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희망중재

검색결과 47건 처리시간 0.018초

완화돌봄에서 개인 경험에 근거한 희망 중재를 향하여 (Towards Hope Seeking Intervention Based on Individual Experience in Palliative Care)

  • 김달숙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15권1호
    • /
    • pp.1-9
    • /
    • 2012
  • 목적: 본 연구는 희망은 개인화된 유일하며 주관적이고 역동적인 경험이라는 가정 하에서 개인 경험에 근거한 희망 찾기 중재를 하는 데 도전해야할 문제점들을 토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방법: 연구자는 개인 경험에 근거한 희망을 향하여 가는 데 도전하여야 할 제한점과 요구되는 방안을 확인하기 위하여 비판적인 분석과 토의가 포함된 문헌 고찰을 사용하였다. 결과: 도전 과제들은 1. 개념화 문제로 대표되는 것들로서 종종 희망이 다양한 속성을 가진 표준화된 단일 구조나 현실적인 희망만이 강조되는 단일 구조로 또는 한 문헌에서 두 가지 오리엔테이션(상대주의 대 단일주의)의 혼합 속에서 기술되거나 사용되었다. 2. 완화돌봄을 받고 있는 환자들에 의하여 고유하게 경험되는 다양한 희망의 패턴이나 경험들에 대한 연구가 거의 없다. 3. 개인 경험에 근거한 희망 중재와 그 방법에 대하여 다룬 문헌이 거의 없다. 결론: 개념화 문제는 오랫동안에 걸쳐서 관련 학문 학자와 전문가에 내재되어온 고정된 오리엔테이션과 관계가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따라서 이 문제는 우리들의 고정된 생각의 변화와 고정된 생각으로부터의 해방을 요구한다. 두 번째 도전 과제는 효과적이고 적절한 개인 경험에 근거한 희망 중재에 사용될 수 있도록 완화 간호 세팅에 있는 환자들의 다양한 희망 경험에 대한 다문화적 연구를 필요로 한다. 세 번째 도전 과제는 개인경험에 근거한 희망 중재를 위한 효과적인 방법을 찾을 것을 요구한다.

An Intervention Model to Help Clients to Seek Their Own Hope Experiences: The Narrative Communication Model of Hope Seeking Intervention

  • Kim, Dal Sook;Kim, Hesook Suzie;Thorne, Sally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20권1호
    • /
    • pp.1-7
    • /
    • 2017
  • 이 논문은 개인적으로 경험되는 독특한 희망경험을 찾도록 도와주기 위하여 저자들이 개발한 "희망 찾기 내러티브 커뮤니케이션 모델"에 대하여 서술한다. 모델은 희망과 희망경험의 본질에 대한 문헌 및 저자들의 연구결과들과 주관적인 의미들과 경험들로서 희망 개념, 개인 특수한 희망경험에 접촉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이야기하기 과정 및 내러티브 구성의 개념, 그리고 개인중심커뮤니케이션의 통합에 근거 개발되었다. 모델을 적용한 한 연구의 희망 찾기 경험은 모델을 한층 명확하게 하였다. 개인중심커뮤니케이션을 통하여 이야기하기와 내러티브 구성을 통합하는 모델은 세 요소들-이야기하기 요소, 내러티브 중재 요소, 커뮤니케이션 요소-로 구성된다. 이러한 요소들은 화자로서의 대상자가 희망경험의 근본인 개인 특수 주제적 플롯을 가진 희망 내러티브를 생산하는데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커뮤니케이션 촉진자로서의 중재자의 적극적인 참여 속에서 개인-특수 희망경험을 찾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하나의 중재로서 과정화된다. 대상자에서 이 모델을 적용하여 성공적인 개인 희망경험 찾기의 긍정적인 결과가 나타났다. 이 모델의 성공은 중재자의 모델에 대한 이해와 개인중심-커뮤니케이션 전략 적용능력에 기인된 것으로 보인다.

