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흰쥐 소장

검색결과 95건 처리시간 0.019초

흰쥐의 적출소장을 통한 물의 흡수에 관한 연구 (The Absorption of Water from the Isolated Small Intestine of the Rat)

  • 김종국;이범진
    • 약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194-197
    • /
    • 1988
  • We measured the rate of water transfer across the isolated small intestine of the rat in Wiseman apparatus using tritiated water ($^3H_2O$) in drinking beverages such as electrolytes solution, fruit juice, carbonated water and barley water. Initial transfer rate of water using four beverages were determined: Electrolytes solution is the fastest and followed by barley water, carbonated water and fruit juice.

  • PDF

Orotic acid와 Di-(2-ethylhexyl)phthalate 투여 흰쥐의 간장 및 소장 Microsomal Triglyceride Transfer Protein(MTP) 활성과 mRNA 수준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Orotic Acid and Di-(2-Ethylhexyl)Phthalate on Microsomal Triglyceride Transfer Protein(MTP) Activity and mRNA Levels in Liver and Intestine of Rats)

  • 차재영;조영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492-496
    • /
    • 2001
  • 혈청 중성지질 저하작용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OA식 및 DEHP식을 각각 투여한 흰쥐의 간장 및 소장에서 MTP 활성과 mRNA 수준을 검토하였다. 간장 중성지질 농도는 대조군에 비교해서 OA군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 DEHP군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혈청 중성지질 농도는 대조군에 비해서 OA군 및 DEHP군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는데, 이러한 저하는 OA군에서 더욱 현저하였다. 간세포에서의 MTP 활성과 mRNA 수준은 대조군에 비해서 OA군에서 유의하게 저하하였으나, 소장에서의 MTP 활성은 증가하였다. 그러나, 간장 및 소장의 MTP 활성과 mRNA 수준은 대조군과 DEHP군 사이에서는 유의적인 변화가 없었다. 간장에 있어서 중성지질 합성의 중요 조절효소인 microsomal PAP 활성은 대조군에 비해 OA군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 DEHP군에서는 cytosolic PAP 활성이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OA에 의한 혈청 중성지질 저하 작용에는 간장 MTP 활성과 mRNA 유전자 발현이 깊이 관여하였으나, DEHP에 의한 혈청 중성지질 저하 작용에는 MTP 대사와는 무관한 것으로 사료되었다.

  • PDF

옥수수 전분과 서탕에 의한 Casein갈변저지 효과에 관한 생리적 연구 -흰쥐에 의한 fructosyl-lysine 및 유리아미노산의 배설양상과 혈청, 간 및 소장내용물중의 함량- (Physiological Study on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Browning Reaction by Corn Starch and Sucrose on Maillard Browning of Casein -Excretion phenomenon and contents of free amino acids and fructosyl-lysine of serum, liver and small intestinal diesta by rats-)

  • 우강융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21권4호
    • /
    • pp.197-212
    • /
    • 1988
  • Casein과 포도당간의 갈변반응시 전분 및 자당 첨가에 의한 갈변반응 저지효과를 흰쥐를 이용하여 검토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체중 및 단백질소화율은 비갈변식이를 섭취한 경우가 갈변식이를 섭취한 경우보다 높았으나 갈변식이의 경우 전분 보호효과는 없었다. 2. 질소균형 및 혈청 yrea-N의 농도는 처리간 유의차가 없었다. 3. Fructosyl-lysine은 분보다 뇨를 통한 배설량이 비갈변식이 섭취시 1.7배, 갈변식이 섭취시 10~18배 가량 높았다. 분과 뇨를 통한 총 배설량은 비갈변식이를 섭취한 경우보다 갈변식이 섭취시 훨씬 높았다. 뇨를 통한 배설량은 비보호갈변식이를 섭취한 경우에 비하여 자당첨가동시보호갈변식이를 섭취했을때 낮았고 분을 통한 배설량은 전분보호 갈변식이를 섭취했을 때 보호방법에 관계없이 비보호갈변식이를 섭취한 경우보다 낮았다. 4. 개별 필수유리아미노산의 분을 통한 배설량은 비갈변식이에 비하여 갈변식이를 섭취한 경우가 높았고 뇨를 통한 배설량은 HIs을 제외하고는 비갈변식이를 섭취한 경우가 오히려 높거나 비슷한 수준이었다. 5. lysine의 분을 통한 배설량은 비갈변식이에 비하여 갈변식이를 섭취한 경우가 3.3~4.3배 높았고 비보호갈변식이에 비하여 전분 보호갈변식이를 섭취한 경우가 23~2*% 정도 낮았다. 6. 혈청, 간 및 소장내용물중 fructosyl-lysine 함량은 비갈변식이에 비하여 갈변식이를 섭취한 경우 혈청내에서는 1.7~2.7배, 간에소는 11.1~22.1%, 소장내용물중에서는 자당첨가동시보호갈변식이를 제외하고는 7.3~11.7배 정도 높았다. 전분보호효과를 보면 비보호갈변식이에 비하여 전분보호갈변식이를 섭취한 경우가 혈청에서는 26~37%, 소장내용물에서는 14.3~82.9% 정도 낮았다.

