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1,2-Indanedione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1초

감열지에 남겨진 잠재지문 현출을 위한 1,2-Indanedione 시약 (Advanced Application of 1,2-Indanedione for Latent Fingerprint Development on Thermal Paper)

  • 남궁주영;배경희;유제설;장윤식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11호
    • /
    • pp.964-971
    • /
    • 2014
  • 감열지는 열과 극성용매에 민감하여 검게 흑화하기 때문에 일반 종이에 사용하는 지문 현출 시약을 적용할 수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감열지에 적용할 수 있는 1,2-Indanedione 용액의 제조비율을 제시하고 염화아연의 효과성에 대해 검증하였다. 0.06% 농도의 1,2-Indanedione 용액에서 극성용매의 비율이 3%이하인 경우, 감열지에 손상을 주지 않으면서 좋은 지문 현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일반 종이용 1,2-Indanedione 용액에서 염화아연용액은 형광과 지속성을 증강시키는 데 사용되지만, 감열지에서는 염화아연용액을 넣지 않은 용액에서 더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VMD와 1,2-indanedione(SOON-100)의 감열지 잠재지문 현출 효과 비교 (Comparison of VMD and 1,2-indanedione(SOON-100) for the Development of Latent Fingerprints on Thermal Paper)

  • 조현진;이선민;유제설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11호
    • /
    • pp.333-341
    • /
    • 2020
  • 감열지는 편의점 영수증, 로또, ATM 영수증 등 일상생활에 널리 이용되어 범죄와 관련된 현장에서 쉽게 발견될 수 있기 때문에 감열지에서 지문을 현출하는 일은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일부 문헌에서 감열지에서의 지문 현출이 효과적이라고 주장하는 vacuum metal deposition(VMD) 기법의 효과성을 알아보기 위해 감열지의 잠재지문 현출용 시약인 1,2-indanedione(SOON-100)과 VMD 기법 간의 지문 현출력을 비교하였다. 지문을 유류한 검체를 직사광선이 없는 평균온도 20 ℃의 환경에서 1, 3, 6, 12, 24 시간동안 보관하였다. SOON-100과 VMD 기법을 적용한 결과, SOON-100의 경우 신선한 지문의 융선은 흐리게 나타났지만 유류한 지 1시간이 지난 후부터는 개인 식별이 가능할 정도의 선명한 지문이 관찰되었다. VMD의 경우 유류한지 6시간이 경과한 이후부터는 지문이 점차 번져 융선의 품질이 급격히 떨어지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 결과는 VMD의 지문 현출 원리에 부합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VMD의 현출 원리와 감열지 표면의 특성을 고려해보면 VMD가 감열지 잠재지문 현출 기법으로는 적절하지 못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Polyvinylpyrrolidone과 1,2-indanedione 혼합물을 이용한 감열지에 부착된 혈흔지문의 증강 (Enhancement of fingerprint in blood deposited on the surface of thermal paper by using the mixture of polyvinylpyrrolidone and 1,2-indanedione)

  • 김동만;류혜연;정승훈;주인선;홍성욱
    • 분석과학
    • /
    • 제34권3호
    • /
    • pp.122-127
    • /
    • 2021
  • Polyvinylpyrrolidone과 1,2-indanedione 혼합물(PVP-IND)은 감열지에 부착된 잠재지문을 현출하는데 가장 좋은 시약이라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PVP-IND가 감열지에 부착된 혈흔지문을 증강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알려지지 않았으므로 PVP-IND의 혈흔지문 증강 능력을 연구하였다. 비교 대상으로는 감열지에 부착된 혈흔지문을 증강할 때 가장 우수한 성능을 나타낸다고 알려진 amido black 수용액을 이용하였다. 그 결과, 물에 희석된 혈액이 묻은 손가락으로 만든 혈흔지문을 증강할 경우에는 PVP-IND가 amido black 수용액보다 증강 능력이 우수했다. 반면 희석되지 않은 혈흔지문을 PVP-IND로 처리하면 융선이 번져 나타나서 amido black 수용액의 증강 능력이 우수했다. PVP-IND로 처리했을 때 융선이 번져서 나타나는 것은 PVP와 혈액에 포함된 amino acid가 반응했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1,2-IND/Zn를 이용한 ninhydrin으로 처리한 지문의 후속 증강 연구 (Post-treatment Enhancement of Ninhydrin-treated Fingermark Using 1,2-IND/Zn)

  • 박은지;정하나;홍성욱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5호
    • /
    • pp.105-114
    • /
    • 2018
  • 종이에 유류된 지문을 현출하기 위하여 전통적으로 사용되는 ninhydrin은 종종 배경색에 따라 사용이 제한되고 시약반응 환경에 따라 현출효과가 달라진다. 그러므로 최근에는 배경색에 제한이 없는 1,2-indanedione(1,2-IND) 등을 사용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지문 현출을 목적으로 ninhydrin을 처리한 종이에 1,2-IND/Zn를 후속 처리하였을 때 지문의 증강 여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시험관 내에서 아미노산과 ninhydrin 시약이 이미 반응한 용액에 1,2-IND/Zn와 DFO를 추가했을 때의 반응을 관찰하고, ninhydrin만 처리한 지문과 ninhydrin을 처리한 후 1,2-IND/Zn 또는 DFO를 처리한 지문의 현출 정도를 비교하였다. 그리고 ninhydrin을 처리한 종이의 보관 기간에 따른 1,2-IND/Zn 증강 효과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ninhydrin으로 처리한 종이 내 지문을 1,2-IND/Zn로 처리하였을 때 지문이 증강되었으며, 최대 6개월이 지난 시험지에서도 지문증강효과를 관찰할 수 있었다.

