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흰쥐 소장

검색결과 95건 처리시간 0.018초

성장 발육에 따른 흰쥐 장기내 phytase의 분포성 (Distribution of Phyrase in The Development Rat Organs)

  • 양원진
    • 생명과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27-133
    • /
    • 1997
  • Phytase(myo-inositol hexakisphosphate phosphohydro-lase;EC 3.1.38)활성은 소화기관인 소장 점막에서나 나타났고, 그 외 다른 장기에서는 alkaline phosphatase활성만을 측정할 수 있었다. 그리고 anti-90kDa phytase항혈청을 이용한 면역조직학적 조사 결과 소장 이외의 장기에서는 본 효소의 단백질 밴드가 검출되지 않았다. 이와 같은 결과 phytase는 소장에만 특이적으로 존재하며, 소장 특이적 효소의 생리적 역할로서 Phytic acid(inositol=hexakisphos-phate)를 가수분해한다. 흰쥐의 성장 발육과 더불어 phytase의 활성은 증가한다. 출생 후부터 이유기 전까지는 70kDa phytase외에도 90kDa phy-tase가 출현한다. 이 90kDa phy-tase는 이유기에 합성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 PDF

흰쥐 적출 소장의 수축성에 미치는 GABA의 영향 (Effect of GABA on the Contractility of Small Intestine Isolated from Rat)

  • 허준영;권오철;하정희;이광윤;김원준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8권2호
    • /
    • pp.95-105
    • /
    • 1991
  • 흰쥐 적출소장의 수축성에 미치는 GABA의 영향을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GABA는 소장을 이완시켰으며 그 이완 작용은 십이지장, 공장 그리고 회장의 순이었다. GABA A수용체 효현제인 muscimol 역시 소장을 이완시켰으며, 그 효능의 강도는 십이지장, 공장 그리고 회장의 순이었다. 그러나 GABA B수용체 효현제인 baclofen은 소장의 운동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2. 상경적 GABA A수용체 길항제인 bicuculline과 비 상경적 GABA A수용체 길항제인 picrotoxin은 십이지장에 대한 GABA와 muscimol의 이완 작용을 현저히 억제시켰다. 그리고 bicuculline의 억제 작용이 picrotoxin 보다 강하였다. 3. Sodium channel blocker인 tetrodotoxin은 GABA의 이완 작용을 봉쇄하였다. 4. 신경절 봉쇄적인 hexamethonium은 십이지장에 대한 GABA의 이완작용을 길항하지 못하였다. 이상의 실험 결과로 볼 때 흰쥐 소장의 자발 수축운동에 대한 GABA의 이완작용은 소장이 부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며, 그 작용은 postganglionic presynaptic neuron에 존재하는 GABA A 수용체에 작용함으로써 나타나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흰쥐에서 녹차추출물의 트랜스 지방 소장 흡수 억제 작용 (Green Tea Extract Decreases the Lymphatic Absorption of Trans Fat in Rats)

  • 김주연;노상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73-78
    • /
    • 2012
  • 트랜스 지방 과다섭취는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인자이다. 이 연구는 녹차의 섭취가 대표적인 트랜스 지방인 elaidic acid의 소장 흡수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서 설계하였다. 소장 지방 흡수를 in vivo 상태에서 측정하기 위해서 흰쥐의 '소장지방흡수모델(mesenteric lymph duct cannulated rat model)'을 이용하여 십이지장주입관(intraduodenal catether)과 림프채취관(lymph duct cannula)을 각각 십이지장과 소장 림프관에 설치하였다. 십이지장주입관으로 주입된 지질유화액은 $180.0{\mu}mol$ elaidic acid, $400.0{\mu}mol$ triolein, $20.7{\mu}mol$ cholesterol, $3.1{\mu}mol$ a-tocopherol, $396{\mu}mol$ sodium taurocholate 그리고 24 mL PBS 용액을 기본성분으로 했고 이 지질유화액만 공급받은 동물을 대조군(control), 녹차추출물이 추가된 지질유화액을 공급받은 동물을 녹차군으로 하였다. 지질유화액은 시간당 3 mL씩 8시간 동안 주입하였고 동시에 소장 림프관에 설치된 림프채취관으로 분비되는 림프 시료를 매시간 8시간 동안 채취하여 분석하였다. 결과적으로, 8시간 동안 소장 림프채취관으로 분비된 림프의 양은 녹차에 의해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elaidic acid의 흡수율(분비율) 또한 녹차에 의해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콜레스테롤, 올레산, 인지질의 흡수율도 녹차에 의해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들은 녹차가 elaidic acid 뿐만 아니라 기타 주요 식이성 지방들의 소장흡수를 억제하는데 효과적인 수단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증명한 연구라 판단된다.

