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휘발

검색결과 3,476건 처리시간 0.027초

Relationships of TVOC with Several Aromatic Hydrocarbon Constituents at Preschool Facilities

  • Yoon, Chung-Sik;Choi, In-Ja;Ha, Kwon-Chul;Park, Dong-Uk;Park, Doo-Yong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404-411
    • /
    • 2006
  • 이 연구의 목적은 유치원에서 총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농도를 평가하고, 총 휘발성 유기화합물 농도와 대표적인 8개 방향족 화합물의 상관관계를 조사하는데 있다. 도시에 위치한 11개 유치원의 실내와 실외에서 각각 30개, 11개의 지역시료를, 시골에 위치한 4개 유치원에서는 각각 10개, 4개의 시료를 테낙스 튜브를 이용하여 오전에 1-2시간 채취하였다. 채취한 시료는 열탈착하여 가스크로마토그래피-질량분석기로 분석하였다. 13가지 물질을 각각의 표준물질로 개별 정량하여 이중 빈번히 발견되는 8가지 방향족 유기화합물은 상관관계 평가에 사용하였다. 총 휘발성 유기화합물은 톨루엔을 기준으로 정량하였다. 도시에 위치한 유치원 실내의 총 휘발성 유기화합물 농도가 높았고, 조사 건수의 50%가 환경부 및 교육인적자원부의 가이드라인($400{\mu}g/m^{3}$)을 초과하였다. 도시지역의 유치원 실내 및 실외의 기하평균은 각각 $387.9{\mu}g/m^{3}$$134.9{\mu}g/m^{3}$이었고, 시골지역 유치원에서는 각각 $189.6{\mu}g/m^{3},;74.4{\mu}g/m^{3}$이었다. 톨루엔, 크실렌, 에틸벤젠, 정량한 유기 화합물 총합, 총 휘발성 유기화합물은 기하정규분포를 하였다. 벤젠, 톨루엔, 에틸벤젠, 크실렌(BTEX)은 도시에 위치한 유치원에서 농도도 높고, 총 휘발성 유기화합물중 함량도 높았고, 시골지역에서는 농도와 상대적 함량이 낮았다. 도시지역에서는 총 휘발성 유기화합물 중 BTEX의 비중이 25.2%였고 정량한 13가지 유기화합물 중에서는 35.6%를 차지하였다. BTEX 각각 개별물질은 미국 환경보호청이 제시하는 일일 노출 기준량(Reference Concentration; RfC) 보다는 현저히 낮았다. 총 휘발성 유기화합물읜 농도는 실내가 실외 보다 높았다(I/O ratio 2.5). BTEX의 상대적 함량도 실내가 실외보다 높아 실내에도 발생원이 있음을 암시하고 있다. 자료 분석결과 유치원 실내의 벤젠은 실외로부터 유입되고 있었고, 톨루엔, 에틸벤젠, 크실렌은 실외뿐 아니라 실내에서도 발생하고 있었다. 정량한 8개 화합물 각각과 총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스피어만 상관계수는 벤젠을 제외하고는 모두 유의하였다. 이중 톨루엔과 크실렌은 총 휘발성 유기화합물과 좋은 상관성 (톨루엔 0.76, 크실렌, 0.87)을 나타내었다. 이 연구는 톨루엔과 크실렌이 총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좋은 지표를 사용될 있고, 톨루엔, 에틸벤젠, 크실렌 등 많은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발생원은 실외뿐 아니라 실내에도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담체교반시스템을 이용한 바이오필터의 막힘을 자동제어하는 기술

  • 이태호
    • 환경기술인
    • /
    • 제24권통권254호
    • /
    • pp.54-59
    • /
    • 2007
  • 본 기술은 각종 산업시설과 환경 기초 시설로부터 대기중으로 배출되는 악취 및 휘발성 유기화합물(Volatile Organic Chemicals; VOC)을 미생물의 분해 작용을 활용하여 제거하는 장치로 오염 물질의 분해과정에서 미생물의 과다생장에 의한 악취 및 휘발성 유기화합물 제거장치의 막힘현상을 미생물 고정화 담체의 교반과 살수과정을 통해 담체표면의 생물막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오염 가스속에 함유되어 있는 악취 및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기술이다. 특히, 미생물 담체의 교반 장치는 미생물 고정화 담체를 교반시켜 생물막을 탈리 시킴으로써 미생물의 생장에 의한 막힘 현상과 이로 인한 압력 손실 증가와 악취 및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제거성능의 저하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 PDF

