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01A55

검색결과 1,475건 처리시간 0.028초

첫째 아이의 스트레스와 측두하악장애에 관한 연구 - 고등학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MD and stress of first children)

  • 김명은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683-693
    • /
    • 2010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 between stress and temporomandibular disorder(TMD) of first the child. Methods : 500(the first child -250, non first child -250) high school students living in Jecheon city, form November 4th to 5th 2009, were the subjects of this questionnaire. The questionnaire was made up of three contests: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 symptom & dysfunction of TMD and stress of high school students. The data were analyzed by chi-square test, two sample t-test and Pearson correlation. Results : Only 443(the first child -209, non first child - 234) students were evaluated due to inadequate responses. The obtain results was as follow. 1. Subjective symptom of TMD reported by 443 students were joint sound(63.5%), pain on chewing(55.1%), pain on opening the mouth(55.1%). 2. Analysis of subjective symptom of TMD showed the first child group was statistical significantly higher on joint sounds and TMJ pain than non first child group(<0.05). 3. Analysis of bad habit and dysfunction showed the first child group was statistical significantly higher on clenching of the teeth, difficulties of bite, headache than non first child group(<0.05). 4. Analysis of stress showed the first child group was statistical significantly higher on stress with parents than non first child. especially on marks and disagreement(<0.05). 5. Stress were partly related to subject symptom of TMD(<0.05, <0.01). 6. Analysis of relation stress and bad habit & dysfunction showed stress were partly related to bad habit & dysfunction(<0.05, <0.01). 7. bad habit were partly related to TMD(<0.05, <0.01). Conclusions : The first child stress and symptom of TMD were higher than non-first child, also stress and symptom of TMD was positively associated. therefore management of the first child' stress is necessary and related study is necessary in the future.

Effects of concentrate level and chromium-methionine supplementation on the performance, nutrient digestibility, rumen fermentation, blood metabolites, and meat quality of Tan lambs

  • Jin, Yadong;Zhou, Yuxiang
    • Animal Bioscience
    • /
    • 제35권5호
    • /
    • pp.677-689
    • /
    • 2022
  • Objectiv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concentrate level and chromium-methionine (Cr-Met) supplementation on the growth performance, carcass characteristics, meat quality,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Tan lambs. Methods: Sixty male Tan lambs (21±1.23 kg body weight) fed a finishing diet (concentrate-to-forage ratio: 35:65 [LC group] or 55:45 [HC group]) with daily Cr-Met supplementation (0, 0.75, or 1.50 g) were used in a completely randomized design with a 2×3 factorial arrangement of treatments. Results: Lambs from the HC group had higher average daily gain, dry matter (DM) digestibility, dressing percentages, leg proportions, intramuscular fat (IMF) contents, and saturated fatty acid levels, but lower feed conversion ratios, globulin (GLB) and total protein (TP) concentrations, shear force, and monounsaturated fatty acid (MUFA) levels (all p<0.05). Cr-Met supplementation increased the DM digestibility, GLB and TP concentrations, rack and loin percentages, and cooking loss, but decreased the IMF contents and leg proportions (all p<0.05). Cr-Met supplementation at 0.75 g/d increased the conjugated linoleic acid (CLA) content in both the HC and LC groups (p<0.01). Significant interactions between the concentrate level and Cr-Met dosage were observed for MUFA (p<0.01) and polyunsaturated fatty acid (PUFA) (p<0.01) levels. Meat from the lambs fed an unsupplemented LC diet presented the highest PUFA and MUFA levels (p<0.01). However, the MUFA and PUFA levels decreased significantly with increasing Cr-Met supplementation levels in the LC group (p<0.01), whereas the opposite trend was seen in the HC group. Conclusion: The HC diet improved the growth performance of Tan lambs, increased their profitability by increasing leg and rack joint proportions, and improved meat quality by promoting an IMF content that was more visibly acceptable to consumers. Cr-Met supplementation at 0.75 g/d in a HC diet was the best choice and may be economically beneficial.

