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흑연코팅

Search Result 73,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Study on the Electrical Properties of Graphite by $TiO_2$ Coating ($TiO_2$ 코팅에 의한 흑연의 전기적 특성연구)

  • 최승도;문흥수;박병규;이태근;김철진;이석근
    • Korean Journal of Crystallography
    • /
    • v.10 no.1
    • /
    • pp.9-12
    • /
    • 1999
  • TiO2로 수열코팅하여 표면 개질한 흑연의 미세구조 및 전기적 특성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수열합성에 의해 코팅된 TiO2는 rutile 상이였고, 흑연의 소결정을 증대하였다. 온도에 따라 흑연의 소결성 및 밀도는 증가하였고, 코팅된 TiO2에 의한 흑연의 산화로 저항은 증가하였고 1100℃ 이상에서는 포화되었다.

  • PDF

Modification of Graphite Surface By the Hydrothermal Coating of $TiO_2$ ($TiO_2$ 수열코팅에 의한 흑연의 표면 개질)

  • 최승도;박병규
    • Korean Journal of Crystallography
    • /
    • v.8 no.2
    • /
    • pp.154-159
    • /
    • 1997
  • Hydorthemal coating technique has been sucessfully applied to improve oxidation resistance of graphite by forming rutile-TiO2 layer. Hydrothermal treatment of graphite in 0.2M TiCl4 aquous solution at 35℃ resulted in improved water wettability due to the formation of surface-modifying TiO2. The amount of TiO2 increased with temperature. In the presence of surface TiO2 layer, weight loss was reduced by 30%, while the initiation temperature of oxidation was lowered by 30℃.

  • PDF

CVD에 의한 흑연페블의 SiC 코팅기술 개발

  • Yu, In-Geun;Park, Lee-Hyeon;An, Mu-Yeong;Gu, Deok-Yeong;Jo, Seung-Ye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2.02a
    • /
    • pp.231-231
    • /
    • 2012
  • 7개 나라가 참여해서 공동으로 제작하고 있는 국제핵융합실험로(ITER)는 2020년경에 제작 설치가 완료될 예정이다. ITER 장치에는 6개의 시험 블랑켓 모듈(Test Blanket Module : TBM)이 장착될 예정이며, 그 중에서 한국도 1개를 독자적으로 제작해서 설치할 예정이다. 한국형 헬륨 냉각 고체형 증식(Helium Cooled Solid Breeder : HCSB) TBM이며, 한국은 ITER 참여국 중 유일하게 중성자 반사 재료를 채택한 것이 특징이다. 중성자 반사재료로는 지름 1 mm 내외의 흑연 페블에 SiC를 코팅해서 사용할 예정이다. SiC는 고온저방사화 물질로 차세대 핵융합로의 구조 재료로도 개발되고 있는 물질로, 이렇게 하면 흑연의 단점인 기계적 특성 향상뿐만 아니라, 산화나 화재 등에 대한 사고의 부담도 크게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흑연위에 SiC를 코팅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으며, 그 중에서 비교적 간단한 건식 방법은 RF Sputtering, PECVD 등이 있다. 건식은 코팅방법이 간단하고 비교적 쉬운 편이지만 페블표면에 양질의 SiC 박막을 얻기가 쉽지 않은 단점이 있다. 이들 방법보다 습식법은 코팅이 까다롭지만 양질의 코팅막을 비교적 쉽게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VD의 경우 전구체 물질로 여러 가지 물질이 사용될 수 있으며 대표적으로 $SiH_4$, $Si(CH_3)_4$, $CH_3SiCl_3$ 등이 있으며, 캐리어 가스로는 $H_2$가 사용된다. 이렇게 얻어진 SiC 코팅페블은 흑연에 비해 파괴강도도 향상되고 마모 등에 강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Fabrication of Double-layered Carbon Materials for Li-ion Battery (리튬이온 2차 전지용 이중층 탄소재료의 제조)