식용유 향에 대한 가스 센서의 과도응답 (Transient response of gas sensors to edible oil flavour)

  • 이정우;노봉수;정성민
    • 한국농업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업기계학회 2002년도 하계 학술대회 논문집
    • /
    • pp.388-393
    • /
    • 2002
  • 최근 국민 식생활이 서구화로 변화하면서 식용유의 수요량도 급격히 증대되었다. 식용유는 장기간 고온에서 사용하기 때문에 여러 종류의 화학반응이 발생하여 각종 휘발성 산화 생성물 및 비휘발성 산화 생성물이 생성된다 (Kim et al., 1999). 휘발성 산화 생성물은 고유의 휘발성 향(odor)성분을 발생시키는데 이것은 식품의 변질 유무 및 식품의 품질 평가에 기준으로 중요하게 이용된다. (Noh et al., 2000). 현재까지 식용유는 생산과정에서는 품질관리가 엄격하게 되어 왔지만 유통과정과 소비과정에서의 품질 관리와 풀질 검사 면에서는 미흡했던 것이 사실이다. (중략)

  • PDF

상업용 공기정화기 사용 차량 내 휘발성 유기물질 수준 (Volatile Organic Compound Levels inside Vehicles using Commercial Air Cleaning Devices)

  • Wan-Kuen Jo;Kun-Ho Park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6권6호
    • /
    • pp.659-670
    • /
    • 1997
  • 차량 내부의 높은 휘발성 유기물질 농도와 이들 휘발성 유기물질의 독성 때문에 휘발성 유기물 질에 대한 차량 내부에서의 노출이 주요한 관심을 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115회의 도시 지역 (대구 광역시) 출퇴근과 9회의 정차 실험을 통해 상업용 공기정화기의 6 종류 휘발성 유기물질에 대한 제거 효율이 평가되었다. 네 종류의 운전 조건에서 수행된 정차 및 출퇴근 연구 결과, 본 연구에서 이용된 두 개의 시중 시판 차량용 공기정화기는 휘발성 유기물질에 대해 제거 효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벤젠을 제외한 다섯 종류의 휘발성 유기물질의 농도는 최근 차량보다 오래된 차량 내부에서 높게 나타났다 (p<0.05). 본 연구에서 측정된 벤젠과 톨루엔의 평균 농도는 로스앤젤레스에서 측정된 값과 유사하게 나타났고, 그 이외의 미국내 비교지역의 측정 값보다는 높게 나타났다. 휘발성 유기물질에 대한 노출 및 해당 발암 위해성은 차량 내부에서 실외 공기의 약 8배 정도 높게, 그리고 실내 공기의 약 절반 정도로 산정 되었다.

  • PDF

자기조립된 금속나노입자를 이용한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 이장식
    • 한국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재료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12-12
    • /
    • 2011
  • 최근 휴대용 전자기기의 사용이 증가함에 따라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다양한 메모리 소자 중에서 현재는 플래시 메모리를 기반으로 하는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의 연구 및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경우 모든 반도체 메모리 소자 중에서 가장 빠른 발전 속도로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발전을 기반으로 스마트폰, 디지털 카메라, 태블릿 PC 등의 개발 및 대중화를 가져왔다. 이러한 플래시 메모리를 기반으로 하는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의 경우 반도체 소자의 발전을 주도하며 발전하고 있으나, 새로운 전자기기 및 소자(flexible electronics, printed electronics, organic electronics 등) 응용을 위해서는 저비용으로 쉽게 제작할 수 있는 메모리 소자의 개발이 필요하다. 이에 적합한 메모리 소자 구조는 기존 플래시 메모리 소자와 유사한 트랜지스터 기반의 메모리 소자라고 할 수 있다. 본 발표에서는 플래시 메모리 소자와 유사한 구조 및 동작 특성을 갖는 자기조립된 금속나노입자를 정보저장층으로 이용하는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개발에 대한 내용을 소개하고자 한다. MOS 캐패시터나 박막트랜지스터 내의 게이트 절연층에 자기조립된 금속 나노입자를 삽입하여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를 구현하였다. 게이트에 인가되는 전압에 따라 금속 나노입자 층에 전하를 trap/detrap 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거동에 따라 MOS 캐패시터 또는 트랜지스터 구조의 메모리 소자의 문턱전압 값이 변화하게 되어 program/erase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실리콘 게이트를 이용하는 메모리 소자, 다층의 정보저장층을 이용하는 메모리 소자, 프린팅 공정에 의해 형성된 메모리 소자 등 다양한 형태의 나노입자 기반 메모리 소자를 구현하였으며, 이러한 나노입자 기반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의 경우, 우수한 동작 특성 및 향상된 신뢰성을 보여주어, 차세대 메모리 소자로 이용하기에 적합한 특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대부분의 공정이 저온에서 가능하기 때문에 최종적인 메모리 소자의 플랫폼으로 플렉서블 플라스틱 기판을 이용하여, 유기트랜지스터 기반의 플렉서블 메모리 소자를 구현하였다. 본 발표에서는 다양한 형태의 나노입자 기반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의 제작 방법, 동작 특성, 신뢰성 평가 등에 대해 자세히 논의될 것이다.