Safety of low-dose anticoagulation in extracorporeal membrane oxygenation using the Permanent Life Support System: a retrospective observational study

  • Kyungsub Song;Jae Bum Kim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40권3호
    • /
    • pp.276-282
    • /
    • 2023
  • Background: Bleeding and thrombosis are major complications associated with high mortality in extracorporeal membrane oxygenation (ECMO) management. Anticoagulant therapy should be adequate to reduce thrombosis. However, related studies are limited.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all patients supported with ECMO at a single institution between January 2014 and July 2022 and included those on all types of ECMO using the Permanent Life Support System. Patients were classifi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ir measured mean activated partial thromboplastin time (aPTT) during ECMO management: a high-anticoagulation (AC) group (aPTT, ≥55 seconds; n=52) and a low-AC group (aPTT, <55 seconds; n=79). The primary outcome was thrombotic or bleeding events during ECMO. Results: We identified 10 patients with bleeding; significantly more of these patients were in the high-AC group (n=8) than in the low-AC group (15.4% vs. 2.5%, p=0.01). However, thrombus events and oxygenator change-free time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Four patients in the high-AC group died of bleeding complications (brain hemorrhage, two; hemopericardium, one; and gastrointestinal bleeding, one). One patient in the low-AC group developed a thrombus and died of ECMO dysfunction due to circuit thrombosis. Conclusion: Heparin did not significantly improve thrombotic outcomes. However, maintaining an aPTT of ≥55 seconds was a significant risk factor for bleeding events, especially those associated with mortality.

Ceriporia lacerata 균사체 배양물이 3T3-L1 세포에서 인슐린 신호 전달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ubmerged Culture of Ceriporia lacerata Mycelium on Insulin Signaling Pathway in 3T3-L1 Cell)

  • 신은지;김지은;;박용만;윤성균;장병철;이삼빈;김병천
    • 생명과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325-330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선행 연구에서 항당뇨 효능이 확인된 Ceriporia lacerata 균사체 배양물 건조물(CL01)을 3T3-L1 세포에 인슐린과 병용 혹은 단독 처리하여 CL01이 세포 단계에서 인슐린 신호 전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화된 3T3-L1 세포에서 포도당 흡수 정도를 측정한 결과, 인슐린과 CL01을 병용 처리한 군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유의적으로 포도당 흡수 정도가 증가하였고, 인슐린 부재 상태에서 CL01을 처리하였을 때는 포도당 흡수 작용이 거의 일어나지 않았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분화된 세포에서 인슐린 신호 전달 관련 단백질 및 mRNA 발현을 측정한 결과, IRβ, Akt, PI3K, AMPK 단백질의 인산화가 진행되었고, GLUT4 mRNA 발현이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이들 결과를 통해 CL01이 당 대사 및 인슐린 신호 전달에 관여하는 유관 단백질 및 유전자 발현에 영향을 미치며 이에 따라 세포 내로 포도당 흡수를 증가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더위지기와 사철쑥의 정유성분 조성 비교 (Comparison of Essential Oil Composition of Artemisia iwayomogi and Artemisia capillaris)

  • 홍철운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7권1호
    • /
    • pp.124-129
    • /
    • 2004
  • 국내에서 자생하고 있는 더위지기와 사철쑥의 정유성분 조성의 차이점을 비교하기 위하여 각 시료로부터 수증기증류에 의해 정유를 분리한 다음 GC-MS 분석결과 및 문헌에 보고된 각 성분의 retention index 비교에 의해 성분을 동정하였다. 국내의 2개 지역에서 수집한 더위지기에서 분리한 정유에서 60종의 성분을 동정하였으며, 그중 한 시료에서는 iso-pinocamphone(31.64%), 1,8-cineole(21.55%), ${\beta}-pinene$(4.46%), pinocarvone(3.72%), myrtenal(3.42%) 및 trans-pinocarvel(3.14%)이 주요 구성성분이었으나 다른 시료에서는 camphor(26.99%), 1,8-cineole(11.02%), ${\alpha}-terpineol$(7.63%), borneol(4.10%), camphene(3.97%) 및 artemisia ketone(3.84%)이 주요 구성성분이었다. 또한 2개 지역에서 수집한 사철쑥에서는 80종의 성분을 동정하였으며, 두 시료간에 구성성분이나 성분별 조성비율은 유사한 편이었으나 그 중에서도 capillene$(26.01{\sim}30.31%)$, ${\beta}-pinene(8.55{\sim}18.38%)$, ${\beta}-caryophyllene(8.80{\sim}13.70%)$, $cis,trans- {\alpha}-farnesene(2.10{\sim}7.38%)$, ${\beta}-himachalene(1.57{\sim}5.57%)$ 및 germacrene D$(2.27{\sim}5.46%)$가 주요 구성성분이었다. 더위지기와 사철쑥의 정유 성분 조성상의 뚜렷한 차이점으로서 더위지기의 정유에서는 사철쑥에서 검출되지 않은 iso-pinocamphone 또는 camphor, 1,8-cineole과 같은 monoterpenoid 화합물의 함유비율이 높은 반면 사철쑥에서는 더위지기에서 검출되지 않은 acetylene화합물인 capillene 이외에도 sesquiterpenoid 화합물의 함유비율이 높은 것이 특징이었다.