  • 임연수;정승훈;김희석
    • Journal of the Korean Ceramic Society
    • /
    • v.38 no.3
    • /
    • pp.293-299
    • /
    • 2001
  • 이중층 탄소재료가 콜타르핏치와 메조페이스 핏치, 인조흑연, 천연흑연과 코크스를 사용하여 제조되었다. 콜타르 핏치는 톨루엔이나 경유와 같은 유기용매에 용해되어 코팅재로 사용되었다. 메조페이스 핏치, 인조흑연, 천연흑연 및 코크에 대한 콜타르 핏치의 코팅은 X선 회절분석과 CHN 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코팅된 탄소재료를 질소분위기의 800-100$0^{\circ}C$에서 열처리한 후 리튬이온 전지의 음극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2$600^{\circ}C$에서 열처리하였다. 이중층 탄소재료의 성능평가는 동전형태의 반쪽전지를 통해 수행되었는데, 평가는 음극으로서의 충전과 방전을 통해 수행되었다. 이런 충.방전 능력은 탄소재료의 열처리 온도의 변화나 전구체의 종류에 따라 달리 나타났지만 코팅방법의 차이에 의해서는 큰 차이가 없었다. 열처리를 80$0^{\circ}C$에서 한 경우가 100$0^{\circ}C$에서 한 경우보다 높은 충.방전 능력을 나타내었고, 2$600^{\circ}C$에서 흑연화된 것보다 탄화된 재료들이 높은 충.방전 능력을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음극재료의 성능은 결정화도, 조성 및 탄소재료의 미세구조에 따라 달라짐을 알 수 있었다.

  • PDF

중성자 반사 재료의 연구개발

  • Yu, In-Geun;Jo, Seung-Yeon;An, Mu-Yeong;Gu, Deok-Yeong;Park, Lee-Hyeon;Kim, Tae-Gyu;Yun, Han-Gi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1.02a
    • /
    • pp.415-415
    • /
    • 2011
  • 국제핵융합실험로(ITER)에 장착되는 한국형 헬륨 냉각 고체형 증식(Helium Cooled Solid Breeder : HCSB) 시험 블랑켓(Test Blanket Module : TBM)은 ITER 참여국 중 유일하게 중성자 반사 재료를 채택한 것이 특징이다. 중성자 반사재료로는 지름 1 mm 내외의 흑연 페블을 사용 할 예정이다. 흑연은 중성자 반사특성은 우수하지만 기계적 특성이 비교적 좋지 않다는 단점이있다. 뿐만 아니라, 산화나 화재 등에 대해서도 취약하기 때문에 흑연이 노출된 상태로 사용하는 것은 위험부담이 클 수밖에 없다. 따라서 흑연을 코팅해서 사용하기 위한 연구개발이 진행 중이며, 코팅 후보물질로는 저방사화 및 고경도의 특성을 갖는 SiC가 유력시 되고 있다. 흑연위에 SiC를 코팅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으며, 그 중에서 비교적 간단한 RF Sputtering, PECVD를 이용해서 SiC를 코팅하고 그 특성을 평가했다. RF Sputtering에서 흑연의 온도를 상온으로 두었을 때는 SiC가 결정으로 성장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900^{\circ}C$ 이상의 온도에서 열처리과정을 거친 후 결정이 형성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열처리 온도가 $1200^{\circ}C$ 부근에서는 SiC nano-wire가 형성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PECVD의 경우 전구체 물질로 사용된 $SiH_4$$CH_4$의 비율에 따라서 SiC의 형성비율이 다른 것을 알 수 있었으며, 결정 상태는 성장시 기판온도에 크게 의존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최근에는 보다 효율적으로 SiC를 코팅하기 위하여 흑연페블을 spouting시키면서 코팅할 수 있는 CVD 장치를 설계-제작했으며, 전구체 물질로는 $SiH_4$, $Si(CH_3)_4$, $CH_3$ $SiCl_3$ 등이 사용될 예정이다.

