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1,2-Diols

검색결과 41건 처리시간 0.018초

벼 품종들의 분얼성기 및 출수기의 엽표면Wax의 양 및 화학적 조성 (Amount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e Epicuticular Waxes on Leaves at Active Tillering and Heading Stages of Rice Varieties)

  • Yong Woong, Kwon;Bong Jin, Chung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85-197
    • /
    • 1992
  • 본 연구는 엽표면 특성 및 유전적 특성이 현저히 다른 벼 품종들의 엽표면 wax의 양과 화학적 조성을 밝히고자 수행 되었다. 벼품종은 엽의 형태적 특성면에서 glabrous한 것, long-hairy한 것, pubescent한 것, water-wettable한 것을 선정했고 이들 각각에 대한 일본형 품종과 통일형(Indica$\times$Japonica) 품종을 1개씩 공시하였으며, 공시품종들의 분얼기 및 출수기에 엽표면 wax를 chloroform으로 추출하고 그 양 및 화학적 조성을 TLC, GLC 및 FTIR로 분석했으며, 그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벼의 엽표면 wax는 chloroform을 용매로 추출할 때 대체로 엽표면 wax 전체에 대해 균등하게 작용하며 wax 소편의 일부 및 첨예한 부분을 많이 용해시키나 상온에서 chloroform이 엽전면에 균일하게 접촉하고 wax 이외 물질을 유출하지 않기 위해서 벼 잎을 5분이내 침지함이 적당했지만 5분간 추출로도 엽면적 wax 전량을 추출하지는 못하였다. 2. 공시 품종들의 엽표면 wax는 대부분 소편장(platelet)으로 엽표면에 축적되어 있고 품종에 따라 wax축적의 조밀성이 달랐는데 Glabrous 품종이 제일 치밀했고 Long-hairy 품종, Pubescent 품종들이 그 다음으로 치밀했으며, Water-wettable 품종들은 wax 소편들이 적고 엉성하여 큐티클층 노출이 많았다. 또한 잎의 전면과 이면간 wax 축적은 품종에 관계없이 이면보다 전면이 더 치밀하였다. 3. Chloroform으로 5분씩 2회 침출한 엽표면 wax의 양은 벼품종간 차이보다 생육시기간 차이가 컸는데, 분얼기는 0.8~1.8 mg / g f.w. 수준, 출수기에는 1.7~3.6 mg / g. f.w. 수준으로 출수기에 불얼기보다 2~3배 정도 더 많았다. 4. 벼 엽표면 wax의 화학조성은 TLC상에서 크게 7성분으로 분리 동정되었는데 ketone류는 확인할 수 없었고 diol류, fatty alcohol류, fatty acid류, fatty aldehyde류, fatty ester류, 포화와 불포화 hydrocarbon류 등이 확인되었다. 5. 엽표면 wax의 TLC상의 화학조성은 벼품종간보다 생육시기별로 달랐는데 분얼기는 극성 성분인 diol, fatty acid, fatty alcohol류들을 확인할 수 없었지만 출수기에는 이들과 비극성 성분인 fatty aldehyde, fatty ester, 포화 및 불포화 hydrocarbon류를 확인할 수 있었다. 6. 벼 엽표면 wax를 이루고 있는 조성을 화학성분별로 탄소수면에서 보면 diol류는 C30 단일물질로, fatty alcohol류중 primary인 경우 C13과 C32가 주종이었고 secondary는 C14, C16, C30으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aldehyde류는 C29-C34까지 비교적 비슷한 비율로 분포되어 있었다. Fatty ester중 acid 부위는 aldehyde 부위보다 저탄소수분포를 보였고 주로 C22, C23이었고, alcohol류는 C13, C22, C24, C26 등으로 품종에 따라 다른 구성을 보였다. Hydrocarbon류는 품종과 생육시기에 관계없이 탄소수가 홀수인 물질이었으며 주로 C29와 C31이었다.