섭취방법에 의한 polymannuronate의 생리효과 비교

  • 김인혜;이동수;남택정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3년도 춘계 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107-108
    • /
    • 2003
  • 갈조류 알긴산은 혈청 지질 조성의 개선효과 등 기능성과 관련하여 많은 보고들이 있다. 흰쥐에 대한 급이 실험에서 알긴산이 혈청 및 간장 지질의 콜레스테롤 농도를 현저히 감소 시킨다고 하였고, 건조 다시마 분말을 흰쥐에 급이한 결과 체중과 사료의 소화율이 감소하고 소장, 대장 및 맹장 등의 소화기관의 증대 및 체중과 사료의 소화율 감소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중략)

  • PDF

흰쥐의 소장 점막 세포의 성장에 미치는 Glutamine, Glycine과 Nucleosides/Nucleotide 혼합물의 효과 (Effects of Glutamine, Glycine and Nucleosides/Nucleotide Mixture on Intestinal Mucosal Growth in Rats)

  • 이선영;오현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30-136
    • /
    • 1997
  • 250g내외의 횐쥐에게 Thiry-Vella fistula를 만든 후 수술과 비경구 영양 효과로 인하여 위축되는 소장의 누공에 각각 nucleosides/nucleotide혼합용액 (Nuc군)이나 glutamine(Gln군), glycine(Gly군)등을 투여하여 소장 점막의 위축 방지나 재생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고 자 실험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Thiry-Vella fistula 시술 후 9일 동안 2일에 한 번씩 총 4회 소장 누공으로 주입한 이미노산들과 nucleosides/nucleotide 혼합물의 효과는 누공의 소장 점막에 미치는 직접적인 효과와 비누공 부분에 대한 간접적인 효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Nucleosides/nucleotide 혼합물은 소장 누공으로 주입되어 직접 접촉되는 부분의 소장 DNA함량을 유의적으로 증가 시켰으며 단백질 함량도 높은 수치를 보여 주었고 조직 검사 결과 소장 융모의 길이와 표면적을 증가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3$H] thymidine incorporation의 결과는 대조군과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Glycine은 소장 단백질과 DNA에 있어서 대조군보다는 높고 Nuc군보다는 낮은 경향을 보여 주었으나 [$^3$H]-thymidine incorporation은 누공과 비누공부분에서 모두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비누공부분에서는 유의적으로 증가되어 있었다. Glutamine의 효과는 glycine 투여 효과와 비슷하거나 오히려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고지방식이에 의한 흰쥐의 시상하부 Neuropeptide Y-면역반응 신경세포와 장내 Cajal 세포의 변화 (Changes in Neuropeptide Y-Immunoreactive Cells in the Hypothalamus and Cajal Interstitial Cells in the Small Intestine of Rats with High-Fat Diet)

  • 문지영;문경래;박상기;정윤영;김은영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14권2호
    • /
    • pp.171-180
    • /
    • 2011
  • 목 적: 고지방식이를 섭취한 흰쥐에서 식이 유발인자인 NPY와 장내 운동 조절인자인 Cajal 간질세포의 변화를 관찰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동일 연령의 Sprague-Dawley계 수컷 흰쥐를 임의로 대조군(7마리)과 고지방식이군(7마리)으로 분리한 후, 대조군에는 일반 흰쥐 사료를 충분히 섭취시켰으며, 고지방식이군에게는 60% kcal 지방이 포함된 사료(중앙실험동물센터)를 6주 동안 물과 함께 충분히 섭취하도록 하였다. 6주 후 시상하부 조직 절편에 rabbit polyclonal NPY (1 : 1000, Abcam)항체를 반응시키고, 소장의 조직 절편에 rabbit polyclonal c-kit (1 : 400, Neuromics)항체를 반응시켜서 면역조직화학 검사를 시행하였다. 결 과: 고지방식이군의 시상하부에서 NPY의 면역 반응성이 강하게 나타났으며, 특히 PVN에서 NPY의 면역 반응 세포수의 증가를 관찰할 수 있었다. 고지방식이군에서 소장의 Auerbach's plexus 부위의 Cajal 간질 세포의 면역 반응성이 떨어졌으며, 환상근과 종주근 내 Cajal 간질 세포 수도 현저히 감소하였다. 결 론: 고지방식이를 섭취한 흰쥐에서 시상하부 NPY 면역반응 신경세포수와 발현의 증가는 NPY의 저항성과 관련되며, 소장에서 Cajal 간질 세포의 감소는 장운동의 이상을 초래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흰쥐 위와 소장점막의 장내분비세포 발생에 미치는 Paraquat 영향 : 면역조직화학적 연구 (Effect of Paraquat on Enteroendocrine Cells in the Gastric and Small Intestinal Mucosa of Developing Rat : Immunohistochemical Study)