  • PDF

A Study on PVD coating technology for Metallic Bipolar Plate Forming Mold (연료전지용 금속분리판 성형 금형 장수명화 코팅 기술 연구)

  • Kim, Eun-Yeong;Jeon, Yu-Taek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1.02a
    • /
    • pp.166-166
    • /
    • 2011
  • 연료전지 핵심 부품 가운데 하나인 분리판(Bipolar plate)는 막전극체(MEA), 기체확산층(GDL)과 함께 발생한 전류의 수집 및 전달, 반응 가스의 수송, 반응/생성물의 수송 및 제거, 반응열 제거 등을 위한 냉각수 전달 등의 다양한 역할을 담당한다. 이러한 역할을 위하여 분리판은 우수한 전기전도성, 열전도성, 화학적 안정성이 요구되어 진다. 기존의 연료전지용 분리판은 흑연계 소재 및 수지와 흑연을 혼합한 복합 흑연 재료를 통해 제조하여 요구 되어지는 물성을 만족시켜 왔으나 흑연계 분리판의 경우 강도 및 가스 밀폐성 측면에서 낮은 특성을 보이며 특히 고가의 제조 공정 비용과 낮은 양산성으로 인하여 자동차 연료전지 상용화에 수많은 해결 과제를 안고 있었다. 흑연계 분리판의 이러한 문제점을 대체하기 위한 연구로 최근 금속계 분리판의 적용 및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특히 금속계 분리판은 양산 제조 공정이 적용 가능하여 대량생산이 가능하며 자동차 연료전지 스택의 경량화 및 박판화가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박판의 스테인리스강을 소재로 적용한 금속분리판의 양산을 위하여 반드시 선행되어야 할 연구가 바로 금형 코팅 연구이다. 일반 자동차 생산 금형을 평균 약 50만타로 예측한다면 연료전지 금속계 분리판 성형 금형의 현재 수명은 약 10만타로 추정 가능하다. 이러한 원인은 고하중의 프레스 사용과 정밀 금형으로 인한 극한 공정 조건으로 야기된 결과이며 문제 해결을 위하여 성형 금형에 PVD 코팅 적용 연구를 진행하였다. 성형 금형의 PVD 코팅 적용을 통하여 금형 교체 주기 감소를 통한 생산 원가 절감 및 이형성 개선을 통한 성형성 확보를 목표로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 PDF

Electrochemical Performance of PFO Pitch coated Natural Graphite using Dry Speed Mixer (건식 스피드 믹서를 이용한 PFO 피치 코팅 천연 흑연의 전기화학적 성능)

  • Youn, Jae Woong;Lee, Jong Dae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v.59 no.3
    • /
    • pp.410-416
    • /
    • 2021
  • To improve the capacity and stability of natural graphite, the electrochemical performances were investigated by using the prepared natural graphite coated with petroleum pitch for anode materials. The pitch coated natural graphite was prepared using a dry speed mixer by adjusting the rotation speed of the mixer, time, composition of graphite and softening point of the pitch.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anode material were analyzed using SEM, TEM, and PSD. The electrochemical performances were investigated by cycle, C-rate, EIS and CV test. When the pitch coated natural graphite was tested in the condition of 9000 RPM, 10 wt%, 2 h, and softening point of 150 ℃, it showed the highest capacity of 324.5 mAh/g at 0.1 C and a capacity retention rate of 98.9% after 50 cycles. In the test for evaluating rate performance, the capacity retention rate (5 C/0.1 C) was 80.3% and was improved by about 1.7 times over the pristine natural graphite.

Improving the Electrochemical Properties of Lithium Terephthalate-based Lithium-Organic Battery with A Graphite Coated Current Collector (흑연 코팅 집전체를 이용한 Lithium Terephthalate 기반 리튬-유기 이차전지의 전기화학적 특성 개선)

  • Kwon, O Hyeon;Kim, Jong Bin;Kim, Jae-Kwang
    • Journal of the Korean Electrochemical Society
    • /
    • v.22 no.3
    • /
    • pp.122-127
    • /
    • 2019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 the electrochemical performance of lithium terephthalate (LTA) battery using graphite coated metal current collector to overcome the disadvantages of organic batteries which is high interfacial resistance between current collector and electrode. The LTA anode material is synthesized by acid-based ion exchange reaction without impurities. The contact properties between stick-type LTA-based electrode and graphite coated current collector are estimated by the cross-section SEM and EIS. The graphite coated current collector significantly reduced the interfacial resistance of the LTA battery. The second discharge capacities of bare current collector LTA and graphite coated current collector LTA batteries are 107.6 mAh/g and 148.8 mAh/g at 0.1C, respectively. The graphite coated current collector LTA batteries show higher cycle life, higher discharge capacity, and higher rate-capability than bare LTA batteries.