  • PDF

수용액(水溶液)에서 인삼배당체(人蔘配糖體)의 분자결합양상(分子結合樣相) (Pattern of Molecular Aggregation of Ginsenosides in Aqueous Solution)

  • 박훈;이미경;박귀희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9권2호
    • /
    • pp.198-206
    • /
    • 1986
  • 정제인삼(精製人蔘)사포닌의 수용액을 분자투석막(分子透析膜)(분자량(分子量) 12000)을 통(通)하여 투석(透析)하거나 Bio-Gel P-2(분자량(分子量) $200{\sim}2000$)gel을 통과시켜 분취(分取)하고 HPLC로 ginsenoside를 분석(分析)하였다. Ginsenoside는 분자결합양상(分子結合樣相)과 분자내(分子內) 친수성기(親水性基)의 공간배열(空間配列)에 따라 3군(群)으로 분류(分類)되었다. 제(第) I 군(群)은 거대(巨大)미셀 형성자(形成者)로 결합분자수(結合分子數)가 10이상이며 I면친수기형(面親水基形)이고 panaxadiol인 $Ginsenoside\;Rb_1$, $Rb_2$, Rc 및 Rd가 포함된다. 제(第)II군(群)은 소(小)미셀형성자(形成者)로 결합분자수(結合分子數)가 10이상(以上)에서 1까지이고 불완전(不完全) 양면친수기형(兩面親水基形)이며 triol인 $Rg_2$와 Rf 및 diol인 $Rg_3$가 포함된다. 제(第)III군(群)은 단분자(單分子)로 존재(存在)하며 양면친수기형(兩面親水基形)이고 triol인 Re와 $Rg_1$을 포함한다.

  • PDF

고 DVT 및 cis-abienol 함유 버어리종 계통 선발 (Selection Procedure for DVT and Cis - abienol in Burley Tobacco)

  • 조천준;김대송;정석훈;최상주;조명조
    • 한국연초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11-114
    • /
    • 1993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obtain the basic information for breeding of aromatic burley tobacco, and to select the breeding lines with higher DVT (diterpenes $\alpha$-and $\beta$-4, 8, 13-duvatriene-1, 3-diols) and cis-abienol (Z-labda-12, 14-diene-8$\alpha$-ol) concentrations. The parental genotypes used to develop the Fl and Fl generations were Burley 21, Ky 17, male-sterile(MS) NC 107, TC 612, TC 613, Va 509 and Tl 1068. To estimated the modes of inheritances of DVT and cis-abienol known as the flavor and aroma compounds, the method of thin - layer chromatography (TLC) was used. It was considered that TLC procedure being relatively simple and reproducible in the selection of the breeding lines with higher DVT and cis-abienol. DVT was present in all of parents except MS NC 107, but cia-abienol presented only in Tl 1068. It was estimated from the TLC analysis of parents and Fl's that DVT and cis-abienol were each inherited by dominant gene or genes. But it was less clear to determine the presence or not of sucrose ester(SE) on the TLC plate. The eleven plants which had burley leaf color and also estimated to have DVT and cis-abienol were selected in the F2 population of three combinations.

  • PDF

Thermal Stability of Phenylphosphonic Acid Modified Polyurethanes

  • Dong-Eun Kim;Seung-Ho Kang;Sang-Ho Lee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58권2호
    • /
    • pp.70-80
    • /
    • 2023
  • The effect of phenylphosphonic acid (PPOA) on polyurethane (PU) thermal stability was studied through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and Thermogravimetric analysis. To synthesize PPOA-modified PUs (PPOA-PUs), polyether-type diols (Mw=62, 106, 190, 419, 605) were chemically modified with PPOA and then reacted with 4,4'-dicyclohexylmethane diisocyanate (H12MDI) and 4,4-diphenylmethane diisocyanate (MDI). During thermal decomposition in air, the PPOA embedded in the PUs formed intumescent phosphocarbonaceous char. Below 400℃, PPOA-H12MDI-PUs were more unstable, as PPOA decomposed at lower temperatures than phenyl groups and aliphatic ethers. Above 550℃, the thermal stability of PUs followed this order: PPOA-MDI-PUs > PPOA-H12MDI-PUs > MDI-PUs > H12MDI-PUs. At 700℃, unmodified PUs had no residue, while the PPOA-MDI-PU residue was 4.4~23.0 wt.% and the PPOA-H12MDI-PU residue was 1.5~17.5 wt.%. The enhanced thermal stability of PPOA-MDI-PUs at high temperatures can be attributed to the synergetic effect of PPOA and phenyl groups on the formation of phosphocarbonaceous char.

