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휘발성 유기 성분

Search Result 212,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Determination of the volatile flavor components of orange and grapefruit by simultaneous distillation-extraction (연속수증기증류추출법에 의한 오렌지와 자몽의 휘발성 유기화합물 확인)

  • Hong, Young Shin;Kim, Kyong Su
    • Food Science and Preservation
    • /
    • v.23 no.1
    • /
    • pp.63-73
    • /
    • 2016
  • The volatile flavor components of the fruit pulp and peel of orange (Citrus sinensis) and grapefruit (Citrus paradisi) were extracted by simultaneous distillation-extraction (SDE) using a solvent mixture of n-pentane and diethyl ether (1:1, v/v) and analyzed by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GC-MS). The total volatile flavor contents in the pulp and peel of orange were 120.55 and 4,510.81 mg/kg, respectively, while those in the pulp and peel of grapefruit were 195.60 and 4,223.68 mg/kg, respectively. The monoterpene limonene was identified as the major voltile flavor compound in both orange and grapefruit, exhibiting contents of 65.32 and 3,008.10 mg/kg in the pulp and peel of orange, respectively, and 105.00 and 1,870.24 mg/kg in the pulp and peel of grapefruit, respectively. Limonene, sabinene, ${\alpha}$-pinene, ${\beta}$-myrcene, linalool, (Z)-limonene oxide, and (E)-limonene oxide were the main volatile flavor components of both orange and grapefruit. The distinctive component of orange was valencene, while grapefruit contained (E)-caryophyllene and nootkatone. $\delta$-3-Carene, ${\alpha}$-terpinolene, borneol, citronellyl acetate, piperitone, and ${\beta}$-copaene were detected in orange but not in grapefruit. Conversely, grapefruit contained ${\beta}$-pinene, ${\alpha}$-terpinyl acetate, bicyclogermacrene, nootkatol, ${\beta}$-cubebene, and sesquisabinene, while orange did not. Phenylacetaldehyde, camphor, limona ketone and (Z)-caryophyllene were identified in the pulp of both fruits, while ${\alpha}$-thujene, citronellal, citronellol, ${\alpha}$-sinensal, ${\gamma}$-muurolene and germacrene D were detected in the peel of both fresh fruit samples.

MOCVD $Bi_4Ti_3O_{12}$ 박막의 실리콘 위에서의 증착기구 및 유기금속 원료의 펄스주입법에 의한 박막 특성 개선

  • 이석규;김준형;황민욱;엄명윤;김윤해;김진용;김형준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00.02a
    • /
    • pp.103-103
    • /
    • 2000
  • 강한 결정 방향 의존성과 낮은 항정계를 갖는 Bi4Ti3O12 강유전체 박막은 NDRO형 비휘발성 강유전체 메모리 분야에서 매우 유망한 재료이다. 이를 위해서는 실리콘 기판과의 계면조절과 실리콘 기판성에서 고품질의 강유전성 박막을 성장시키는 기술이 필수적이다. MOCVD에 의한 Bi4Ti3O12 의 증착에서는 Bi 성분의 강한 휘발 특성과 낮은 반응성으로 인하여 조성과 두께 등의 조절이 매우 어렵다. 따라서 화학기상증착의 기구를 이해하고 제어하는 기술이 양질의 박막을 얻는데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유기금속 원료 TPB, TIP 과 산소를 이용하여 실리콘 기판위에 Bi4Ti3O12 강유전체 박막을 증착할 때, 증착 변수의 변화에 따른 박막의 증착 거동과 구조적, 전기적 특성을 연계하여 분석하였다. 특히 기판부착력이 낮고 휘발성이 강한 Bi의 특성으로 인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하여 TIP원료를 주기적으로 공급, 중단을 반복하는 펄스주입법을 고안하여 그 효과를 살펴보았다. 실리콘 기판위에서 TiO2의 증착속도는 실험온도 영역에서 온도에 따라 변화하지 않는 전형적인 물질 전달에 의해 지배되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반면 Bi2O3 경우에는 50$0^{\circ}C$ 이상에서 급격하게 증착속도가 감소하는 특이한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이는 Bi2O3의 높은 휘발성 때문일 것이다. Bi4Ti3O12 박막은 온도증가에 따라 증착속도가 증가한 후 $600^{\circ}C$ 이상에서 포화되는 경향을 보였다. 이로부터 실리콘 기판위에서의 Bi4Ti3O12 박막의 증착 모델을 제시하였다. Bi2O3에 비해 상대적으로 표면 부착력이 월등히 큰 TiO2가 우선적으로 실리콘 펴면에 형성된 후 TPB 유기금속 원료가 이 TiO2와 반응하는 과정으로 Bi4Ti3O12 박막이 증착된다. $600^{\circ}C$이상에서는 증착 변수들을 바꾸어도 물성이 변하지 않는 자기조절기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는데 이는 고온에서의 Bi2O3의 강한 휘발성 때문일 것이다. 실리콘 기판에서 층상 페로브스카이트 상은 58$0^{\circ}C$ 이상에서 형성되며, 매우 좁은 온도 변화에도 결정구조, 박막현상 및 성분이 크게 바뀌는 온도에 민감한 증착거동이 관찰되었다. 증착 모델에서 예견되는 Bi의 불리함을 개선하기 위해 펄스주입법을 실시한 경우 Bi의 성분량이 증가되었고 결정성이 향상되었다. 이로부터 펄스주입법이 박막내에 부족하기 쉬운 Bi를 보충하여 박막의 특성을 개선함을 확인하였다. Bi4Ti3O12 박막의 증착온도에 따른 누설전류 특성 측정 결과 증착온도가 감소할수록 누설전류가 감소함을 알 수 있었고 펄스주입법이 연속주입법보다 더 낮은 누설전류를 보임을 알았다. 펄스주입법의 경우 -2.5V 인가 시의 누설전류는 7.4$\times$10-8A/cm2에서 1.3$\times$10+7A/cm2의 매우 우수한 값을 가졌다. 연속 주입법에 의해 증착된 박막은 C-V 측정 결과 강유전성 이력이 나타나지 않았으나, $600^{\circ}C$ 이상에서 펄스주입법에 의해 증착된 박박은 강유전성 이력을 나타내었다.