희망중재가 재가 암환자의 희망과 우울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Hope Intervention on Hope and Depression of Cancer Patients Staying at Home)

  • 신아미;박정숙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994-1002
    • /
    • 2007
  • Purpose: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hope intervention on hope and depression of cancer patients staying at home. Methods: The study design was a randomized control group design. The subjects consisted of forty cancer patients randomly selected who were registered at S-Gu Public Health Center. Hope intervention, which was composed of hope assessment, hope objective setting, positive self identity formation, therapeutic relationships, spiritual & transcendental process improvement, positive environmental formation and hope evaluation, was provided from November 20, 2006 to January 26, 2007. Results: The 1-1 hypothesis,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received hope intervention will have a higher score of hope than the control group", was supported(t=-3.253, p= .003). The 1-2 hypothesis,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received hope intervention will have a higher level of hope index than the control group", was supported (t=-4.001, p= .000). Therefore the 1st hypothesis,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received hope intervention will have a higher level of hope than the control group" was supported. The 2nd hypothesis,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received hope intervention will have a lower level of depression than the control group", was not supported (t=1.872, p= .070). Conclusion: Hope intervention is an effective nursing intervention to enhance hope for patient with cancer.

HIV 감염인의 사회적 지지, 사회적 낙인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희망의 매개효과 (Influences of Social Support and Social Stigma on Quality of Life of HIV Infected People : Mediating Effect of Hope)

  • 김일옥;신선화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8호
    • /
    • pp.247-256
    • /
    • 2016
  • 본 연구는 HIV 감염인이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와 사회적 낙인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서 희망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은 HIV 감염인 197명이며, 상담간호사가 일대일 면접을 통해 사회적 낙인, 사회적 지지, 희망, 삶의 질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매개효과의 분석은 AMO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수행하였고, 간접효과의 유의성은 붓스트래핑(Bootstrapping) 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사회적 지지는 삶의 질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고, 사회적 낙인은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쳤다. 둘째, 사회적 지지는 희망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고, 사회적 낙인은 희망에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쳤다. 셋째, 사회적 지지와 사회적 낙인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서 희망은 유의한 매개효과가 있었다. HIV 감염인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낙인적 시선을 개선하고 사회적 지지체계를 형성하기 위한 적극적인 전략이 요구되며, 주요한 매개역할을 하는 희망을 향상시킬 수 있는 중재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심리사회적 중재 프로그램이 재가 암 환자의 우울, 희망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분석 (The Effects of Psychosocial Intervention on Depression, Hope and Quality of Life of Home-Based Cancer Patients)

  • 박정숙;오윤정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594-605
    • /
    • 2010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psychosocial intervention on depression, hope and quality of life of home-based cancer patients. Methods: The study design wa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Data were collected from September 21 to November 13, 2009. The subjects consisted of 81 cancer patients randomly selected who were registered at four public health center in Daegu, Korea. The 39 subjects in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a psychosocial intervention and the 42 subjects in the control group received the usual nursing care. The weekly psychosocial Intervention protocol was comprised of health education, stress management, coping skill training and support (60 min) for eight weeks. Data were analyzed by using the SPSS/WIN 12.0 program. Results: Depression (F=23.303, p<.001) scores in the experimental group were significantly less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Further, hope (F=58.842, p<.001) and quality of life (F=31.515, p<.001) score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reported by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The findings indicate that the psychosocial intervention was an effective intervention in decreasing depression and increasing hope and quality of life of home-based cancer patients.

회복지향질병관리 프로그램이 입원한 정신과 환자의 회복 및 정신질환 지식과 희망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Illness Management and Recovery Program on Recovery, Knowledge of Mental Illness, and Hope of Inpatients with Mental Illness)

  • 신은식;이현복;전미숙;김선희;윤보현;시영화;박수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7호
    • /
    • pp.579-591
    • /
    • 2017
  • 회복지향질병관리(Illness Management and Recovery: IMR) 프로그램은 정신과 환자의 질병에 대한 자가 관리 및 회복을 촉진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판 IMR 프로그램이 입원한 만성 중증정신과 환자의 회복, 정신질환 지식, 희망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연구 대상자는 조현병, 양극성장애, 조현형정동장애로 진단 받은 사람들로 실험군(51명)은 IMR 프로그램에 참여하였으며, 대조군(41명)은 기존의 치료를 유지하였다. 자료 수집은 2015년 5월부터 2016년 12월까지 이루어졌다. 정신건강회복척도, 정신장애 지식척도, 한국판 희망척도를 사전과 중재 이후에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IMR 프로그램에 참여한 사람들이 기존 치료를 유지한 대조군에 비해 자신의 회복 추구와 정신장애에 대한 지식이 향상하였다. 그러나 두 그룹 모두 희망에 대한 변화는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는 한국에서 처음 시행된 IMR 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이다. 본 연구 결과는 한국판 IMR 프로그램이 우리나라 정신보건 임상에서 만성 정신과 환자의 회복을 촉진시키는 효과적인 중재로 활용될 가능성을 지지한다.