바나나 과실 함유탄닌이 소화효소 작용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ondensed Tannins Prepared from Banana (Musa Sapientum L.) fruit on Digestive Enzyme In vitro)

  • 정정한;류충호;조영수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9권6호
    • /
    • pp.477-481
    • /
    • 1996
  • 바나나 과실을 시중에서 구입하여 미숙과실과 황숙과실로 구별하고 이것들을 과육부분과 과피부분으로 나누어서 동결건조 및 열풍건조시켜 실험 시료로서 사용하였다. 탄닌 함량을 분석한 결과 황숙과실 보다도 미숙과실에서 높았으며, 과육보다는 과피에서 열풍건조 보다는 동결건조시킨 시료에서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탄닌의 분획은 Sephadex LH-20칼럼을 사용하여 분획하였다. 바나나 과실에 함유하고 있는 탄닌은 prodelphinidin, procyanidin을 구성 단위로 하는 proanthocyanidin류의 축합성 탄닌으로 이러한 탄닌은 소화효소인 trypsin(EC 3. 1. 1. 3), ${\alpha}-amylase$(EC 3. 4. 21. 4), lipase(EC 3. 2. 1. 1)에 대하여 in vitro에 있어서 저해작용을 가지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또한 탄닌은 중합도가 높을수록 저해율이 높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 PDF

Ionic Conductivities of the LiCF$_3$SO$_3$Complexes with Liquid Crystalline Aromatic Polyesters Having Oligo(oxyethylene) Pendants

  • Lee, Jun-Woo;Joo, Sung-Hoon;Jin, Jung-Il
    • Macromolecular Research
    • /
    • 제12권2호
    • /
    • pp.195-205
    • /
    • 2004
  • We have synthesized new aromatic polyesters (DiPEG-HQ and DiPEG-BP) by condensation polymerization of a terephthalic acid derivative bearing a pendant oligo(oxyethylene) (DP = 7, MW = 350), which has a methoxy terminal group, and two different aromatic diols, hydroquinone and 4,4'-biphenoI. The synthesized polymers were characterized by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DSC), polarizing microscopy, and X-ray diffractometry for their liquid crystallinity (LC), thermal transitions, and structural morphologies in mesophases. The morphology of the LC phases depends strongly on the length of the rigid backbone repeating unit. The DiPEG-BP polymer having a longer repeating unit exhibits both layered and nematic structures before isotropization, whereas the DiPEG-HQ polymer having a shorter repeating unit shows only the layered structure in the mesophase. We found that the layer spacing for DiPEG-HQ is larger than that for DiPEG-BP. Both polymers easily form complexes with LiCF$_3$SO$_3$; we studied this complex formation by FT-IR spectroscopy. The layer spacing of the polymer-electrolyte composites increases upon increasing the amount of the lithium salt. The polymer/salt electrolyte mixtures we investigated at molar ratios of EO:salt in the range of 5-20 exhibit electrical conductivity values at 40$^{\circ}C$ of 2.4${\times}$10$\^$5/ and 1.1${\times}$10$\^$-5/ S/cm for DiPEG-HQ/LiCF$_3$SO$_3$ and DiPEG-BP/LiCF$_3$SO$_3$, respectively. At 80 $^{\circ}C$, these values are higher: 4.6${\times}$10$\^$-3/ and 1.1${\times}$10$\^$-4/ S/cm, respectively. The activation energy of conductivity depends strongly on the salt concentration.