  • PDF

담수만 패류 Hippeutis cantori에 피낭한 이전고환극구흡충의 피낭유충 및 흰쥐와 마우스에서의 성장발육 (Metacercariae of Echinostoma cinetorchis encysted in the fresh water snail, Hippeutis (Helicorbis) cantori, and their development in rats and mice)

  • 이순형;이준기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6권3호
    • /
    • pp.189-198
    • /
    • 1988
  • 1985년도 8월부터 10월사이에 경기도 남양주군 와부읍에서 채집한 Hippeutis (Helicorbis) cantori가 이전고환극구홉충(Echinostoma cinetortkis)의 적장유충에 감염되어 있음을 발견하였고, 이 피낭유충들을 흰쥐 및 마우스 에 10~20개씩 경구 감염시킨 다음 2~88일에 총체를 회수하였으며 회수한 충체를 토대로 충체 발육상황을 관찰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조사한 116마리의 H. cantori중 89마리 (76.7%)에서 416개의 이전고환극구흡충 피낭유충이 검출되어 감염 패 마리당 평균 4.7개의 감염량을 나타내었다. E. cinetorchis의 피낭유충은 패류의 맨틀 뒷부분에 있는 연부조직에서 검출되었다. 2. 피낭유충은 타원형 또는 원형에 가까운 난원형이었으며 크기는 평균 $139.2(\times}135.4{\mu\textrm{m}}$이었다. 3. 실험감염 흰쥐 및 마우스에서의 충체회수율은 각각 40~85%(평균 55.9%) 및 20~80%(평균 61.4%)이었다. 충체의 성장발육은 흰쥐와 마우스에서 별 차이가 없었고, 충란을 보유한 성충으로 성장하는데 12일이 소요되었다. 4. 조사한 총 194마리의 충체 중 고환이 하나도 없는 것이 159마리(82.0%)이었고, 한 개만 있는 것이 34마리 (17.5%)이었으며 두 개가 있는 것은 1만리 (0.5%)이었다. 이상의 결과로 H. cantori가 우리나라에서 이전고환극구흡충의 제 2중간숙주의 하나로 역할을 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또한 이 흡충이 흰쥐 및 마우스 소장에서 충란을 보유한 성충으로 성장하는데에는 약 12일이 소요됨을 알 수 있었다.

  • PDF

요코가와흡충 감염 흰쥐에 있어서 장병변 및 장상피내 림프구 (IEL) 증감에 대한 경시적 관찰 (Chronological observation on intestinal histopathology and intraepithelial Iymphocytes in the intestine of rats infected with Metagonimus yokogawai)

  • 채종일;윤태영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2권4호
    • /
    • pp.215-222
    • /
    • 1994
  • 요코가와흡충 감염시 장상피내 림프구(inkaepithelial Iympho%rotes: IEL)의 증감과 장 병변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흰쥐(Sprague-Dawley)에 피낭유충을 실험 감염시킨 다음 5일 부터 70일까지 소장 점막에서 IEL 수와 위치, V/C ratio(villus/crypt ratio; 융모/선와의 비) 등을 관찰하였다. 피낭유충은 은어(Plecoglossus altivelis)에서 획득하여 흰쥐 15마리에 각각 3,000개씩 경구 감염시켰고 동일계 흰쥐 3마리를 비감염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감염 5일, 10일, 15일, 24 일 및 70일에 각각 3마리씩 희생시킨 다음 소장 여러 부위에서 조직을 획득하여 절편으로 제작하였고, Giemsa 염색한 후, 병리학적 관찰과 함께 IEL수 및 위치의 변동을 경시적으로 관찰하였다. 응모 위축과 선와 증식. V/C ratio의 감소 등을 특징으로 하는 장병변은 감염 후 5일에서 15일 사이에 가장 심하였으며 감염 24일째부터는 점차 회복되었다. IEL은 감염 초기에 일시적으로 증가하였으나, 장병변이 진행되면서 대조군보다 감소하였다가, 장병변의 회복과 함께 다시 증가하였다 대조군에서 IEL은 대부운 장상피층의 기저부에 위치하였으나, 감염 초기에는 많은 IEL이 장상괴세포의 핵주변부와 상층부에 분포하는 점이 특이하였다 이와 같이 요코가와흡충 감염시 나타나는 IEL수 및 위치의 변동은 장병변의 진행 과정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Fibricola seoulensis와 요꼬가와흡충에 혼합 감염된 흰쥐에서 충체 회수율과 소장 병변 (Worm recovery rate and small intestinal lesions of albino rats coinlected with Fibricola seoulensis and Metaqonimus yokogawai)

