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후두기능

검색결과 172건 처리시간 0.022초

급성 후두기관손상 환자의 수술적 치료

  • 태경;정연기;정진석;조석현;이승환;이형석
    • 대한기관식도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관식도과학회 2003년도 제3차 추계학술대회
    • /
    • pp.110-110
    • /
    • 2003
  • 후두기관외상은 두경부 부위의 다른 외상에 비해 흔하지 않은데, 이는 연골의 유연성과 후두의 가동성, 후두가 하악과 흉골사이에 위치하여 외상시 보호 받게 되는 해부학적 특성에 기인한다. 그러나, 후두는 호흡과 발성에 중요한 기관으로 조기 진단과 정확한 평가, 적절한 치료를 못할 경우 생명을 위협 할 수 있고 삶의 질에 지대한 영향을 줄 수 있다. 이에 저자들은 급성 후두기관손상으로 수술적 치료를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손상 기전 및 임상 양상, 손상부위, 손상 정도 치료 등을 알아보고 향후 치료에 도움을 얻고자 하였다. 1996년부터 2003년까지 급성 후두기관 손상으로 수술적 치료를 받은 10명을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조사를 하였다. 손상정도는 Schaefer의 분류를 따랐으며 술후 결과는 발성과 기도유지로 평가하였다. 발성의 경우 수상전과 동일하거나 유사할 경우 성공(good)으로, 수상전과는 다르지만 기능을 하는 경우는 양호(fair)로, 거의 음성이 나지 않거나 알아들을 수 없는 경우 불량(poor)로 분류하였고, 기도유지는 수상전과 동일하거나 유사할 경우 성공(good)으로, 경한 흡인이나 운동 유발성 호흡곤란이 있는 경우(fair)로 발관이 되지 않는 경우를 불량(poor)으로 분류하였다. 남녀 성비는 8대 2였고 30~40대가 4명으로 가장 많았다. 손상의 원인은 둔상인 경우(4예) 교통사고가 2례, cloth line 손상 2례, 관통상(6례)는 모두 칼에 의한 좌상이었다 증상은 피하기종이 9례, 애성이 7례, 호흡 곤란이 6례로 많았으며 손상부위는 갑상연골 골절이 5례(50%), 기도손상과 갑상선 손상이 각각 4례에서 관찰되었다. 그 외에도 윤상 연골 골절과 윤상갑상막 손상 등이 관찰되었다. 또한 점막 손상이 7례에서 관찰되었다. 성대마비는 내원시 4례에서 관찰되었다 치료는 수상 후 조기수술을 시행하였고 수상 부위를 개방하여 손상된 연조직을 일차 봉합하거나, 골절을 정복 고정하였고 3례에서 스텐트를 삽입하였다. 술후 기도유지는 모두 성공적이었고 발성기능은 6례에서 성공(good)적이었고 4례에서 양호(fair)의 결과를 보였다. 양호의 결과를 보인 모든 예가 내원시 성대 움직임의 마비나 저하를 보인 예였다. 급성 후두기관손상환자에서 조기 진단과 적절한 수술적 치료는 환자의 생명을 유지시키고 술후 발성 지능의 보존에 양호한 결과를 보였다.

  • PDF

흰쥐에서 반회후두신경 손상 후 만성적 전기자극이 후두 기능 회복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hronic Electrical Stimulation on Functional Recovery Following Laryngeal Reinnervation in the Rat)

  • 김지연;조선희;한후재;박수경;신유리;정성민
    • 대한후두음성언어의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72-177
    • /
    • 2000
  • Background and Objectives : Until now, various attempts have been made fir reinnervating paralyzed vocal cord. Nevertheless, the most cases did not produce satisfactory outcome due to occurrence of synkinesis of larynx secondary to misdirected axonal regeneration.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investigation is to learn the effect of chronic electrical stimulation on regeneration of the recurrent laryngeal nerve. Material and Methods : Using 20 healthy male Sprague-Dawley rats(250-300g) with normal vocal functions, transections were made on their left recurrent laryngeal nerves and then primary anastomosis were performed under the operating microscope and they were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each having 10 rats. After the procedure, for the experimental group, chronic electrical stimulation was carried out until vocal cord movement was functionally recovered. for the control group, only chronic electrical stimulation was not given. Result : In experimental group, the number of functionally recovered rats was two and in control group, that of functionally recovered rate was same. The reorganization of posterior cricoarytenoid muscle motoneuron in nucleus ambiguus appeared in the case of directed reinnervation of recurrent laryngeal nerve. Conclusion : The chronic electrical stimulation does not a direct beneficial effect on the early functional recovery in rats with injured recurrent laryngeal nerve.

