품 크림에 1,3-butylene glycol을 5- 25% 사이의 농도로 첨가하였다. 1,3-Butylene glycol의 방부력은 Personal Care Products Council(CTFA)의 M-3 시험법으로 측정하였다. 알칸 디올계인 1,2-hexanediol 및 1,2-pentanediol도 유사한 방법으로 평가하였다. 1,3-Butylene glycol의 함량에 따른 방부력 평가 결과, 25%를 첨가한 크림 처방에서 모든 시험 균주에 대하여 방부력을 나타내었으며, phenoxyethanol 0.3%와 ethylhexylglycerin 0.1%가 혼합된 처방에서 방부력을 나타내었다. 방부제인 phenoxyethanol의 0.3% 함량을 대체할 수 있는 대체 방부제로 alkane diol계인 1,2-hexanediol과 1,2-pentanediol을 선정하여 방부력 평가를 진행하였다. 1,2-Hexanediol과 1,2-pentanediol의 조성에 따른 방부력 평가 결과, 1,2-hexanediol 1%와 1,2-pentanediol 1%의 혼합 처방에서 방부력을 나타내었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25%의 1,3-butylene glycol과 0.1%의 ethylhexylglycerin, 1%의 1,2-hexanediol 및 1%의 1,2-pentanediol의 처방은 가장 우수한 방부력을 나타냄을 입증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처방은 화장품에서 사용되어 안전성의 이슈가 되어온 파라벤류 방부제를 대체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L-ascorbic acid가 포집된 BGsome의 특성 및 안정화 효과 (Characteristics of L-Ascorbic Acid Encapsulated BGsome and its Stabilization Effect)

  • 황수연;진병석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313-320
    • /
    • 2011
  • Encapsulation of L-ascorbic acid(AA) into BGsome was attempted to improve its stability. BGsome is a bio-compatible vesicular system prepared by dispersion of hydrated liquid crystalline phase formed through hydration of 1,3-butylene glycol(BG)-dissolved lecithin with an aqueous solution containing hydrophilic component. The characteristics of AA encapsulated BGsome, such as droplet size, surface charge, and solution appearance, was investigated. The concentration of AA solution had considerable effect on droplet size and surface charge of BGsome. Several tens nanometer droplet made by sonication treatment did not showed any change of size with storage time. Stability of AA was improved by encapsulation into BGsome, which was verified through DPPH test and HPLC assay.

실험 계획법을 이용한 투명비누에 영향을 미치는 폴리올 농도 결정 (Determination of Polyol Concentration Affecting to the Transparent Bar Soap Using Design of Experiment Method)

  • 조완구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54-62
    • /
    • 2012
  • 본 실험에서는 투명비누를 만드는데 사용되는 폴리올의 최적 농도를 실험계획법을 이용하여 결정하였다. 짧은 사슬을 보유한 디프로필렌글리콜과 1,3 부틸렌글리콜은 비누의 투명도를 증가시켰으나 폴리에틸렌글리콜 400, 글리세린과 디글리세린은 비누를 불투명하게 하였다. 프로필렌글리콜, 디글리세린, 디프로필렌글리콜 및 폴리에틸렌글리콜의 농도를 증가시키면 비누의 경도는 증가하였다. 경도, 투명도, 물의 흡수성 및 마찰 용해도는 디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설탕과 트리에탄올아민의 농도를 조절하여 최적화할 수 있었다.

감 추출물의 항산화, 항노화 및 미백 기능 규명 (Identification of Anti-oxidant, Anti-aging, and Whitening Effects of Diospyros kaki Extracts)

  • 홍창의;유수연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275-285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감(Diospyros kaki)의 1,3-butylene glycol 추출물(DBG)과 에탄올 추출물(DET)를 이용하여 항산화, 항노화 및 미백 기능을 규명하였다. 항산화능은 DPPH와 superoxide dismutase (SOD) assay를 통해 규명하였으며, 그 결과 DBG와 DET 모두 현저한 DPPH 소거능 및 SOD-유사능을 보여주었다. 또한 elastase와 hyaluronidase 억제능 그리고 matrix metalloproteinase (MMP-1) 발현을 통해 항노화 기능을 규명하였다. DBG와 DET 모두 농도의존적으로 elastase와 hyaluronidase를 억제하였으며, MMP-1 발현 역시 저해하였다. 마지막으로 미백 기능을 규명하기 위하여 tyronisinase 억제 및 melanin 생성 저해능을 알아보았는데, DBG 추출물만이 tyrosinase를 저해할 수 있었다. 요약하면, 감 추출물은 강한 항산화, 항노화, 미백 기능을 갖고 있으며, 추후 화장품 소재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모란 추출액에서 paeoniflorin과 paeonol 동시 정량 분석 및 화장품 원료의 품질관리 기준 설정 (Quantitative Analysis of Paeoniflorin and Paeonol in Peony Extracts and Quality Control Standards)