  • PDF

Concentration of Alcohols in Dilute Aqueous Solution by Pervaporation (투과증발을 이용한 알코올 농축)

  • 임군택;김현일;김성수
    • Proceedings of the Membrane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8.04a
    • /
    • pp.113-116
    • /
    • 1998
  • 1. 서론 : 투과증발을 이용한 분리공정은 현재 산업적으로 다양하게 응용되고 있다. 사탕수수에서 발효, 증류된 93%에탄올을 99.8% 이상의 무수에탄올로 농축하기 위해 물을 탈수하는 공정이 이미 상업화되어 있으며, 또, 반도체 웨이퍼나 LCD세정제로 사용되는 IPA 회수공정, 폐수나 대기중에 함유된 방향족, 염소계 탄화수소 등의 휘발성 유기성분(VOC)을 제거, 회수하는 유기물 농축공정에도 사용되고 이밖에 기존의 증류로 분리하기 힘들고, 에너지 사용량이 높은 유사한 유기혼합물의 분리에 사용되며 현재 메탄올/MTBE 및 에탄올/ETBE등의 혼합물을 분리하기 위해 투과증발 시스템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생략)

  • PDF

Estimation of the contributions from major sources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using receptor model with chemical loss (수용 모델에서 화학 반응을 고려한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배출원별 기여도 추정)

  • Na, Gwang-Sam;Kim, Yong-Pyo;Moon, Il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1999.10a
    • /
    • pp.77-80
    • /
    • 1999
  • 톨루엔, m-자일렌, o-자일렌, 1,2,4-삼메틸벤젠, 에틸렌 그리고 프로필렌 등과 같은 휘발성 유기화합물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들은 오존 생성과 직접 관련이 있으며, 벤젠은 발암 물질로 알려져 있다. 이처럼 VOC는 인체 및 환경과 밀접한 관계가 있기 때문에 이들 성분들에 대한 효율적인 관리와 저감 대책을 수립하는 일은 매우 중요하다. 이들 배출원이 수용지점(receptor site)에 얼마만큼 영향을 주는 가를 정량적으로 파악하여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는 관리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중략)

  • PDF

Characterization of Volatile OrganicCompounds Exhausted from Railroad Diesel Rolling Stocks (철도 디젤차량에서 배출되는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특성)

  • 박덕신;배상호;정우성;이덕희;김동술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3.11a
    • /
    • pp.382-383
    • /
    • 2003
  • 이동오염원에 의한 VOCs의 배출기여도를 산정 평가한 국내외의 자료에 따르면, 전체 VOCs 배출량 중 이동배출원에 의한 기여도는 미국이 26 %, 유럽이 38 %, 한국이 45 % 정도를 점할 정도로 비중이 큰 배출원으로서 주목을 받고 있다. 뿐만 아니라 배출성분 중에는 포름알데히드, 벤젠, 크실렌, 톨루엔, 1,3-butadiene 등과 같이 인체에 매우 유해한 성분이 상당수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은 주관리 대상 배출원으로 간주되고 있다. (중략)

