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흰개미 서식처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7초

흰개미 서식처의 미생물 다양성 및 특이성 (Diversity and specificity of soil microorganism isolated from termite nest)

  • 홍진영;김영희;조창욱;김수지;이정민;정소영
    • 보존과학연구
    • /
    • 통권37호
    • /
    • pp.5-15
    • /
    • 2016
  • 국내 목조문화재의 흰개미 피해는 토양과 인접한 건축물의 기둥하부에 주로 발생하지만 흰개미의 유입은 주변 야산의 부후된 목재나 수목 제거 후 남겨진 그루터기에 서식하는 흰개미가 인접한 건물로 유입되어 발생하게 된다. 본 연구는 목조문화재 생물피해 조사에서 흰개미 서식이 확인된 그루터기를 제거하면서 수거된 보은 법주사, 여수 흥국사, 그리고 보성 이용우 가옥의 그루터기와 주변 토양으로부터 미생물을 분리하였다. 그 결과, 세균의 분포 비율이 높았고 지역에 따라 세균 군집에 명확한 차이를 보였으며, 특히 보성 이용우 가옥 내 토양에서 다양한 세균이 다량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서부 호주 밀 재배지역의 흰개미(Drepanotermes tamminensis (Hill)) 서식 밀도 조사 (Quantification of Population of an Australian Termite, Drepanotermes tamminensis(Hill), within a Western Australian Wheatbelt)

  • 박현철
    • 한국토양동물학회지
    • /
    • 제9권1_2호
    • /
    • pp.16-23
    • /
    • 2004
  • 본 연구는 서부 호주의 Durokkopin 자연 보호 구역에 서식하고 있는 흰개미의 개미집과 서식밀도를 조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조사결과 Woodland에서의 흰개미 집의 분포와 서식밀도가 Shrubland보다 월등히 높았으며, 일부 흰개미집의 경우 조사기간인 14개월 동안 크기가 감소한 것으로 조사되었으나, 일반적으로 조사기간 중 흰개미 집의 크기 변화는 거의 없었으며, 계급별 구성비율 또한 거의 변화가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러나, 흰개미 개체수는 개미집이 작을수록 증가율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종합해 보면, 두 조사지역 중 Wooldland가 Shurubland보다 공시 흰개미인 Drepanotermes tomminensis (Hill)에 보다 나은 서식처를 제공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숲가꾸기 사업과 흰개미 피해를 받은 문화재와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ermite-Damaged Cultural Heritage Sites and the Forest Tending Project)

  • 김민선;김충식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3권2호
    • /
    • pp.24-35
    • /
    • 2020
  • '숲가꾸기 사업'과 흰개미 피해를 받은 문화재의 관련성을 밝히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5개년 정책 사업으로 2004년에 시작된 '숲가꾸기 사업'은 전국 산림의 약 59%에 시행되었으며, 2009년 최대치였다가 점차 감소하는 추세이다. 한편 국가지정문화재의 흰개미 피해가 증가하였음을 확인하였고, 이에 대응하기 위한 조치는 2012년부터 확대되기 시작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또한 최근 6년간 국립문화재연구소에서 조사한 국가지정문화재 흰개미 피해 현황을 분석한 결과 문화재의 약 98%가 흰개미 피해를 입었으며 이 중 약 72%는 산림에 인접해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2008년 산불방지 문화재 숲가꾸기 사업' 대상지인 국가지정문화재 46개소는 모두 흰개미 피해 사례가 있었음을 확인하였다. 전국 산림을 대상으로 숲가꾸기 사업이 대대적으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흰개미 피해를 받은 문화재가 증가한 것으로 판단된다. 숲가꾸기 이후 흰개미의 서식처가 될 수 있는 수많은 그루터기와 목재 산물이 발생함에 따라 산림에 인접한 목조문화재가 흰개미 피해를 받기 쉬운 환경에 놓이게 되었음을 밝혔다. 문화재돌봄사업단의 인력 등을 활용하여 목조문화재에 인접한 산림의 흰개미 서식 조사와 문화재로의 피해 경로를 추적하는 연구와 사업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