  • PDF

당근 가공시 열처리 조건에 따른 휘발성 Terpenoids 함량 비교 (Comparison of Volatile Terpenoid Content from Thermal Processing Condition in Carrot)

  • 박신
    • 생명과학회지
    • /
    • 제12권5호
    • /
    • pp.589-594
    • /
    • 2002
  • 당근의 열처리 조건에 따른 휘발성 terpenoids 함량의 변화를 조사하였는데, 열처리 온도가 높을수록 휘발성 terpenoids가 많이 감소하였으며, 열처리 시간에 따른 휘발성 terpenoids는 $\alpha$-pinene 및 total terpenoids의 경우 최초 30분 동안 급속히 감속하였으며, 그 후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감소율이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당근주스의 살균 온도별, 시간별 휘발성 terpenoids의 변화를 조사한 결과, 살균온도가 높을수록 휘발성 terpenoids 함량이 빠른 속도로 감소함을 보여주고 있으며, 살균시간에 따른 휘발성 terpenoids의 함량은 최초 20분간 급속히 감소하다가 이후에는 완만하게 감소하였다. Total terpenoids의 경우 10$0^{\circ}C$에서 20분간 살균했을 시 6$0^{\circ}C$ 및 8$0^{\circ}C$에서 60분간 살균했을 시 보다 더 많이 감소하였는데, 당근주스의 휘발성terpenoids 함량을 줄이기 위해서는 고온단시간 살균이 저온장시간 살균보다 더 유리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폐열회수형 환기장치의 휘발성유기화함물 배출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lease Characteristics of VOCs from Heat Recovery Ventilation System)

  • 곽경민;배철호;김지용;주의성
    • 청정기술
    • /
    • 제13권4호
    • /
    • pp.281-286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폐열회수형 환기장치(전열교환기)로부터의 휘발성 유기화합물이 측정되었다. KS 냉방 및 난방표준조건하에서 휘발성유기화합물의 초기 배출특성을 연구하기 위하여 폐열회수 환기장치로부터 2종류의 열교환소자(L형과 M형)가 평가되었다. 휘발성 유기화합물은 다양한 풍량 변화와 운전시간 변화에 대하여 측정되었다. 본 연구의 분석방법 및 기기상의 한계로 인하여 농도가 비교적 큰 물질만을 살펴보니 페열회수 환기장치에서는 acetic acid, 2-butanone (MEK), 2-(methylthio)ethylamine, toluene, styrene 및 x-acids (Ion 57) 등의 6종의 휘발성 유기화합물이 배출됨을 확인하였다. 배출된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농도는 운전조건에 대해서는 크게 영향을 받지 않았다. 높은 작동온도 때문에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농도는 난방조건보다는 냉방조건에서 더 크게 나타났다.