  • PDF

Volatile Organic Compounds contamination in some urban runoff and groundwater samples in Seoul City (서울시 도로변 빗물과 지하수의 VOCs오염)

  • 이평구;박성원;전치완;신성천
    • Journal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 /
    • v.6 no.3
    • /
    • pp.73-91
    • /
    • 2001
  • compounds (VOCs) were selected for assessment of VOCs contamination in some urban runoff and groundwater samples in Seoul. They included 3 aromatic hydrocarbons, 13 alkyl benzenes, 1 ether, 26 halogenated alkanes, 10 halogenated alkenes, and 9 halogenated aromatics. The levels of VOCs in urban runoff and groundwater were measured for samples collected in March 2000, June 2000 and November 2000 in Seoul City. A total of 78 samples (44 run-off water, 27 groundwater, and 7 samples from 4 urban wastewater treatment plants in Seoul) were collected and analysed by GC-MS with purge and trap. After examination of the runoff, it was concluded that alkyl benzenes and aromatic hydrocarbons were organic compounds which were significantly impacted by traffic flows in Seoul. Of 62 VOCs, only 11 VOCs were not detected in runoff samples, while 14 VOCs were detected in 27 groundwater samples. The toluene content in the runoff was extremely variable from 0.1ppb to 29,310ppb, depending on the different sampling sites. The concentrations of xylene ranged between 0.07ppb and 2970ppb in the runoff. The concentrations ranged from 0.05ppb to 33.0ppb for benzene, 0.05ppb to 960ppb for ethylbenzene, 0.08ppb to 20ppb for trichloromethane (chloroform) , 0.03ppb to 4.30ppb for trichloroethylene(TCE) and 0.1ppb to 50ppb for 1,1,2-trichloroethane. From the preliminary study of groundwater from some wells in Seoul, the most frequently detected VOCs are djchlorornethane(methylene chloride), trichloromethane(chloroform) and toluene. Most of aromatic hydrocarbons, alkyl benzenes and other solvents generally lower than detection limits.

  • PDF

Continuous measurements of aromatic VOCs in a Northeast Region of Seoul during Winter (서울시 북동지점에서 휘발성 방향족유기화합물의 겨울철 연속 관측 연구)

  • 최여진;오상인;김기현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3.05b
    • /
    • pp.217-218
    • /
    • 2003
  • 오늘날 대기환경에 존재하는 여러 오염물질 중에서 오존의 생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질소산화물과 휘발성유기화합물 (volatile organic compound, VOC)의 대기 환경학적 역할의 중요성이 점차 부각되고 있다 (Liu et al., 2000. VOC는 비록 대기 중에 극미량 농도로 존재하지만, 이들 성분이 대기환경의 변화에 미치는 잠재적 영향력은 가늠하기 어려울 정도로 막대하다. 지금까지 도심환경에 대한 VOC 성분의 분포특성을 설명하기 위해, 주요 인위적 기원의 VOC 성분들의 주구성인자로 간주할 수 있는 benzene, toluene, ethyl benzene, xylene (일반적으로 이들을 총칭하여 BTEX라 한다)을 위시한 방향족 화합물의 핵심성분들에 대한 환경거동 및 단주기적 분포특성에 대한 관측이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수행되었다(eg., Keymeulen et al., 2001). (중략)

  • PDF

Volatile Compounds and Antiproliferative Effects of Dendropanax morbifera on HepG2 Cells (황칠나무의 휘발성 화합물 분석 및 HepG2 세포의 증식 억제 효과)

  • Yang, Seun-Ah;Garcia, Coralia V.;Lee, Ji-Won
    • Journal of Life Science
    • /
    • v.27 no.5
    • /
    • pp.561-566
    • /
    • 2017
  • Dendropanax morbifera Lev. is known in Korea for its golden sap and medicinal properties. The many biological activities of the leaf and stem extracts suggest that this tree could be a valuable source of medicinal compounds for the treatment of various ailments such as dermatitis, migraines, dysmenorrhea, muscle pain, and infectious diseases. However, there is little information on the composition and biological activity of the volatile fraction of D. morbifera. Therefore, in this study, the volatile compounds in leaves, stems, and sap of D. morbifera were isolated using solvent and supercritical fluid extraction (SFE), and analyzed by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to reveal their chemical composition and identify potential compounds of interest. Fifteen compounds were identified in the leaf extracts, whereas 29 and 3 compounds were identified in the stem and sap extracts, respectively. The volatile profiles obtained using solvent and SFE differed. Esters and aromatic hydrocarbons predominated in the solvent extract of leaves and SFE extract of stems, whereas the solvent extract of stems and SFE extract of leaves contained terpenoids. Limonene, ${\alpha}$-pinene, and ${\beta}$-myrcene were identified in the volatile extract of sap, with limonene representing 96.30% of the total peak area. In addition, the antiproliferative effects of the solvent extracts of leaves and stems were evaluated, revealing that these solvent extracts were particularly effective in decreasing the proliferation of HepG2 cells.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Based on Fining and Filtering of Muscat Bailey A Grape Wine (Muscat Bailey A 품종 포도주의 청징과 여과에 따른 이화학적 특성)