  • PDF

후두암 치료후 음성보존의 성적 (A RESULT OF VOICE PRESERVATION FOLLOWING TREATMENT OF LARYNGEAL CANCER)

  • 김형태;김형주;김민식;조승호;서병도
    • 대한기관식도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관식도과학회 1991년도 제25차 학술대회 연제순서 및 초록
    • /
    • pp.29-29
    • /
    • 1991
  • 후두암의 치료는 병변의 위치, 크기 등에 따라 치료방법이 다양하고 그 예후 또한 상이하다. 일반적으로 초기 후두암에서는 수술이나 방사선 요법이 비슷한 치료결과를 보이고, 진행된 후두암에서는 수술적 치료가 더 좋은 예후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발성장애를 초래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저자들은 1986년부터 1990년까지 5년간 강남성모병원에서 후두암치료를 받았던 환자 81명을 대상으로 치료방법에 따른 음성보존 성적을 분석하였다. 1. T1 성대암 환자 18명중 16명 (88.9%)에서 방사선치료 또는 수술로써 음성을 보존할 수 있었다. 2. T2 후두암 환자 11명중 6명은 수술후 음성보존이 가능하였다. 3. 진행암환자 (T3, T4) 50명중 33명에 대해 수술을 시행하였고 이중 16명(48.5%)은 후두부분 또는 근전적출술 및 기관-식도 누공술에 의해 음성기능을 보존할 수 있었다. 4. 진행암환자에서 유도화학요법과 방사선치료의 병용요법만을 받은 17명 모두 6개월 이내에 재발하였고, 수술 혹은 수술과 방사선 치료를 병용한 33명중 27명이 최소한 6개월 이상 평균 2년 이상의 무병상태였다. 5. 후두부분 또는 근전적출술은 총 81명중 28명에서 시행되었고 그중 5명 (17.9%)에서 재발하였다.

  • PDF

성대 Bowing의 술전.후 음성기능 (Vocal Function after Surgical Correction of the Bowing Vocal Cords)

  • 정광윤;최종욱
    • 대한음성언어의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음성언어의학회 1993년도 제1회 학술대회 연제순서 및 초록집
    • /
    • pp.16-16
    • /
    • 1993
  • 성대의 bowing은 성대근의 위축, 노화, 상후두신경마비, 성대수술후, 성대구 등의 원인에 의하여 발생할 수 있으며, 대부분의 예에서 경도의 애성을 호소할 뿐만 아니라 아직 효과적인 치료법이 없기 때문에 적극적인 치료를 받지 못하고 장기간 애성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다. 저자들은 성대의 bowing의 진단 및 치료에 도움을 얻고자 최근 2 년간 애성을 주소로 내원한 환자중 성대의 bowing을 보였던 25례(성대구 3례, 성대위축증 2례)을 대상으로 치료전ㆍ후의 음성기능을 분석하여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 PDF

양측성 성대운동장애에서 근전도 및 신경전도 검사의 의의 (aryngeal Electromyography and erve conduction Study in Bilateral Immobile Vocal Folds)

  • 이인자;박영학;김민식;조승호;박주현
    • 대한음성언어의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음성언어의학회 1993년도 제1회 학술대회 연제순서 및 초록집
    • /
    • pp.14-14
    • /
    • 1993
  • 성대 운동 장애는 신경, 근육 병변 및 추두 관절 고정 등의 원인으로 발생한다. 후두 근전도 검사는 후두 및 음성 생리, 언어 과학의 운동 기능학적 연구, 그리고 임상적으로는 신경, 근육 병변의 진단 및 예후 판정에 이용된다. 특히 양측 성대운동 장애시 이학적 검사만으로는 신경 병변 및 관절 고정의 감별 진단에 어려움이 많아 근전도 및 신경 전도 검사를 이용한 객관적 검사가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중략)

  • PDF

갑상연골 부분절개술 (Partial thyrotomy)

  • 이종원;김성남;김성곤;권영찬;양한모
    • 대한기관식도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관식도과학회 1977년도 제11차 학술대회연제 순서 및 초록
    • /
    • pp.10.2-10
    • /
    • 1977
  • 갑상연골 절개술은 후두 병변이 있을 때 시행하는 수술방식으로 가장 유용한 방법이다. 그러나 후두진성대의 전반부에 수술후에 생기는 web formation은 가장 골치 아픈 속발증이다. Hayashi 씨의 hemithyrotomy는 web formation은 일으키지 않으나 후두강내의 노출이 너무 협소하여 수술조작이 매우 어렵다. Huet나 Thomson의 extended thyrotomy는 갑상연골 전하방을 제거하기 때문에 ordinary thyrotomy 보다는 훨씬 좋은 수술시야를 얻을 수 있다. 이러한 갑상연골 제거로 후두기능에는 아무런 지장을 주지 않으나 언제나 후두전반부에 laryngeal web를 남긴다. 갑상연골 부분절개술은 두 가지 원칙하에서 고안되었는데 첫째, web-formation을 없애기 위해서 후두전반부에 손상을 주지 않고 둘째, 갑상연골의 전하반부위를 수술시야의 확대목적으로 제거한다. 저자는 1976년 6월 3일 성문하 유두종을 광호식 수술방법을 처음으로 시도하여 성공시켰기에 보고한다.