  • 홍성종;우호춘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1권2호
    • /
    • pp.109-116
    • /
    • 1993
  • Fibriuraseouensis와 요꼬가와흡충을 흰쥐에 혼합감염시키고 충체 회수율과 소장 병 변을 각 충체를 단독 감염시켰을 때와 비교하였다. 동시 감염군은 흰쥐 한 마리에 두 흡충의 피낭유충을 각각 1,000개씩 감염시키고 20일 후에 도살하였다. 도전 감염군은 F. seoulensis 피낭유충을 1,000개씩 감염시키고 10일 후에 요꼬가와흡충 피낭유층 1,000개씩으로 도전 감염 시켰으며 그 10일 후에 도살하였다. 동시 감염 군에서 F. seoulensis와 요꼬가와흡충은 각각 평균 250마리와 118 마리가 회수되어 단독 감염군과 아주 비슷하였지만 F.seoulensis의 경우 십이지장에서 평균 223마리로 단독 감염 군보다 높았으며 공장에서는 26마리로 낮았다. 도전 감염군에서 F. seoulensis의 총 충체 회수율은 단독 감염군과 비슷하였으며 부위별로는 동시 감염군과 같았으나 요꼬가와흡충은 평 균 69마리가 회수되어 단독 감염 군보다 현저히 낮았으며 십이지장에서 평균 7마리, 공장에서 평균 45마리, 회장에서 평균 17마리가 회수되어 기생부위가 넓어겼고 공장보다 회장에서 더 많은 충체가 회수된 단독 감염군과 달랐다. 동시 감염군에서 십이지장의 융모는 비후, 융합, 단축이 흑 seodenis 단독 감염군에 비하여 매우 심하였으며 선와 상피세포가 과증식되었으나 기질층의 염증 세포 침윤은 덜했다. 공장과 회장의 융모 위축은 요꼬가와흡충 단독 감염 군보다 가벼웠다. 도전 감 염군은 동시 감염군과 유사하였으나 십이지장의 선와 상피세포 증식은 심하지 않았으며 공장과 회장의 접막하조직에 염증반응이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볼 때 소장 상부에 먼저 기생하고 있는 F. seoulensis는 소장응모의 위축과 염증을 일으켜 나중에 감염되는 요꼬가와흡충에게 불리한 환경을 조성함으로써 이 흡충이 소장 하부에 정착하는데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된다.

  • PDF

남해만 숭어(崇漁)에서 검출된 Stellantchusmus fulcutus 피낭유충의 동정 (Identification of Snellantchasmus falcatus Metacercariae Encysted in Mullets in Korea)

  • 채종일;손운목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6권1호
    • /
    • pp.65-68
    • /
    • 1988
  • 경상남도 남해 지방산 숭어에서 Stellantchasmus falcatus의 길낭유충을 발견하고 횐쥐에 감염시킨 후 성충을 얻어 동정하였다. 검사한 숭어는 모두 10마리로서 크기 20~30cm이었고 그중 3마리에서 S. falcatus로 생각되는 퍼낭유충이 470개 검출되었다. 피낭유충은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크기 $0.15~0.20{\times}0.13~0.19mm$이었고 대부분이 숭어의 근육에서 발견되었다. 총 280개의 피낭유충을 횐쥐 5마리에 각각 30~100개씩 나누어 감염시키고 7~10일후에 흰쥐를 희생시켜 소장(소장) 내용물을 검경한 바 총 83마리의 성충이 회수되었다. 회수된 충체는 길이 0.41~0.70mm, 폭 0.32~0.39mm이었고, 장낭형(장낭형 ; elongated sac-like)의 expulsor를 가진 저정낭(seminal vesicle) 등 몇가지 형태학적 특징을 근거로 S. ialcatus Onji et Nishio, 1915로 동정되었다. 이 연구로 우리나라에서도 숭어가 S. falcatus의 제2중간숙주역할을 하고 있음이 확인되었고 이 홉충의 인체감염원이 되고 있을 것으로 추측되었다.