3차 아민계 쇄연장제를 이용한 폴리우레탄 수지의 합성과 기계적, 염색 특성 (Synthesis and Mechanical, Dyeable Properties of Polyurethane with the Chain Extender Containing Tertiary Amine)

  • 노시태;김평준;정창남
    • 공업화학
    • /
    • 제7권2호
    • /
    • pp.341-349
    • /
    • 1996
  • 폴리우레탄 수지의 염색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염착좌석을 갖는 저분자량의 디올류를 쇄연장제로 활용하였다. 쇄연장제와 폴리올의 종류를 변화시키고, 또한 하드세그멘트 (HS)/소프트세그멘트 (SS) 비율을 변화시키면서 폴리우레탄 수지를 합성하였다. HS/SS가 1.4이고, dimethylolpropionic acld(DMPA), N-butyldiethanolamine(BDEA)를 염착좌석용 쇄연장제(DCE)로 활용한 경우 반응의 불균일성으로 인하여 기계적 물성이 좋지 못하였으며, 특히 에스테르계 폴리올인 poly(butylene/ethylene adipate) glycol(PBEAG)로 합성한 경우 내가수분해성이 현저히 저하되었다. 그러나 DCE로 N-methyldiethanol amine(MDEA)를 사용하고 HS/SS를 1.3으로 조절한 경우 기계적 물성과 염색성이 향상되었으며, MDEA를 선형 쇄연장제(CE)인 1,4-butanediol(1,4-BD)과 에테르형 폴리올인 poly[oxyteramethylene] glycol(PTMG)과 반응시킨 경우 기계적 물성과 내가수분해성이 현저하게 향상되었다. 특히 분자설계적 측면에서 DCE를 HS와 SS내의 배분과 1,6-hexanediol(1,6-HD) 및 neopentylglycol(NPG)과의 공쇄연장으로 초기탄성률, 인장강도, 신장률을 제어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 PDF

장직쇄상(長直鎖狀) 불포화(不飽和) 초산화합물(醋酸化合物)의 합성(合成)에 관(關)한 연구(硏究) (Synthesis of Long-Chain Unsaturated Acetates)

  • 오성기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19권1호
    • /
    • pp.1-23
    • /
    • 1976
  • 약(約) 백만종(百萬種)이나 되는 레피도프테라족(族)(Lepidoptera)의 암나방이 갖는 성적유인물질(性的誘引物質)의 화학구조(化學構造)는 직쇄상의 불포화(不飽和) 알코홀이거나 에스텔이라고 알려져 있다. 본(本) 실험(實驗)에서는 곤충(昆蟲)의 성적유인물질(性的誘引物質)이 될수도 있는 $C_{16}$의 불포화(不飽和)에스텔 이성체(異性體)를 합성(合咸)하였다. 합성(合成)된 17개(個)의 에스텔을 분광분석(分光分析)하였으며 이 분석결과(分析結果)는 곧 자연산(自然産)의 유인물질(誘引物質)에 대(對)한 가스크로마토그래피 및 질량분석결과(質量分析結果)와 쉽게 비교(比較)할 수 있는 카탈로그가 될 것이다. 순도(純度)가 높은 시스와 트랜스 이성체합성(異性體合成)에는 각각(各各) 촉매적(觸媒約) 환원(還元)과 화학적(化學約) 환원법(遣元法)이 이용(利用)되었다. 합성(合成)에 필요(必要)한 출발물질(出發物質)로서 시판(市販)의 $CH_3(CH_2)mBr,\;HC{\equiv}C(CH_2)nOH,\; CH_3-(CH_2)mC{\equiv}CH$$HO(CH_2)nOH$이 사용(使用)되었다. 메틸렌기(基) 수(數)가 9이상(以上)인 1-알킨[$CH_3(CH_2)mC{\equiv}CH$]은 알킬디할리드(alkyldihalide)와 결합(結合)하지 않았다. 디올(Diol)[$HO(CH_2)nOH$]의 분자량(分子量)이 증가(增加)함에 따라 그 결합생성물(結合生成物)의 수량(收量)이 감소(減少)하였다. 아세틸렌(Acetylene)가스와 $BrCH_2CH_2OTHP$의 결합반응(結合反應)에 있어서 $BrCH_2CH_2OTHP$는 부반응(副反應)을 일으켰다. 장직쇄 알키노올(alkynol)의 테트라 히드로피라닐 에테르(tetrahydropyranyl ether)의 가수분해(加水分解)에 있어서 파라 톨루엔설폰산(p-toluenesulfonic acid)이 희류산(稀硫酸)보다도 더 우수(優秀)하였다.