DL-alanine과 1,2-indanedione을 이용한 종이에 남은 족적의 증강 (Development of latent footwear impression on porous surfaces using DL-alanine solution and 1,2-indanedione solution)

  • 홍성욱;김은아;박미선;이은혜
    • 분석과학
    • /
    • 제30권6호
    • /
    • pp.303-311
    • /
    • 2017
  • 잠재지문 증강시약인 1,2-indandione (1,2-IND) 용액을 사용하여 종이에 유류된 족적의 형광을 얻는 방법을 연구하였다. 인쇄물이 출력된 A4 용지에 유류된 dry origin 및 wet origin 족적에 아미노산의 일종인 DL-alanine 용액과 아미노산 검출시약인 1,2-IND 용액을 뿌려서 DL-alanine-1,2-IND 이성분착물을 만들었다. 이 이성분착물은 족적에 있는 미량의 금속성분과 반응하여 광발광을 내는 삼성분착물을 형성함으로써 족적의 형광을 관찰할 수 있었다. 그러나 1,2-IND 용액 대신 5-methylthioninhydrin (5-MTN) 용액을 이용하면 처리 조건을 동일하게 유지해도 족적의 형광이 일정하게 관찰되지 않았다. DL-alanine 용액과 1,2-IND 용액으로 처리한 족적을 다양한 온도조건 (30, 40, $50^{\circ}C$)과 다양한 습도조건 (30, 40, 50, 60 % RH)에서 보관한 결과 온도와 습도가 높을수록 족적과 바탕면의 대조비가 감소하였다. DL-alanine 용액과 1,2-IND 용액으로 처리한 족적을 $30^{\circ}C$, 30 % RH에서 1 h 동안 보관하면 족적의 최적 형광을 얻을 수 있었다. 저자들이 개발한 방법의 감도를 black gelatin lifting, 2,2'-dipyridil 용액 처리 방법, 8-hydroxyquinoline 용액 처리방법의 감도와 비교하였다. 그 결과 저자가 개발한 방법의 감도는 gelatin lifting 방법보다는 떨어졌으나 2,2'-dipyridil 용액 혹은 8-hydroxyquinoline 용액 처리방법보다는 우수하였다.

간이 칼집에서의 잠재지문 분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istribution of latent fingerprints on paper knife sheaths)

  • 김효미;박기현;이수빈;유제설
    • 분석과학
    • /
    • 제34권6호
    • /
    • pp.251-258
    • /
    • 2021
  • 현재까지 강력 사건에서 범인들은 칼을 흉기로 가장 많이 사용하였으며 범죄 현장에 범인이 직접 종이와 테이프로 제작한 간이 칼집이 남아있는 경우가 있다. 다공성 표면에 테이프가 붙어있는 검체는 지문을 현출하기 어려우므로 간이 칼집과 같은 증거물이 발견되었을 때 각 표면에서 지문을 현출하는 적절한 기법과 지문의 분포 위치를 확인하는 실험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이를 확인하기 위해 간이 칼집 50개를 만들어 테이프 비접착면에 cyanoacrylate fuming (CA fuming)을 사용하여 지문을 현출하고 이중목적 1,2-indanedione/Zn (1,2-IND/Zn) 시약으로 종이와 테이프를 박리함과 동시에 종이에 있는 지문을 현출하였다. 테이프 접착면은 Wet Powder Black®을 사용하여 지문을 현출하였다. R program을 이용하여 heatmap으로 각 표면에서 지문이 현출된 위치를 표시한 결과, 테이프 접착면의 중간 부분보다 양끝에 지문이 많이 분포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비접착면과 종이는 뚜렷한 분포 패턴이 나타나는 것은 아니나 개인식별에 이용할 수 있을 정도의 선명도를 가진 지문이 다수 현출된 것을 확인하였다. 범죄 현장에서 간이 칼집이 발견되었을 때 이러한 연구 결과를 참고하여 증거물을 처리할 수 있을 것이다.

Physical Developer(PD)의 신뢰성 테스트(reagent reliability test)를 위한 타겟물질 탐색과 TWEEN® 20 기반 PD 작업용액의 보관기간에 관한 연구 (Identifying the potential target substance of physical developer (PD) for reagent reliability test and a study on storage period of TWEEN® 20 based PD working solution)

  • 안수정;이예진;유제설
    • 분석과학
    • /
    • 제36권3호
    • /
    • pp.113-120
    • /
    • 2023
  • Physical developer (PD)는 젖었거나 탄화된 종이의 지문, 그리고 매우 오래된 종이의 지문까지도 현출할 수 있는 효과적인 기법이다. 하지만, 어떤 물질과 반응하는지 밝혀지지 않았고 작업용액의 보관기간에 따른 최적화 시점 또한 알려지지 않았다. PD를 좀 더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이 두가지 이슈를 해결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위해 지문을 구성하는 것으로 알려진 수용성 물질 7가지와 지용성 물질 5가지로 spot test를 하였고 그 중 palmitic acid와 lysine의 혼합물이 PD와 가장 강하게 반응한다는 것을 알아내었다. 또한, 1,2-indanedione/zinc (1,2-IND/Zn) 용액을 처리하여 lysine이 용해되지 않았음을 확인하였다. 이 두 물질의 혼합물을 PD 작업용액의 지문 현출 성능을 시험하기 위한 신뢰성 테스트(reagent reliability test)의 타겟물질로 활용하여 TWEEN® 20 기반 PD 작업용액의 보관기간에 따른 최적화 시점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14일이 지났을 때 가장 뛰어난 결과를 나타냈으며 그 이후부터는 반응이 점점 약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