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휘발

검색결과 3,475건 처리시간 0.039초

Solid-Phase Microextraction(SPME)을 이용한 감식초의 휘발성 성분 분석 (Volatile Components in Persimmon Vinegars by Solid-Phase Microextraction)

  • 서지형;박난영;정용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153-156
    • /
    • 2001
  • 2단계 발효로 제조한 감식초를 static headspace-GC법과 SPME-GC법으로 휘발성 성분을 각각 포집 분석하여 상호간의 특성에 대해 조사하였다. 감식초의 휘발성 성분 포집조건은 $80^{\circ}C$에서 20분간으로 설정하였으며, 감식초 휘발성 성분의 total FID response는 CW/DVB fiber를 이용한 SPME법에서 total peak area $18.18{\times}10^6$로, static headspace-GC법의 total peak area $1.35{\times}10^6$보다 현저하게 높았다. 감식초의 주된 휘발성 성분으로 acetic acid, ethyl acetate, 3-hydroxy-2-butanone, ethanol, phenethyl alcohol 등이 확인되었으며, static headspace-GC법에서는 acid류 3종, aldehyde류 3종, alcohol류 5종, ester류 8종 및 ketone류 1종이 확인되었다. SPME-GC법에서는 acid류 6종, aldehyde류 7종, alcohol류 6종, ester류 9종, hydrocarbone류 2종, ketone류 1종, 기타 3종으로, 총 34종의 휘발성 성분이 확인되었으며, benzaldehyde, phenethylacetate, phenethylalcohol 등의 비율이 headspace-GC법에 비해 높았다.

  • PDF

전자코와 GC/MS를 이용한 포도 품종별 저장 조건에 따른 휘발성 향기 성분 연구 (Identification of Volatile Compounds of 4 Grape Species by Storage Conditions)

  • 이윤정;이기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7호
    • /
    • pp.874-880
    • /
    • 2007
  • 품종에 따른 포도를 이용하여 3일 동안 $4^{\circ}C$와 실온에 각각 저장함에 따라 변화하는 전체적인 향의 패턴을 전자코를 통하여 분석하였고 SPME-GC/MS 분석 결과를 통하여 휘발성분을 분리 동정하였다. 대표적인 포도의 주요 휘발 성분은 alcohols, esters, acids, terpenes 등으로 GC/MS 분석 결과 butanoic acid/ethyl ester와 1-hexanol, hexanoic acid/ethyl ester, phenylethyl alcohol 등이 주요 성분으로 동정되었다. 캠벨은 다른 품종에 비해 다양한 휘발 성분이 동정되었고 레드글로브와 머루 품종에서는 1-hexanol, 2-decene, 8-methyl-(z)/1-dodecanol 등을 제외한 나머지 휘발 성분은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전자코를 이용하여 휘발성 향기성분 패턴 분석결과 $4^{\circ}C$와 실온 저장한 시료의 제 1주성분 값의 기여율은 각각 99.30, 99.36%로 품종에 따라 구분이 가능하였다. $4^{\circ}C$ 저장 시 저장 기간에 따른 제 1주성분 값의 변화 범위는 실온에서 저장한 것에 비해 적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두릅의 휘발성 향기성분에 관한 연구 (Volatile Compounds Isolated from Edible Korean Fatsia Shoots (Aralia elata Seem.))

  • 김소미;정태영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9권5호
    • /
    • pp.389-397
    • /
    • 1996
  • 연속수증기증류장치를 이용하여 두릅으로부터 얻어진 휘발성농축물은 탄화수소구분 및 함산소구분으로 분리되었고, 함산소구분은 실리카겔 관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서 9개의 계대구분으로 다시 분획하였다. 기체크로마토그래피와 기체크로마토그래피에 질량분석계를 연결시킨 장치는 휘발성성분을 동정하기 위하여 사용하였다. 동정된 167개의 휘발성성분은 72개의 탄화수소, 31개의 알콜, 23개의 알데히드, 16개의 에스테르, 10개의 산, 6개의 케톤, 3개의 푸론, 2개의 페놀, 1개의 인돌, 1개의 산화물, 1개의 설파이드 및 1개의 락톤이었다. Sesquiterpene 탄화수소인 ${\beta}-caryopyllene$은 두릅에서 동정된 휘발성 성분중에서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19.53%를 차지하였다. 두릅정유는 관능검사용 기체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하여 각 구분에 함유된 개별 휘발성성분을 평가에 의해서 초목 모양의 향기를 함유하고 있음이 밝혀졌다.

