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흑점

검색결과 112건 처리시간 0.042초

O'Connell 효과와 흑점모델

  • 오규동;황창덕;강영운
    • 한국우주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한국우주과학회보)
    • /
    • 한국우주과학회 2001년도 한국우주과학회보 제10권2호
    • /
    • pp.15-15
    • /
    • 2001
  • PDF

거대 흑점군 AR9393의 활동 특성

  • 김연한;김갑성;장민환
    • 한국우주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한국우주과학회보)
    • /
    • 한국우주과학회 2001년도 한국우주과학회보 제10권1호
    • /
    • pp.30-30
    • /
    • 2001
  • PDF

태양활동주기 23의 흑점출현

  • 김갑성;조경석;이진이
    • 한국우주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한국우주과학회보)
    • /
    • 한국우주과학회 1995년도 한국우주과학회보 제4권2호
    • /
    • pp.20-20
    • /
    • 1995
  • PDF

단주기 식쌍성 UV PISCIUM의 궤도요소 연구 (OBITAL ELEMENT ANALYSIS OF A SHORT PERIOD ECLIPSING BINARY UV PISCIUM)

  • 한원용;김호일;이우백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제13권1호
    • /
    • pp.72-78
    • /
    • 1996
  • 복잡한 광도변화를 보이는 RS CVn형 단주기 식쌓성 UV Piscium의 BV 광도곡선을 Wilson-Devinney의 차등보정 방법으로 분석하여 궤도요소들을 산출하였다. 우리가 분석에 사용한 광도곡선은 식이 일어나지 않고 있는 부분에서도 심한 광도변화를 보이고 있는데 이는주성에 흑점 군이 있기때문인 것으로 가정하고 이 흑점군의 위치와 크기 등도 계산하였다. 그 결과 UV Psc는 분리계쌍성이며 주성이 반성에 비하여 질량도 크고 온도도 높으나 반경은 거의 같다는 것을 알았다. 이것은 일반적인 항성 모형과는 대조를 보이는 것이어서 이를 검증하기 위한 관측이 요구된다.

  • PDF

SAO 23229와 ER Vul의 광도곡선의 해

  • 김호일;이우백;성언창;김천휘
    • 한국우주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한국우주과학회보)
    • /
    • 한국우주과학회 1992년도 한국우주과학회보 제2권1호
    • /
    • pp.11-11
    • /
    • 1993
  • SAO 23229는 최대 밝기가 7등급이고 공전주기가 4.2일 정도이며 식의 깊이가 약 0.5등급에 이르는 algol형 식쌍성을 1989년에 발견 되었다. 우리는 1990년 가을부터 소백산천문대의 61cm 망원경을 이용하여 SAO23229의 UBV 광도곡선을 만들었다. 이 광도곡선을 이용하여 극심 시각을 정하였으며, 공전주기가 2.1일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는 증거를 발견하였다. 또한 UBV 광도고선의 해를 W-D 코드를 사용하여 얻었다. 헝가리 Konkoly 천문대에서 관측한 ER Vuld의 UBVRI 광도곡선을 W-D 코드로 다시 분석하여 해를 얻었다. 우리가 1991년에 주성에 두개의 흑점이 있다고 가정하여 해를 구하였으나 광도곡선을 잘 맞추지 못하였었다. 이 연구에서는 세 개에 흑점을 적용하여 보다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었다. .

  • PDF

LBP 기법을 이용한 감귤식물류의 흑점병 인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tection of Blackspot in Citrus Plants Using LBP)

  • 이범수;유동영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1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972-975
    • /
    • 2021
  • 최근 한국 여름 기후의 열대화 현상이 급속화 됨에 따라 잦은 장마와 태풍으로 인해 방제 약품이 씻겨나가 방제가 제대로 안되는 경우가 많아졌다. 이는 식물과 작물들이 병해에 약해지는 계기를 만들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그 중 실내 농사가 어려운 감귤에 중점을 잡고 감귤에서 주로 나타나는 흑점 영상 인식에 대한 모델을 제안하였다. HSV 공간으로의 변환과 LBP 기법을 통해 간단하지만 인식률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고자 했다. 자원과 계산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모델을 간략화 하였으며 추후 스마트팜의 연구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태양의 북-남 비대칭성을 고려한 태양활동과 기후변화와의 관계 (On the Relation Between the Sun and Climate Change with the Solar North-South Asymmetry)

  • 조일현;곽영실;조경석;최호성;장헌영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제26권1호
    • /
    • pp.25-30
    • /
    • 2009
  • 태양의 북-남 비대칭성을 고려하여 태양활동과 기후변화 사이의 관계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흑점 수와 지구연평균 기온아노말리(temperature anomalies) 시계열을 이용하여 이동 상관계수를 계산하였고 상관계수의 부호가 바뀌는 시점을 태양의 북-남 비대칭성의 부호가 바뀌는 시점과 비교하였다. 상관계수의 부호는 1907년을 기준으로 음의 상관에서 양의 상관으로 바뀌었고 1985년을 기준으로 양의 상관이 을의 상관으로 바뀌었다. 이 둔 시점은 태양의 북-남 비대칭성의 부호가 바뀌는 시점과 잘 일치하였다. 흑점 수에 대한 기온아노말리 변화 그래프를 통해 태양활동과 기후변화 사이의 관계가 1907년과 1985년으로 나뉘어진 세 기간으로 분류되었고 각 기간에 대해서 기온아노말리의 흑점 수에 대한 상관계수를 계산하였다. 이를 통해 태양의 남반구에서 태양활동이 강할 때는 태양활동과 기후변화의 관계가 음의 상관을 보이고 북반구의 태양활동이 강할 때는 양의 상관을 보인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접촉쌍성 AB Andromedae의 측광해와 흑점모델 (PHOTOMETRIC SOLUTIONS AND SPOT MODEL OF THE CONTACT BINARY AB ANDROMEDAE)

  • 이재우;김천휘;한원용;진호;오규동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제20권2호
    • /
    • pp.123-132
    • /
    • 2003
  • 1995년 11월부터 1999년 12월까지 총 10일간 W형 접촉쌍성 AB And를 소백산천문대의 61cm 망원경과 BVR필터를 사용하여 CCD 측광관측을 수행하였다. 우리의 관측으로부터 AB And의 1995, 1996그리고 1999년에 걸친 년도별 광도곡선을 완성하였고, 8개의 새로운 극심시각을 결정하였다. 새로 얻은 광도곡선은 AB And가 지난 5년 동안 심한 광도변화를 겪어왔음을 보여주고 있다. 기준 광도곡선으로 선정된 1996년의 광도곡선을 Wilson-Devinney쌍성모델의 접촉모드에 적용하여 AB And의 측광해를 구하였다. 이 분석에서 광도변화의 원인을 흑점에 의한 것으로 가정하여 시스템 인자들을 산출한 후, 단지 흑점만을 조정인자로 하여 1995년과 1999년 광도곡선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우리는 광도변화가 반성 표면 위에 hot spot과 cool spot가 동시에 존재해서 일어난다고 해석하였다. 반성 표면 위의 hot spot는 이재우(1999)가 제안한 질량교환에 의한 것으로 유추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