  • PDF

서울주걱흡충의 재감염이 흰쥐 소장의 조직병리 및 미소융모막효소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reinfection with Neodiplostomum seoulensis on the histopathology and activities of brush border membrane bound enzymes in the rat small intestine)

  • 유재란;홍성태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3권1호
    • /
    • pp.37-44
    • /
    • 1995
  • 서울주걱흡충(Neodiplostomum seoulensis)재감염시 숙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충체 회수율 소장의 조직병리 및 미소응모막효소 활성도를 관찰하였다. 자연감염된 뱀에서 피낭유충을 얻어 500개씩 흰쥐에 감염시키고 20일 후에 프라지콴텔로 치료하였다. 치료후 3주째에 피낭유충 500개씩 경구투여하여 재감염 시킨다음 3일. 1주. 2주 후에 도살하여 일차감염군과 비교하였다. 충체회수율은 일차감염시 각각 32.8%. 59.2%, 41.5%에서 재감염시 25.9%, 35.7%. 7.6%로 감소되었는데 특히 2주후에 급격히 감소되었다. 십이지장의 조직병리 소견은 일차감염시 1주 후부 터 융모의 응합 단축등의 퇴행성 변화와. 선와의 증식. 기질층의 염증세포 침윤 등이 나타나 2주까지 지속되었으나 재감염시는 3일 후부터 병변이 나타나다가 1주째부터 회복되었다. 미소응모막효소 활성도 측정결과 십이지장에서 일차감염시 alkaline phosphatase와 자당분해효소의 활성도가 대조군의 절반수준으로 감소하였으나 재감염시에는 대조군 수준과 동일하거나 오히려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이 흡충의 재감염시 충체의 배출이 빨라짐과 동시에 형태학적으로 회복이 빨리 이루어지며 기능적으로도 소장의 미소응모막효소 활성도의 회복이 빠르게 이루어짐을 알 수 있었다.

  • PDF

식이 지방의 P/S비율이 흰쥐의 혈장 및 조직의 지질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P/S Ratio on Lipid Content of Plasma and Tissues in Rats)

  • 김명희;임현숙;오승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82-89
    • /
    • 1986
  • 식이 지방의 P/S비율을 0.05, 0.5, 1.0, 2.0, 3.0, 4.0으로 조절한 실험식이로 Wistar계 흰쥐를 사육하면서 급식 2주 및 4주에 혈장 총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 함량, 간, 소장 및 동맥의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 함량을 측정하여 식이지방의 P/S비율이 체내 지방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한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식이효율은 2주 급식시에는 여섯 실험군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4주 급식시에는 P/S 비율이 높을수록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2. 혈장의 총 콜레스테롤 함량은 P/S비율이 높아감에 따라 2주 급식시에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4주 급식시에는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p<0.05) 3. 혈장의 중성지방 함량은 4주 급식시 P/S비율이 높을수록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4. 간 및 소장의 콜레스테롤 함량은 4주 급식시 P/S비율이 높아감에 따라 증가하였다. 그러나 동맥의 콜레스테롤 함량은 P/S 비율의 변화에 따른 영향을 보이지 않았다. 5. 간 및 소장의 중성지방 함량은 P/S비율이 높아감에 따라 현저하게 증가하였으나(p<0.05), 동맥의 중성지방 함량은 P/S비율의 변화에 따른 영향이 뚜렷하지 않았다.

  • PDF

식이섬유 식이에 적응된 흰쥐에서 고지방식이가 식후 혈장지질농도와 소화효소활성에 미치는 영향 (Postprandial Plasma Lipid Levels and Digestive Enzyme Activities After High Fat Meal in Rats Adapted to Dietary Fiber)

  • 양정례;서명자;송영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16-122
    • /
    • 1997
  • 식이섬유에 5주간 적응된 횐쥐 (S.D., male)를 14시간 절식시킨 뒤 총 에너지의 50%가 되는 고지방식이를 급여하고 4시간 뒤의 혈장 지질 농도와 소화효소활성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혈장과 지단백의 콜레스테롤 함량은 sodium alginate군에서 가장 낮았다(p<0.05). 혈장 중성지방 함량은 식이군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LDL-중성지방은 sodium alginate군에서 가장 낮았다(p<0.05). HDL-중성지방 함량은 식이섬유 군에서 높았다 (p<0.05). 소장 apolipoprotein B는 무섬 유식이군과 cellulose군에 비해 sodium alginate군에서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소장 내용물에서의 amylase활성은 각 식이군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식이 섬유 첨가군에서 다소 높았으며, lipase 활성은 무섬유 식이군과 cellulose군에 비해 sodium alginate군에서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소장내용물에서 pretense 활성과 담즙산 함량은 식이군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단백질 함량은 무섬유 식이군에 비해 식이섬유 첨가군에서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장기간의 식이 섬유 섭취는 식이섬유가 배제된 고지방식 후에도 혈장 콜레스테롤 농도를 낮추는 효과가 있으나, 혈장 중성지방 농도는 식이 섬유가 함유된 식이에 비해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