Reforming of Expanded Graphite for Improving Fire Resistance of Fireproof Sealant (방화용 실란트의 내화성 향상을 위한 첨가제로서 팽창흑연의 개질)

  • Hong, In Kwon;Lee, Won Jae;Lim, Hyun Seok;Lee, Seung Bum
    • Applied Chemistry for Engineering
    • /
    • v.28 no.4
    • /
    • pp.437-441
    • /
    • 2017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volumetric expansion ratio and hardness of expanded graphite after coating with various resins which were used as an additive of fireproof sealant. The coating thickness of the resin, which represents the coating rate, was dependent of the drying speed of the resin and the viscosity of the resin. Therefore the coating thickness was shown as follows: polyvinyl acetate > acrylic resin > urethane resin > water soluble latex. Furthermore, the volumetric expansion ratio was as follows: urethane resin > water soluble latex > acrylic resin > polyinyl acetate and the hardness was as follows: polyvinyl acetate resin > acrylic resin > water soluble latex > urethane resin. This showed that the volume of expansion was reduced by expansion, which was not covered by coating, but significantly increased by increasing hardness and allowed it to be used as a refractory addition. According to the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the optimized addition amount and stirring speed of acrylic resin were 37.6 wt% and 441.4 rpm, respectively.

Accurate Measurement of the Thermal Conductivity of Electronic Materials Using the Flash Method (섬광법을 이용한 전자재료의 열전도율 정밀측정)

  • Kim, Seog-Kwa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Conference
    • /
    • 2008.11a
    • /
    • pp.9-9
    • /
    • 2008
  • 일반적으로 섬광법으로 열전도율을 구하기 위해서는 섬광법으로 열확산계수를 측정하고, 시차주사열량계(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DSC)로 비열측정을 하며 아르키메데스의 원리를 이용한 용적밀도를 구하여 이들 각각의 값을 사용하여 열전도율을 얻는다. 따라서 열전도율을 정밀하게 측정하기 위해서는 이 세 가지 물성치를 측정할 때 수반되는 오차요인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개선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섬광법으로 열확산계수를 측정할 때 시료의 전면에 조사되는 빛의 흡수율을 향상시키고 배면에서의 온도상승의 감지를 증대할 목적으로 시료 양면에 흑연코팅을 하게 된다. 이때 코팅된 흑연이 시료에 부가적으로 열저항을 증가시켜서 열확산계수를 측정하는데 가장 큰 오차요인이 되고 있다. 한편 비열은 대부분 DSC로 측정하는데, 시료와 용기의 열접촉 정도에 따라 큰 오차요인이 되기도 한다. 본 연구에서는 열확산계수를 정밀하게 측정하기 위해서 시료에 부가적인 열저항으로 작용하는 흑연코팅의 두께와 시료배면에서의 온도상승곡선 간의 상관관계를 실험식으로 도출하였으며 이방법은 열확산계수를 정밀하게 측정하는데 매우 유효한 방법임이 입증되었다. 또한 DSC의 접촉에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시료배면에서의 무차원 시간축(t/$t_{max}$)을 도입하였으며. 무차원 시간축에 따른 온도상승 곡선에서 표준시료와 측정시료의 half time($t_{1/2}$)의 0.5 배와 1.5배 사이 구간을 적분한 뒤 비교하여 열량계산으로부터 비열을 구하는 방법을 새롭게 개발하였으며 기존의 DSC에 비하여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새롭게 제안된 측정기법들은 열확산계수 및 비열 혹정 시의 근본적인 오차요인을 혁신적으로 해결함으로써 정밀하고 신뢰성 있는 열전도율을 측정할 수 있음을 입증할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