  • PDF

쌀의 취반 후 휘발성 성분 발생량 변화 (Changes of Volatile Components of Cooked Rice during Storage at $70^{\circ}C$)

  • 이병영;손종록;송창호;구소규이;전천소남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610-613
    • /
    • 1991
  • 취반 후 시간경과에 따른 쌀밥의 주요 취발성성분의 발생량 변화를 구명하기 위하여 일본형과 통일형 각 5 품종을 10분도로 도정 공시료로 하여 취반 후 주요 휘발성성분의 발생량 변화를 조사하였던 바 가스크로마토 그람에 나타난 휘발성성분의 peak 수는 100여개가 넘었으며, 이중에서 아세톤, 브탄날, 팬탄날, 토우루엔, 핵산날, 햅탄날 및 노난날이 전체 peak 면적의 55% 정도를 차지하였다. 그리고 이들 휘발성성분 중 발생량이 가장 많은 것은 핵산날이었으며, 다음으로 아세톤, 팬탄날, 브탄날, 옥탄날 및 햅탄날 순위었으며, 토우루엔이 가장 적었다. 취반 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휘발성성분들의 발생량은 급격히 감소하여 취반 직후에 비하여 1시간 후에 50%로 떨어졌으며 5시간 후에는 11% 밖에 발생하지 않았다. 그리고 휘발성성분들 중 노난날은 취반직후보다 1시간 후에 더 많이 발생하며 발생속도도 다른 휘발성성분 보다 느렸다. 일본형과 통일형간의 휘발성 성분 발생량은 취반 직후에는 통일형이 일본형보다 많았으나 1시간 후부터는 일본형이 많았다.

  • PDF

도라지의 휘발성분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Volatile Components of Platycodon grandiflorus (jacquin) A.De Candolle)

  • 선우선;권재상;신평균;조성환;정진환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9권6호
    • /
    • pp.517-520
    • /
    • 1996
  • 재배도라지 3년근과 24년근을 SDE방법으로 추출하여 본 결과 휘발성분은 3년근에서 54.71 mg%, 24년근에서 80.01 mg%가 각각 포집되었다. 이들을 각각 GC/MS(TIC)로 분석한 결과 3년근에서는 24종 24년근에서는 28종의 휘발성분이 확인되었다. 특히 hexanol, trans-2-hexenol, nonanal의 휘발성분은 3년근에 비해 24년근에서 10배 이상 검출되었다. 도라지 24년근의 휘발성분을 GC/MS로 동정한 결과 주요성분으로 hydrocarbon류 10종, alcohol류 8종, aldehyde류 10종, ester류 5종, acid류 6종, 기타 1종의 휘발성분이 검출되었다. 도라지 휘발성분의 종류와 함량은 3년근보다 24년근에서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생양파와 부패된 양파의 휘발성 유기성분 분석 (Analysis of Volatile Organic Components from Fresh and Decayed Onions)

  • 박은령;고춘남;김성호;김경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1011-1020
    • /
    • 2001
  • SDE 추출방법 과 GC-FID와 GC/MS 분석에 의하여 서로 다른 저장조건에서 부패된 양파의 휘발성 유기성분을 분석하였다. 생양파, 비가열부패양파, 반부패양파, 완전부패양파에서 각각 115, 143, 123, 137종의 화합물이 확인되었으며, 이들은 ester류, aldehyde류, ketone류, alcohol류, 황함유 화합물류들이었다. Dimethyl trisulfide, dimethyl disulfide, diprnpyl trisulfide, 3,5-diethyl-1,2,4-trithiolane는 생양파와 비가열부패양파에서 다량 확인되었으며, 양파가 부패도에 따라 휘발성 유기성분들 중 황함유 화합물류는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황함유 화합물류를 제외한, 가열 후 반부패와 완전부패양파의 휘발성 유기성분은 주로 ester류, ketone류, alcohol류들이었으며, 특히 ketone류는 가열 후 완전부패 양파의 휘발성 유기성분의 구성에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 각각의 시료에는 170.3 mg/kg, 155.4 mg/kg, 121.2 mg/kg, 187.0 mg/kg 휘발성 유기 성분이 각각 함유되어 있었으며, 효소 불활성화에 의해 가열 후 반부패된 양파에서 휘발성 유기성분의 생성이 저하되었음을 알 수 있었으며,이를 계속하여 부패시킨 완전부패양파에서는 소량으로 함유되어 있던 휘발성 유기성분이 다시 증가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