  • 윤기훈;지용하;이동규;백수희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235-246
    • /
    • 2018
  • 모란은 항염증작용, 항알레르기작용, 항균작용, 중추억제, 위액분비억제, 진경작용 등의 약리활성이 있을 뿐 아니라 항산화작용, 미백작용 등이 보고되면서 화장품 원료, 미용식품으로 다양하게 활용 가능성이 탐색되고 있다. 모란의 뿌리, 잎 및 꽃에서 추출용매와 온도, 시간에 따른 추출액 중 성분의 함량 변화를 비교하였다. Paeoniflorin과 paeonol을 지표성분으로 하여 두 성분의 함량을 동시에 정량분석하기 위한 HPLC 분석법을 설정하고 분석 배치마다 검량선과 QC용 검체를 사용하여 시스템적합성을 확인하면서 시료 분석을 실시하였다. Paeonol은 뿌리에서만 검출되었고 잎과 꽃에서는 검출되지 않았으며, paeoniflorin은 잎, 꽃에서의 농도가 뿌리에서보다 높았다. 추출용매와 섞을 때 뿌리의 절도는 구입 당시의 조각을 그대로 사용할 때보다 적당한 크기로 분쇄한 후 사용할 때 두 성분 모두 높은 농도로 추출되었다. 추출용매로는 30% 1,3-butylene glycol을 사용할 때 농도가 가장 높았다. 추출온도와 시간은 고온, 장시간 일수록 농도가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나 $75^{\circ}C$, 4 h 이상에서는 농도 상승이 완만했으며, paeonol은 8 h까지 지속적으로 농도가 상승하는 경향을 보였다. 뿌리, 잎, 꽃의 배합 비율은 2+2+1g/0.5kg로 할 때 두 지표성분의 함량 기준에 도달 가능하다고 판단하였다. 최종적으로 원재료를 2+2+1g/0.5kg로 배합하고 30% 1,3-butylene glycol을 추출용매로 사용하여 $75^{\circ}C$에서 4 h 동안 추출하는 방법이 두 지표성분의 활성 농도 기준과 원재료 및 제조공정상의 비용을 함께 고려할 때 적절한 조건이라고 판단하였고, 이 조건에서 10 kg 규모까지 추출액 제조 단위를 스케일업 하였다.

양이온 개환중합에 의한 폴리알킬렌 옥사이드 코폴리올의 합성과 아지드화 코폴리올의 특성 연구 (Synthesis of Characterization of Poly(alkylene oxide) Copolyols by Catioinc Ring Opening Polymerization and Their Azide Functionalized Copolyols)

  • 이재명;설양호;권정옥;진용현;노시태
    • 공업화학
    • /
    • 제31권3호
    • /
    • pp.267-276
    • /
    • 2020
  • Oxirane계 단량체의 양이온 개환 공중합반응으로 합성되는 ECH (ephichorohydrin) 기반 copolyol (PECH copolyol)류의 특성에 대한 반응온도, 용매의 종류 및 개시제에 대한 영향을 연구하였다. 공단량체로는 butylene oxide와 hexylene oxide 두 종류의 알킬렌 옥사이드를 사용하였으며, 중합 조건은 methylene chloride (MC) 용매에서 개시제로 diethylene glycol (DEG)를 사용한 조건과 toluene을 용매에서 tripropylene glycol (TPG)를 개시제로 사용한 두 조건으로 진행하였다. 개환 공중합반응에서 active monomer (AM) mechanism 유도를 위해 단량체는 실린지 펌프를 사용해 IMA (increased monomer addition) 방법으로 주입하였고 중합온도는 -5 ℃에서 실행하였다. 합성된 ephichorohydrin (ECH) 기반 copolyol인 PECH copolyol은 치환반응으로 ECH unit를 아지드화하여 glycidyl azide계 에너지 함유 copolyol (GAP copolyol)로 전환하였다. 합성된 아지드화 코폴리올은 용매와 개시제의 변화에 대한 영향은 크지 않았으며, 분자량은 아지드화 반응 후 평균 500 증가함으로써 GAP 코폴리올이 설계한 대로 중합되었음을 확인하였다. DSC 분석으로 copolyol류의 조성비 변화에 따른 유리전이 온도(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g)의 변화를 측정하였을 때, 공단량체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알킬 사슬의 길이에 의한 영향으로 Tg와 점도가 모두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아지드화 반응과정에서 생성되는 CH3N3의 생성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대규모 공정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폴리올 농도를 변화시킨 계면활성제 혼합물의 유변학적 거동 (Rheological Behaviour of Surfactant Mixtures by Varying the Concentration of Polyols)

  • 조완구;김기선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422-427
    • /
    • 2009
  • We hav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polyols and NaCl on the rheological behaviours of surfactant mixtures. Sodium lauryl ether sulfate (SLES), cocamidopropyl betaine (CAPB), disodium cocoamphodiacetate (DSCA), cocamide DEA (CDEA) and lauroyl/myristoyl DEA (LMDE) were used as surfactants. The polyols added into the surfactant mixture were 1,3-butylene glycol, propylene glycol, glycerin, sorbitol, dipropylene glycol, PEG 1500 and PEG 400. The addition of amphoteric surfactant to SLES aqueous solution lead to increase the height of foam and the viscosity of the system. The addition of nonionic surfactant, LMDE or CDEA to the SLES aqueous solution increased the viscosity and the effect of LMDE was better than that of CDEA. The effect of adding polyols and NaCl into the surfactant mixture aqueous solution lead to increase or decrease the viscosity of the systems depending on the concentration of NaCl and the kinds of polyols. These results can be explained through the salting in or salting out of surfactant of the systems.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의 물성에 대한 윤활제의 효과 (Effect of Lubricants on the Physical Properties of Poly(butylene terephthalnte))