노인들의 구강보건지식과 구강보건행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Oral Health Knowledge and Behavior among the Elderly)

  • 이연경;한화진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189-195
    • /
    • 2012
  • 본 연구는 노인들의 사회적 특성 및 구강보건지식과 행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경기도 일부지역 281명의 노인을 대상으로 개별 면접조사방법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를 얻었다. 1. 사회경제적 특성에 따른 구강보건지식정도에서 성별은 여자(4.15점)에 비해 남자(4.52점)가 구강보건지식정도가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연령에서는 65-69세가 4.79점으로 가장 높은 구강보건지식점수를 보였고 80세 이상이 3.90점으로 가장 낮은 구강보건지식점수가 보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p<.01). 교육수준에서는 무학이 3.82점으로 가장 낮았고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구강보건지식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p<.01). 가족구성은 노인부부만 거주하는 그룹에서 4.65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혼자 사는 노인그룹이3.80점으로 낮은 구강지식점수를 보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p<.01). 2. 구강보건관심유무에 따른 구강보건행태에서 칫솔질 횟수는 3회 이상 하는 그룹이78.3%로 1회하는 그룹의 55.6%보다 구강보건관심이 있는 노인이 더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고, 칫솔질 방법은 노인이 생각하는 방식으로 하는 그룹이76.5%로 다른 그룹에 비해 구강보건관심이 있는 노인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칫솔시간은 3분 이상 칫솔질을 하는 그룹이 78.3%로 1회한다고 응답한 55.6%에 비해 구강보건관심이 있는 노인이 더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고, 치과방문에서는 정기적으로 치과를 방문한다고 응답한 그룹의 구강보건관심이 96.7%로 전혀 방문하지 않는다고 응답한 51.0%에 비해 구강보건관심이 더 많은 것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1). 3. 잔존치 유무에 따른 구강보건행태에서 칫솔질방법은 노인이 생각하는 방식으로 한다고 응답한 그룹이(86.3%), 위아래로 칫솔질을 한다고 응답한 그룹에(73.4%)비해 잔존치가 있는 노인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칫솔질시간은 2분 정도 한다고 응답한 그룹(86.1%)이 1분 동안 칫솔질을 한다고 응답한 그룹(68.4%)에 비해 잔존치가 있는 노인이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1). 4. 구강보건지식에 따른 구강보건행태에서는 칫솔질 횟수는 칫솔질을 3회 이상 한다고 응답한 그룹에서 구강보건 지식 점수가 높은 노인이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1). 치과방문에서는 정기적으로 치과를 방문한다고 응답한 그룹에서 구강보건지식 점수가 높은 노인이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치아가 아플 때 치과를 방문한다고 응답한 그룹이 구강보건지식 점수가 낮은 노인이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1). 결과적으로 구강보건지식이 높고 잇솔질 횟수가 많거나 정기적인 치과방문을 하는 그룹이 구강보건관심이 더 있다는 결과로 보아 치아에 대한 많은 정보와 올바른 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환경에 노출된 노인이 구강건강에 더 관심을 가지는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소외된 노인까지 정보를 얻을 수 있는 다양한 구강보건프로그램의 개발과 아울러 적극적이고 계속적이며 반복적인 구강보건교육이 함께 이루어진다면 많은 노인들이 구강보건관심의 고취와 함께 구강보건지식의 향상 및 긍정적인 구강보건행태의 변화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아울러 이를 실행하고 뒷받침 해줄 수 있는 사회적 관심과 정책 또한 뒤따라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db/db 마우스에서 Ceriporia lacerata 균사체 배양액이 GLUT4 발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ubmerged culture of Ceriporia lacerata mycelium on GLUT4 protein in db/db mouse)