  • 최병태
    • 생명과학회지
    • /
    • 제8권6호
    • /
    • pp.660-666
    • /
    • 1998
  • 임신 7일부터 14일사이 paraquat(1,1'-dimethyl-4,4´-bipyridinium, 9m/Kg)를 모체에 경구투여하였을 때 태자와 출생후 흰쥐 위와 소장의 gastrin, somatostatin, gluca-gon, PP, CCK-8 및 serotonin면역반응세포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면역조직화학적으로 검색하였다. Paraquat 처리군의 면역반응세포는 대조군에 비해 늦은 시기의 태자부터 처음 관찰되며 출생전후 면역세포의 분포수도 차이를 보였다. 이로 보아 임신 중 모체를 통해 투여된 paraquat는 장내분비 세포의 분화를 지체시킬 뿐아니라 출생후 위장관의 성숙에도 영향을 줌을 알 수 있다.

  • PDF

흰쥐에 있어서 펙틴이 식이의 상부소화관내 이동 속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Dietary Pectin on the Upper Gastrointestinal Transit Rate in Rats)

  • 김정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627-632
    • /
    • 1992
  • 식이 중의 펙틴이 식이의 상부소화관내 이동 속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흰쥐에게 무섬유식이 또는 10% 펙틴식이를 공급하면서 식이의 이동속도 표시물질인 51-Cr를 투여하였다. 51-Cr 투여후 20분부터 6시간까지 정해진 시간 간격을 두고 동물을 희생시켜, 51-Cr이 소화관에서 이동하는 속도를 측정하였다. 51-Cr를 섭취한 뒤 3시간까지 펙틴은 51-Cr이 위에서 소장으로 이동해 나가는 속도를 유의성있게 증가시켰다. 51-Cr을 섭취한 후 3시간과 4시간 사이에 펙틴은 51-Cr이 소장을 통과하여 맹장으로 이동해 나가는 속도를 증가시켰다. 따라서 펙틴이 포도당 부하후 또는 식이섭취후 혈당치와 인슐린치의 급격한 증가를 완화시키는 효과가 펙틴이 상부소화관내 이동속도를 지연시키기 때문이라는 가설은 정확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 PDF

당근과 무의 단세포물 섭취가 흰쥐의 배변특성, 무기질 흡수율 및 소장과 대장의 구조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ingle Cells of Carrot and Radish on the Fecal Excretion Properties, Mineral Absorption Rate and Structure of Small Intestine and Colon in Rats)

  • 박용곤;강윤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505-511
    • /
    • 2004
  • 당근, 무 단세포물이 흰쥐의 배변특성, 무기질 흡수율 및 소장과 대장의 구조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5% 배합비에 해당하는 건조한 단세포물을 첨가하여 제조한 식이를 급여 후 무기질 흡수율, 변의 중량과 미세구조, 장 통과 시간, 소장과 대장의 무게 및 길이 등을 측정하였다. 당근, 무 생시료와 이들 단세포물의 식이섬유 함량과 조성을 분석한 결과 건물량 기준으로 생시료 건조물의 경우 당근은 총식이섬유 함량이 28.76%, 불용성 식이섬유 함량이 21.45%였으며, 무는 총식이섬유 함량이 23.14%, 불용성 식이섬유 함량이 16.77%였다. 단세포물의 경우 당근은 총식이섬유 함량이 44.68%, 불용성식이섬유 함량이 40.16%였으며, 무는 총식이섬유 함량이 48.0%, 불용성식이섬유 함량이 45.79%였다. 당근, 무와 같은 채소류의 단세포물은 불용성 식이섬유의 좋은 급원이었다. 32마리의 Sprague-Dawley계 흰쥐를 대조군, 섬유소군, 당근 단세포물군 및 무 단세포물군 등 4개의 처리군으로 구분하여 5% 단세포물이 함유된 식이를 4주간 급여하였다. 무기질 중 Mg의 흡수율은 대조군에 비해 당근과 무 단세포물군에서 유의적으로 높았다. 그리고 섬유소 급여는 변의 양을 유의적으로 증가시켰으며, 지질소화율은 유의적으로 감소시켰다. 대장의 길이는 다른 군에 비해 당근과 무 군이 유의적으로 긴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주사전자현미경에 의한 소장 융모 관찰 결과 섬유소와 단세포물급여군의 융모에서 수는 적고 잎모양의 돌림주름이 조밀하게 발달되어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 당근과 무의 단세포물 5%급여는 식이섬유 흡수율을 증가시키고, 체중도 유의적으로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변의 식이섬유 증가와 장통과 시간을 단축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타 변비와 관련된 배변특성 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