  • PDF

비휘발성 캐시를 사용하는 플래시 메모리 SSD의 데이터베이스 로깅 성능 분석 (Performance Analysis of Flash Memory SSD with Non-volatile Cache for Log Storage)

  • 홍대용;오기환;강운학;이상원
    • 정보과학회 논문지
    • /
    • 제42권1호
    • /
    • pp.107-113
    • /
    • 2015
  •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서, 트랜잭션이 수행한 변경 사항은 커밋 전 2차 저장장치에 보존되어야 한다. 일반적 2차 저장장치는 비휘발성 미디어의 처리 지연을 보완하기 위해 휘발성 DRAM 캐시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휘발성 DRAM에만 쓰여지는 로그들은 영구성을 보장할 수 없으므로, DRAM 캐시에서 저장매체로 로그를 쓰는 지연 시간을 감출 수 없다. 최근 이러한 단점 극복을 목적으로 DRAM 캐시에 커패시터를 장착한 플래시 SSD가 등장하였다. 이러한 비휘발성 캐시를 가지는 저장 장치는 DRAM 캐시에 로그를 쓰고 즉시 커밋 가능하므로, 커밋 대기를 줄이고 트랜잭션 처리량을 증가시킬 것이다. 본 논문은 커패시터 백업 캐시를 사용한 SSD를 로그 저장소로 사용한 경우 데이터베이스의 트랜잭션 처리 성능에 대해 실험 및 분석 한다. 로그를 낸드 플래시에 저장하지 않고 DRAM 캐시에 저장한 직후 커밋 함으로써, 3배 이상의 처리량 향상이 가능하다. 또한 적절한 튜닝을 거친 후 이상적 로그 성능의 73% 이상을 보인다.

저널링 파일 시스템을 위한 비휘발성 메모리 기반 병행적 저널링 기법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NVM-based Concurrent Journaling Scheme)

  • 박수희;이은영;한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7호
    • /
    • pp.157-163
    • /
    • 2021
  • 파일 시스템에서 하나의 쓰기 연산은 여러 데이터를 수정할 수 있지만, 이러한 파일 시스템의 변경들은 원자적으로 디스크에 써지지 않는다. 따라서 파일 시스템의 일관성을 위해 기존의 저널링 기법은 시스템 성능을 저하시키는 대신 충돌 일관성을 보장한다. 비휘발성 메모리를 저널 공간으로 사용하면 비휘발성 메모리의 낮은 지연 시간과 바이트 수준 접근성으로 성능 저하를 완화시킬 수 있다고 알려졌다. 그러나 비휘발성 메모리를 고려한 저널링 기법 중에서 확장성을 제공하는 것은 없다. 본 논문에서는 확장적 저널링을 위해 비휘발성 메모리상의 저널 공간을 여러 영역으로 분할하여 한 영역에 집중된 연산을 분산시킨다. 또한, 저널 영역별로 입출력 쓰레드를 두어 저장 장치에 데이터 쓰기 연산을 가속화한다. 제안된 기법을 JFS에 적용하여 고성능 저장장치를 탑재한 멀티코어 서버에서 이를 평가한다. 평가 결과는 제안된 기법이 기존의 NVM 기반 저널링 파일 시스템의 기법보다 성능이 우수함을 보여준다.

모시대(Adenophora remotiflora) 추출물의 휘발성 성분 및 항산화 활성 (Volatile Compound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Adenophora remotiflora)

  • 김성향;최향숙;이미순;정미숙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109-113
    • /
    • 2007
  • 신선 및 자연건조 모시대의 휘발성 성분을 SDE 방법으로 추출한 후 GC 및 GC/M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모시대의 휘발성 성분 추출물을 시료로 하여 linoleic acid system과 DPPH 방법으로 유리라디칼 소거 활성을 측정하였다. 신선한 모시대에서 산류 4종, 알데하이드류 7종, 알코올류 12종, 에스터류 9종, 탄화수소류 23종, 케톤류 2종 및 기타 3종의 총 60종 휘발성 성분이 확인되었다. 자연건조한 모시대에서 확인된 성분은 총 72종으로 산류 6종, 알데하이드류 11종, 알코올류 14종, 에스터류 10종, 탄화수소류 25종, 케톤류 3종 및 기타 3종이었다. Linoleic acid peroxidation 억제효과를 살펴보면, BHT가 가장 높은 억제 효과가 나타났고 ${\alpha}-tocopherol$과 비교하였을 때 신선한 모시대 추출물의 휘발성 성분의 억제효과가 높았으며, 자연건조 시료는 동일하였고 동결건조 시료는 낮게 나타났다. 또한 모시대 휘발성 성분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DPPH로 측정한 결과, BHT가 가장 높았으며 자연건조한 모시대의 휘발성 성분이 ${\alpha}-tocopherol$ 보다 높은 유리라디칼 소거활성을 보였으며 신선한 모시대의 휘발성 성분도 ${\alpha}-tocopherol$과 같은 수준의 활성을 나타내었고 동결건조 시료는 낮게 나타났다.