  • 신은지;김지은;김지혜;박용만;윤성균;장병철;이삼빈;김병천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893-900
    • /
    • 2015
  • 최근 경제가 급속히 성장하면서 세계적으로 당뇨병이 심각한 대사성 질환으로 대두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혈당조절에만 초점을 맞춘 경구용 당뇨병 치료제가 아니라 당뇨병을 근본적으로 치료할 수 있는 혈당 강하 소재를 개발하기 위한 연구가 늘어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 연구에서 항당뇨 효능이 확인된Ceriporia lacerata 균사체 배양물건조물(CL01)을 제 2형 당뇨병 동물 모델인db/db 마우스에 경구투여하여 CL01이 혈액학적 지표 및 인슐린 신호 전달기전 상의 유관 단백질과 mRNA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CL01을 4주간 투여했을 때 혈당이 지속적으로 감소하였고, 혈청 인슐린, c-peptide 농도도 각각 음성대조군의 55.8%, 40% 수준으로 감소하였다(p<0.05). 인슐린 저항성을 반영하는 지표인 HOMA-IR 수치를 계산한 결과, CL01 투여군에서 인슐린 저항성이 음성대조군 대비 약 62% 개선되었다(p<0.05). 또한 인슐린 신호 전달에 관여하는 pIR, pAkt, pAMPK, GLUT4 단백질 및 Akt2, IRS1, GLUT4 mRNA 발현이 증가하였다. 이들 결과를 통해 CL01이 당 대사 및 인슐린 신호 전달에 관여하는 유관 단백질 및 유전자 발현에 영향을 미치며 이에 따라 인슐린 저항성을 개선하여 혈당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을 알 수 있다. 제 2형 당뇨병 환자의 90% 이상이 인슐린 저항성으로 인한 고인슐린혈증, 당내성 장애, 고혈압, 비만 등의 대사 이상이 생길 확률이 증가하기 때문에 CL01의 섭취를 통해 GLUT4 발현을 증가시켜 인슐린 저항성을 낮추는 것이 제 2형 당뇨병의 근본적인 치료에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이 연구가 당뇨병 치료의 추가적인 기전 연구를 위한 기초 증거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치과위생사의 직무스트레스와 건강상태 및 신체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Occupational Stress, Health Status and Somatization for Dental Hygienist)

  • 홍수민;김희경;안용순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295-302
    • /
    • 2009
  • 본 연구는 치과위생사의 직무스트레스 요인과 정도를 살펴보고 직무스트레스와 건강상태 및 신체화의 상관관계를 파악함으로써 직무스트레스의 효율적 관리 및 건강증진을 위한 방안을 수립하는데 도움이 되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수도권지역의 구강진료기관에 근무하고 있는 치과위생사 281명을 대상으로 연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조사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25.1세였고, 평균 경력은 42.8개월이었으며 일 평균근무시간은 8-9시간이 55.5% 근무형태는 주6일이 33.8%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2. 한국형 직무스트레스 측정도구를 사용하여 치과위생사의 직무스트레스를 분석한 결과 직무스트레스는 45.24점이었으며 7개 하위요인 중 직무요구가 56.17점으로 가장 높았다. 3. 근무하는 병원의 규모와 근무시간에 따른 건강상태를 분석한 결과 대학병원에 근무하는 조사대상자들의 건강상태 점수가 유의하게 높았으며 10시간 이상 근무하는 집단에서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P<0.05). 4. 주5일 근무에 야간진료와 공휴일진료를 병행하는 집단의 신체화 점수가 18.48점으로 높게 나타나 다른 근무형태의 집단들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근무시간은 10시간 이상 근무하는 집단의 신체화 점수평균이 18.64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P<0.05). 5. 직무스트레스는 건강상태와 약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341, p<0.01) 신체화 경향과는 약한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330, p<0.01), 건강상태과 신체화 경향 간에는 강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762, p<0.01) 또한 직무스트레스는 건강상태의 하위 요인인 신체건강, 정신건강과 약한 음의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p<0.01), 신체건강과 정신건강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5 88, p<0.01). 6. 직무스트레스 하위요인들과 건강상태 및 신체화 경향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건강상태는 직무스트레스 하위요인들 중 직무자율요인을 제외한 직무요구, 직장문화, 보상부적절, 조직체계, 관계갈등(p<0.01), 직무불안정 ( p<0.05) 요인들과 약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신체화 경향은 직무스트레스 하위요인들 중 직무자율요인을 제외한 직무요구, 직장문화, 보상부적절, 조직체계, 직무불안정(p<0.01), 관계갈등 (p<0.05) 요인들과 약한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 PDF