중년여성의 외상 후 성장, 자아존중감, 희망이 삶에 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ost-traumatic, Self-Esteem, and Hope on Quality of life among Middle-aged Female)

  • 강혜승;이소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10호
    • /
    • pp.518-525
    • /
    • 2017
  • 본 연구는 외상 후 성장, 자아존중감, 희망이 중년여성의 삶의 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연구대상자는 총 118명 중년여성 이였으며, 자가 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2017년 6월 1일부터 6월 30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1.0프로그램으로 기술적 통계, t-test, ANOVA, Scheffe's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다중회귀분석으로 하였다. 연구 결과 자신과 타인에 관하여 희망적일수록, 자가건강상태에 대한 평가가 긍정적일수록, 자아존중감이 높고, 외상 후 성장을 극복했을수록 삶의 질의 점수가 높게 나왔다. 희망, 자가건강상태, 자아존중감, 외상 후 성장은 중년여성의 삶의 질과 순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나이대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희망, 자가건강상태, 자아존중감, 외상 후 성장은 중년여성의 삶의 질을 예측할 수 있는 유의한 변수로 나타났다. 이 연구 결과에서 나타난 주요 변수들을 고려하여 노년기의 전 단계인 중년여성의 삶의 질을 체계적으로 관리하여 길어진 삶 속에서의 삶의 질을 효과적으로 중재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전인건강중재 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의 영적안녕과 정신건강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Holistic Health Program on spiritual well-being and mental health in nursing students)

  • 강은실;김영희;이경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5호
    • /
    • pp.2172-2179
    • /
    • 2011
  • 본 연구는 전인건강중재 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들의 영적안녕과 정신건강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기 위한 연구이다. 연구 설계는 단일군 전 후 실험연구이며 연구대상자는 참여를 희망하는 간호 대학생 42명을 대상으로 전인건강중재 프로그램을 13주간 실시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빈도, paired t-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3주간의 전인건강중재 프로그램의 적용 전 후 영적 변화에서는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둘째, 13주간의 전인건강중재 프로그램을 적용한 전 후 간호대학생들의 정신건강의 변화는 유의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 전인건강중재 프로그램은 간호대학생들의 영적안녕 및 정신건강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규명되었다. 그러므로 이 프로그램을 간호대학생들의 영적안녕 및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방안으로 활용하여 간호실무 교육과정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제공되기를 기대한다.

희망중재가 보건소 관리 재가 암환자의 희망과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Hope Intervention on the Hope and Quality of Life of Cancer Patients Staying at Home and Cared in Public Health Center)

  • 김정남;신아미;박경민;박명화;김영아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77-187
    • /
    • 2008
  • Purpose: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hope intervention on the hope and quality of life of cancer patients staying at home. Method: The study adopted the randomized control group design. The subjects consisted of randomly selected forty cancer patients who were registered at S-Gu Public Health Center. Hope intervention which was composed of hope assessment, positive self identity formation, hope objective setting. therapeutic relationship and spiritual & transcendental process improving, and hope evaluation was provided from October 22, 2007 to November 30, 2007. Result: Hypothesis 1-1 "The experimental group that received hope intervention will have a higher score of hope than the control group", was supported(t=-3.108, p=.004). Hypothesis 1-2 "The experimental group that received hope intervention will have a higher level of hope index than the control group". was supported(t=-4.219. p=.000). Therefore, Hypothesis 1 "The experimental group that received hope intervention will have a higher level of hope than the control group" was supported. Hypothesis 2 "The experimental group that received hope intervention will have a higher level of quality of life than the control group", was not supported(t=-1.726, p=.092). Conclusion: Hope intervention is an effective nursing intervention to enhance hope for patients with cancer staying at hom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