녹차엽의 채취 시기와 재배지역에 따른 휘발성 향기 성분의 변화 (Changes in Volatile Compounds of Green Tea during Growing Season at Different Culture Areas)

  • 이주연;왕려비;백주현;박승국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246-254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녹차엽의 채취 시기와 재배지역에 따른 휘발성 향기성분의 종류, 차이, 그리고 변화를 비교하기 위하여 제주와 전남지역에서 재배한 차의 생엽을 시기별로 채취하였다. 녹차엽의 휘발성 향기 성분은 SPME를 사용하여 포집, 흡착하여 GC, GC-MS, GC-O, 그리고 retention time을 이용하여 분리된 성분을 분석, 동정하였다. 녹차엽의 휘발성분의 양은 수분함량을 고려한 건조함량을 기준으로 정량하였다. 수분함량은 생엽이 78-80%, 건조엽이 3.20-4.98% 정도였다. 휘발성 향기성분의 흡착에 사용되는 SPME 방법은 이전의 여러 방법에 비해 분석시간이 짧고 본래의 향이 아닌 방해성분의 생성이 적은 장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SPME fiber는 7.4%의 높은 재현성을 가졌으며 표준물질(ethyl n-heptanoate)의 내부표준법에 의한 재현성 결과에서는 불안정한 peak area값(RSD 30.5-98.7%)을 가져 3.47%의 재현성 결과를 가진 외부표준법을 사용하였다. 시기에 따른 휘발성 향기 성분을 비교한 결과, 5월에 채취한 생엽의 휘발량이 가장 많았으며, Group I과 Group II 향기특성의 함량비율이 균형적이었다. 휘발량이 가장 많았던 5월에 채취한 생엽을 제주와 전남의 재배지역으로 구분하여 비교한 결과, 주 성분은 Z-3-hexenal, linalool, E-2-hexenol, n-hexanal, Z-linalool oxide, myrcene, benzyl alcohol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채엽 시기가 녹차의 향기 특성에 영향을 주며, 채엽 시기가 같더라도 지역에 따라 향기가 다른 녹차가 제조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본 연구는 녹차를 지역에 따라 구분하는 데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발효방법 및 대두품종을 달리한 청국장의 향기성분 (Volatile Compounds of Chonggugjang Prepared by Different Fermentation Methods and Soybean Cultivars)

  • 유선미;김행란;김진숙;장창문;최정숙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2권2호
    • /
    • pp.111-115
    • /
    • 1999
  • 발효방법에 따른 청국장의 휘발성 성분을 비교 조사하기 위해 증자대두에 Bacillus subtilis를 접종시킨 시험구(I), 1차 종균으로서 Lactobacilli(ll) 혹은 Aspergillus oryzae(III)를 접종시켜 소정시간 발효후 Bacillus subtilis를 추가 접종시킨 시험구, 그리고 볏짚을 접종원으로 한 시험구(IV)의 청국장제품을 각각 연속증류추출장치를 사용하여 휘발성 성분을 추출 농축하고 GC와 GC/MS를 이용하여 휘발성 성분을 분석 동정하였다. 그 결과 Bacillus subtilis 단용 발효구(I)와 볏짚을 접종원으로 사용한 시험구(IV)에서 각각 35종과 46종의 휘발성 성분이 검출되었고 Lactobacilli처리구(II)에서는 29종의 휘발성 성분이 검출되었는데 시험구(I), (IV)에 비해 향미성분으로 알려진 2,3,5-trimethyl pyrazine, 2,5-dimethyl pyrazine 등의 함량이 각각 2.2배, 1.5배 증가되었다. 또한 Asp. oryzae처리구(III)에서는 총 36종의 휘발성 성분이 분리 동정되었고 이들 성분 중에서 hexadecanoic acid, 2-methyl pyrazine성분이 많이 검출된 반면 청국장의 불쾌취로 알려진 butyric valeric acid는 검출되지 않았다. 대두 품종별로 제조한 청국장의 휘발성 성분을 비교 검토한 결과 신팔달콩을 원료대두로 사용한 시험구의 청국장이 향미성분은 증가한 반면 불쾌취 성분은 감소되었다.