전북지방에서 생산된 가축사료내 납 함량에 관한 조사연구 (A Survey on the Lead Contents of Feedstuffs Produced in Chonbuk Area)

  • 권오덕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273-276
    • /
    • 1992
  • Present study was undertaken in order to evaluate the lead contents of various feedstuffs produced in Chonbuk area. Fifty-five samples were collected from 5 regions. All of the samples were dry-ashed and analyzed for lead content using atomic absorption spectrophotometer. The results obtained were summarized as followed : 1. The lead content in $\mu\textrm{g}$/g of agriculture by-products were measured with the following mean values and ranges : soybean pod 7.01${\pm}$2.49(4.71∼10.66), rice bran 4.56${\pm}$0.90(3.17∼5.65), rice straw 3.89${\pm}$2.01(1.29∼6.33), rice hull 1.92${\pm}$1.77(0∼3.63). 2. The lead content in $\mu\textrm{g}$/g of pasture plants were measured with the following mean values and ranges : kudzu 20.29${\pm}$4.75(14.84∼25.34), clover 13.92${\pm}$2.68(10.17∼16.44), lespedeza 10.91${\pm}$9.00 (3.35∼23.54), sagebrush 10.75${\pm}$3.28(5.14∼13.18), Korean lawn grass 5.05${\pm}$2.29(2.57∼7.79), cornstalk 3.91${\pm}$2.55(0.50∼7.22), reed 2.92${\pm}$1.88(0.50∼5.73). 3. Seventeen samples (30.9%) out of 55 samples showed lead content of more than 10$\mu\textrm{g}$/g which are said to be the upper limit value for all animals. 4. The regional mean v짓ues for 리1 kinds of samples were Wanju-gun 10.02${\pm}$8.55$\mu\textrm{g}$/g, Mooju-gun 8.16${\pm}$4.91$\mu\textrm{g}$/g, Namwon-gun 7.09${\pm}$4.59$\mu\textrm{g}$/g, Okgu-gun 7.06${\pm}$7.11$\mu\textrm{g}$/g, Jeongup-gun 6.35${\pm}$6.50$\mu\textrm{g}$/g.

  • PDF

Chlamydomonas reinhardtii 에서 정제한 Ascorbate Oxidase 의 특성 (Properites of Purified Ascorbate Oxidase in Chlamydomonas reinhardtii)

  • 인용호;이정헌;채영규;최영길;강사욱;정가진;하영칠
    • 미생물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225-231
    • /
    • 1992
  • 생물체내의 ascorbic acid :dehydroascorbic acid system 을 조절하는데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진 ascorbate 산화효소의 활성을 단세포 녹조류인 Chlamydomonas reinhardtii 에서 확인함으로써 이 효소의 존재와 특성을 고찰하였다. 조효소는 native gel 전기 영동에 의한 활성 염색과 분광광도계에 의한 ascorbic acid .의 흡광도 감소 측정에서 뚜렷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황산암모늄 침전, hydroxyapatite 흡착 크로마토그래피, 그리고 Sephadex G-150 gel 여과 크로마토그래피 분리한 결과 26.1 units/mg /의 specific activity 를 나타내었다. 분리된 ascorbate 산화효소는 $55^{\circ}C$, pH 4.6 에서 가장 활성도가 높았다. Native gel 전기 영동에서 88,000 dalton 갸량의 분자량을 가지고 있었고 소단위체의 분자량을 55,000 이었다. 또한 Western bloting technique 을 이용하여 C. reinhardtii 의 ascorbate oxidase를 확인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