  • 김효갑;김준경;임순호;이건웅;박민;강호종
    • 폴리머
    • /
    • 제28권3호
    • /
    • pp.239-244
    • /
    • 2004
  • 윤활제 첨가에 따른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PBT]의 유변 특성 및 열 안정성 변화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윤활제로 칼슘 스테아레이트 (CaST)와 아디프산 글리콜 폴리에스터 (AhGP)를 PBT에 첨가하는 경우 1 wt% 첨가만으로도 용융 점도가 현저히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정도 감소는 AAGP의 경우, PBT 주사슬에 내부 윤활제로 그리고 CaST는 가공 기기 표면과의 윤활 특성을 향상시키는 외부 윤활제로 작용하여 발현되며, 아울러 윤활제에 의한 PBT분자량 감소에도 기인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본 연구에서 사용한 윤활제는 PBT의 열 안정성을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함을 알 수 있었으나 3 wt% 이하의 CaST를 PBT에 적용하는 경우 열 안정성의 감소를 최소화 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로 부터 분자량 감소와 열 안정성 저하를 최소화하면서 동시에 점도를 낮출 수 있는 PBT윤활제로는 내부 윤활제보다는 외부 윤활제인 CaST가 적절함을 알 수 있었다.

탄성 리포좀을 사용한 쿼세틴의 경피 전달: 제조, 특성 그리고 In Vitro 피부 투과 연구 (Transdermal Delivery of Quercetin Using Elastic Liposomes: Preparation, Characterization and In Vitro Skin Permeation Study)

  • 박수남;임명선;박민아;권순식;한샛별
    • 폴리머
    • /
    • 제36권6호
    • /
    • pp.705-711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일반 리포좀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인지질(PC)과 계면활성제($Tego^{(R)}$ care 450)로 구성된 탄성 리포좀을 제조하였다. 탄성 리포좀의 유효성분으로 천연 항산화제로 알려진 쿼세틴을 담지하였고, 탄성 리포좀의 입자크기 및 가변형성과 쿼세틴의 포집 효율, 안정성, in vitro 피부투과를 평가하였다. 쿼세틴을 담지한 탄성 리포좀의 평균 입자크기는 208.2~303.4 nm이였고, 포집효율은 64.1~87.5%로 측정되었다. 0.1% 쿼세틴을 담지한 탄성리포좀 중에서 인지질과 계면활성제 비율이 90 : 10인 경우가 가장 높은 포집효율(87.5%)과 가변형성 지수(28.3)를 나타내었다. 이 제형을 대상으로 피부 투과 실험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대조군으로 사용된 일반 리포좀($114.8{\mu}g/cm^2$)과 1,3-butylene glycol($75.1{\mu}g/cm^2$) 용액보다 탄성 리포좀의 피부 투과능($164.6{\mu}g/cm^2$)이 훨씬 더 크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로 미루어 보아 $Tego^{(R)}$ care 450을 이용한 탄성 리포좀이 피부를 통한 유효성분 전달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마스크 팩 시트의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 of Mask Sheets)

  • 장혜인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787-798
    • /
    • 2017
  • 본 연구는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시트 타입 마스크 팩의 재질에 따른 특성에 관한 연구이다. 정제수와 1.3-propanediol, 1.3-butylene glycol, Glycerine, Hyaruronic acid와 같은 수용성 성분과 Cyclomethicone, Dimethicone, Phytosqualane, Caprylic Capryl Triglyceride, Grape seed oil, Macadamia Nut oil 오일을 비롯한 다양한 오일의 흡유력을 살펴 본 결과 정제수를 제외한 모든 수용성 성분들은 점도가 커질수록 흡습능력이 커졌고 오일의 경우엔 모든 오일의 점도에 비례하여 흡유 능력이 커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때 마스크 시트의 종류는 초산 발효 바이오셀룰로오스가 수용성 습윤제나 모든 오일에 있어서 500~1,000 배 이상의 함습, 함유 능력을 보여주었는데 이는 표면 구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5,000배 이상 확대한 사진에서 보이는 미세한 망상 구조를 이루고 있기 때문이다. 망상 구조는 단면에서도 잘 확인할 수 있었고 이러한 구조적 특징이 함습, 함유 능력을 우수하게 하며 다량 함유된 수용성 성분과 오일은 시간 경과에 따라 배출 또한 용이하게 하는 것으로 사료되는 바이다. 또한 각 마스크 시트는 소재에 따라 그 특성을 보여주고 있기에 피부에 좋은 역할을 할 수 있는 마스크 팩의 제조에 기초 연구로 삼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