  • Bang, Byung-Ho;Paik, Jean Kyung;Lee, Seung-Wook;Jeong, Eun-Ja;Rhee, Moon-Soo;Yi, Dong-Heui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
    • v.44 no.11
    • /
    • pp.1687-1692
    • /
    • 2015
  • Since the domestic grape wine industry has been stagnant, the quality of Korean wine must be improved to compete with imported wines.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domestic wine up to 'unfined' or 'unfiltered' win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ossibility of producing 'unfined' or 'unfiltered' wine and their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Muscat Bailey A as a domestic grape was selected to make wine. Prior to refining process after alcohol fermentation, the wine samples were divided into three specimens depending on the treatment of bentonite for clarification and filter (sample A treated with both bentonite and filter, sample B treated with bentonite only, and sample C treated without bentonite and filter).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each specimen after one week matureness were then investigated. Sample C showed highest values in total phenol and organic acid content among others. Samples B and C showed more stability in intensity, hue, and color. Although it is hard to compare domestic wine with imported wine, it may be possible to improve the quality of domestic wine and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the domestic wine industry when further studies are conducted on in-depth fermentation of wine and improvement of microbiological stability.

재래누룩 곰팡이를 이용한 탁주의 향기성분 및 관능평가

  • 민경찬;이선희;박영심
    • Proceedings of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Conference
    • /
    • 2001.12a
    • /
    • pp.123-123
    • /
    • 2001
  • 주류는 미생물에 의한 효소작용으로 원료 성분이 분해됨으로서 생성되는 당분, 아미노산, 유기산등의 맛 성분과 발효과정 동안 생성되는 휘발성 성분들이 조화되어 상당히 다양한 성분들이 향미에 관여하므로 향기의 주성분 규명이나 향기성분을 이용한 품질의 규격화가 매우 어려운 문제로 보여진다. 술덧의 안전한 발효와 잡균오염을 방지하여 품질이 균일한 술을 생산할 목적으로 재래누룩과는 별도로 Aspergillus kawachii등의 균을 이용한 개량곡자(koji)가 술 제조시에 많이 이용되고 있으나 이러한 방법은 탁주의 대량생산과 수율은 증가시켰으나 다양한 품질이나 맛의 향상은 기대하기 어렵다. 본 실험은 재래누룩에서 분리된 곰팡이 10종과 대조균주로 Aspergillus kawachii CF1002 그리고 효모 Saccharomyces cerevisiae를 이용하여 술을 담금하여 그 제품의 headspace gas를 포집하여 GC/MS로 휘발성 향기성분을 분석하였으며 또한 관능평가를 실시하여 검토하였다. 각 균주별로 총 27∼40종의 향기성분이 확인되었으며 전체 시료에서 알콜(peak area% 52.3 9∼70.36%), 알칸류(3.49∼14.17%), 에스테르류(3.23∼7.37%), 유기산류(0∼2.85%), 알데히드류(0∼0.44%)의 순으로 함유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GC/MS를 통한 향기성분의 분석 결과 각각의 선발 균주로 제조된 술의 향기성분의 패턴이 서로 상이하였으며 이것은 통계분석에 의해 그 특징이 유의적으로 분석되어 Aspergillus sp. SH-607, Aspergillus sp. SH-613, Aspergillus sp. SH-667, Aspergillus sp. SH-696 그리고 Aspergillus sp. SH-412는 기호도가 높은 것으로 관찰되었다. 수집된 우수균주 10종과 Aspergillus kawachii등으로 담금하여 제조한 술 시료 11종류를 대상으로 하여 쓴맛, 미묘한 맛, 떫은 맛, 신맛, 좋은 맛의 정도를 5단계로 나누어 관능검사를 실시한 다음 자료를 Duncan's multiple range test로 분석한 결과 전체적으로 좋은 맛에 대한 기호도는 Aspergillus sp. SH-607 시료와 Aspergillus sp. SH-412, Rhizopus sp. SH-606, Aspergillus sp. SH-613, Rhizopus sp. SH-654, Aspergillus sp. SH-696 Aspergillus kawachii 시료가 유의성 있게 좋은 맛을 나타내 기호도가 높았으며 맛과 기호도가 가장 좋았던 것은 Aspergillus sp. SH-607 시료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