  • PDF

600°C에서 제지류 소각시 발생하는 휘발성 유기화합물 농도분석 연구 (Analysis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Produced from Incineration of Papers at 600°C)

  • 이병규;조정범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1권10호
    • /
    • pp.1109-1116
    • /
    • 2002
  • 본 연구는 제지류를 소각 처리할 때 발생하는 각종 휘발성 유기화합물에 대한 배출농도를 분석하였다. 실험대상으로는 일상생활에서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는 제지류를 A4용지류 (A4 새종이, A4 잉크젯, A4레이져), 신문용지류 (콩기름 신문, 일반 신문), 포장용 Box지, 서류봉투류, 일회용 종이컵류, 화장지류로 분류하였고, 분류된 제지류의 수분함량과 소각시 발생하는 휘발성 유기화합물농도와 소각 재 함량을 분석하였다. 제지류 소각시 발생되는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Furan계, Aldehyde계, Aromatic계, Aliphatic Alkene계, Aliphatic Alkane계, Chlorine계, Ketone계로 분류할 때 가장 많이 발생하는 VOCs로는 Furan계로서 전체 배출농도의 57.4%였고, 그 다음으로 Aromatic계 (22.8%), Aliphatic Alkene계 (14.9%)의 순으로 놀은 평균농도를 나타냈다. 발생되는 휘발성 유기화합물 중 이중 결합을 포함하는 화합물 (Aromatic계, Aliphatic Alkene계, Ketone 및 Aldehyde계)틀의 상대적인 배출비중은 전체 배출농도에 대해 약 40.8%로써, 제지류의 소각에서 발생되는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40% 이상이 대기 중의 오존, 광화적 산화물 및 스모그의 전구체로써 작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연구 사용된 전체 혼합 제지류 소각시 휘발성 유기화합물중 대표적인 발암성 물질인 Benzene, dichlorornethane, chloroform도 각각 60.5 ug/g, 0.8 ug/g 및 0.1 ug/g 정도 발생될 수 있음을 볼 수 있었다. 따라서, 소형 소각로에서의 제지류의 소각시 상당량의 발암성물질도 배출되므로, 소형 소각로에서도 적절한 VOCs의 제어장치가 꼭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10가지의 제지류가 가지고 있는 평균 수분함량은 7.2% 정도로써 일반적인 도시폐기물의 제지류 수분함량 (4.5~10%)에 속하는 결과를 보였으며, 평균 9.0 %의 소각잔재 (BottomAsh) 함유량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제지류를 소형 소각로에서 소각시 유해 휘발성유기화합물의 발생에도 불구하고, 적절한 대기오염 방지시설을 설치한다면 소각처리가 폐기물 부피감소 측면으로는 상당한 경제적 타당성을 가지고 있음을 암시한다.

서울시 도로변 빗물과 지하수의 VOCs오염 (Volatile Organic Compounds contamination in some urban runoff and groundwater samples in Seoul City)

  • 이평구;박성원;전치완;신성천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6권3호
    • /
    • pp.73-91
    • /
    • 2001
  • 미국지질조사소 NAWQA 프로그램에서 선정한 기준에 따라, 도시지역에서 채취한 도로를 흐르는 빗물과 일부 지하수의 휘발성유기화합물의 오염을 평가하기 위해 62개 휘발성유기화합물을 선택하였다. 62개 휘발성유기화합물은 3종류의 aromatic hydrocarbons, 13 종류의 alkyl benzenes, 1개의 ether, 26종류의 halogenated alkanes, 10종류의 halogenated alkenes 및 9종류의 halogenated aromatics를 포함하고 있다. 서울시 지역의 도로를 흐르는 빗물과 지하수의 휘발성유기화합물의 함량은 2000년 3월, 6월 및 11월에 시료를 채취하여 분석하였다. 모두 78개 시료(44개 도로를 흐르는 빗물시료, 27개 지하수 시료, 7개 하수종말처리장의 시료)가 채취되었으며, purge and trap 방법으로 추출하여 GC-MS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alkyl benzenes과 aromatic hydrocarbons이 서울지역에서 자동차 통행에 의해 가장 영향을 받는 유기화합물이다. 분석된 62개 휘발성 유기화합물 중, 도로에 흐르는 빗물에서 검출되지 않은 휘발성유기화합물 성분은 단지 11개 성분뿐이었으나, 채취된 지하수에서 검출된 휘발성유기화합물은 14개 성분만이 검출되었다. 도로를 흐르는 빗물에서의 톨루엔 함량은 시료 채취 장소에 따라 변화가 매우 심하고, 0.1-29,310ppb이다. 벤젠의 함량은 0.05-33.0ppb, ethylbenzene은 0.05-960ppb, trichloromethane(chloroform)은 0.08-20ppb, trichloroethylene(TCE)는 0.03-4.30ppb, 1,1,2 trichloroethane은 0.1-50.0ppb이다. 채취된 일부 지하수 시료에 대한 예비조사 결과, dichloromethane(methylene chloride), trichloromethane(chloroform)와 toluene 등이 가장 자주 검출되는 성분이었다. 대부분의 aromatic hydrocarbons, alkyl benzenes및 다른 유기용매 성분은 검출농도 이하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