  • PDF

주사슬에 말로네이트기를 가지는 신규 폴리에스테르의 합성과 광분해 특성을 이용한 형광 이미지 패터닝 (Synthesis of Novel Network Polyesters Containing Malonate Group in Main Chain and Their Fluorescence Image Patterning via Photodegradation)

  • 정선주;곽기섭;정인태;이동호;노형진;윤근병
    • 폴리머
    • /
    • 제32권1호
    • /
    • pp.56-62
    • /
    • 2008
  • Diol과 diacid 단량체들의 다양한 조합으로 2단계 축합중합으로 가교구조를 가지는 세 종류의 신규 폴리에스테르를 새롭게 합성하였다. 이들 고분자 필름은 $240^{\circ}C$에서 수 시간 고온 열처리하면, 주사슬에 의한 금지 전이에도 불구하고, 가시영역에서 흡수를 나타내었으며 330 nm 이상의 파장에서 여기시키면 청색에서 근적외선에 이르는 넓은 범위에서 발광을 나타내었다. 신규 폴리에스테르의 발광 현상은 주사슬에 포함된 말로네이트기가 고온 열처리를 통해 자기축합 형태의 Knoevenagel 반응을 일으켜 분자 내 공역구조를 형성하기 때문이다. 또한 이들 고분자의 열적 특성은 가지화도 차이에 의한 화학적 가교정도에 따라 현저한 차이를 보였을 뿐 아니라 광분해 현상도 관찰되었다. 필름 상태에서 강한 자외선을 조사하여 말로네이트기의 분해반응을 유도하고, 이를 이용한 형광 이미지 패터닝을 수행한 결과, 고해상도의 이미지 패턴을 얻을 수 있었다.

카본/메조세공 실리카 복합 막을 응용한 키랄 에폭사이드의 가수분해반응과 동시 분리 (Mesoporous Silica-Carbon Composite Membranes for Simultaneous Hydrolysis and Separation of Chiral Epoxide)

  • 최성대;전상권;박근우;양진영;김건중
    • 공업화학
    • /
    • 제25권5호
    • /
    • pp.503-509
    • /
    • 2014
  • 탄소와 다공성 실리카로 구성된 복합막을 용이한 방법으로 제작하고 이들 막을 활용하여, 키랄 에폭사이드와 키랄디올 화합물의 친수성/소수성 특성차이를 기초로 한 동시 합성 및 분리과정에 응용하였다. 막반응기에 도입한 키랄 Co(III)-$BF_3$형 살렌촉매는 ECH, 1,2-EB와 SO 등의 에폭사이드 가수분해반응에 대하여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고 여러 차례의 재사용이 가능하였다. 광학순도가 높은 키랄 에폭사이드 생성물은 가수분해반응이 진행된 후에 촉매와 함께 유기용액상에서 취득되었다. 물에 용해되는 친수성의 1,2-디올은 키랄 살렌의 촉매작용에 의하여 가수분해됨으로써 생성되는데, 이들은 반응이 진행되는 동안 SBA-16 또는 NaY/SBA-16 실리카층을 통해 물층으로 확산되었다. 물은 막반응계에서 반응물이면서 동시에 용매로서 거동하였다. 연속흐름형의 막반응기를 적용함으로써, 고순도, 고수율의 광학이성체를 생성물로서 얻을 수 있었으며, 촉매는 큰 활성저하를 나타내지 않아 여러 차례 재사용이 가능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