  • PDF

백서 기관 및 후두에서 분비조직의 발생 (Development of Secretory Element in Murine Trachea and Larynx)

  • 조정일;박기현;김광문
    • 대한기관식도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관식도과학회 1993년도 제27차 학술대회 초록집
    • /
    • pp.67-67
    • /
    • 1993
  • 기관 및 후두의 점막표면은 중이나 이관과 마찬가지로 점막섬모 정화작용, 면역글로린, 항세균 효소 등의 다양한 점막 방어기전에 의해 보호되고 있는데 기관 및 후두의 분비선과 분비세포의 형태에 관한 보고는 많으나 분비활성도와 연관된 분비조직의 발생에 대한 연구는 충분치 못하다. 저자들은 백서 기관 및 후두의 분비조직의 발생을 알아보고 향후 기관 및 후두의 발생형태학적 연구의 기초자료로 삼기 위해서 임신 16일부터 생후 21사이의 백서를 이용하여 H & E 염색, AB-PAS 염색과 lysozyme의 면역조직화학적 방법을 통하여 백서 기관 및 후두분비조직의 발달을 연구하였다. 그 결과 백서 기관 및 후두의 분비기능은 출생후 폐의 통기와 함께 활성화되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 PDF

개 후두 점막에서 분비세포의 분포와 점액 당단백질의 조성

  • 유우정;박영학;김민식;조승호
    • 대한기관식도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관식도과학회 1996년도 대한이비인후과학회 종합학술대회 초록집
    • /
    • pp.87-87
    • /
    • 1996
  • 상기도 점막의 분비세포와 이로부터 분비되는 점액은 각 부위에 따라 형태학적, 기능적 특성이 다르다. 특히 후두의 성대부위는 발성시 고속의 마찰진동이 있게 되어 성대상피를 보호하기 위한 윤활제 역할의 점액이 필요하다. 점탄성과 밀접한 연관이 있는 점액당단백질 분비세포의 조성비율과 밀도를 알기 위해서 개 10마리의 후두, 기관, 상악동, 비강점막을 채취하여 periodic acid-Schiff, alcian blue 1.0, alcian blue 2.5, high iron diamine-alcin blue염색을 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후두점막에서 선포의 밀도는 성문부의 후두실 상부에서 가장 높았다. 2. 후두점막에서 점액세포의 조성은 성문상부에서 가장 높았고, 장액세포의 조성은 성문부에서 가장 높았다. 3. 황화점액의 조성비는 성문부가 성문상부, 성문하부보다 유의하게 높았고, 후두의 세 부위와 기관에서 상악동과 비강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4. 타액점액의 조성비는 성문부에서 성문하부보다 유의하게 낮았으며, 성문부는 성문상부에 비해서도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으나 낮은 경향을 보였다. 5. 상기도의 각 부위에서 당단백질의 조성비는 모든 부위에서 중성점액이 가장 높았고 산성점액중 성문부에서는 황화점액이 타액점액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 성문하부, 상악동, 비강에서는 타액점액이 황화점액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이상의 결과에서 성문부에서 나타나는 높은 장액세포의 비율과 점액당단백질 조성의 특징이 성문부 점액의 성대운동에 대한 윤활작용에 적합한 생리적 역할을 담당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

기능성 음성 질환(Functional Voice Disorders)과 성대의 움직임

  • 안철민
    • 대한음성언어의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음성언어의학회 2003년도 제19회 학술대회
    • /
    • pp.190-192
    • /
    • 2003
  • 음성은 단순히 성대에서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다. 호흡을 시작으로 성대의 접촉과 점막 진동에 의해 만들어진 소리가 공명강을 거쳐 입술, 혀의 움직임을 거쳐 최종적으로 의미를 전달하는 소리로 완성된다. 기능성 음성 질환은 이러한 과정 중에서 발성 방법과 같은 기능적 문제에 의하여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기능성 음성 질환이 있을 때 이러한 과정의 움직임에 대한 조사가 필요하다. (중략)

  • PDF

후두격막의 새로운 치료법 (A New Surgical Technique of the Larygeal Web)

  • 안회영;여승근;박창식;이동엽;차창일
    • 대한기관식도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관식도과학회 1993년도 제27차 학술대회 초록집
    • /
    • pp.77-77
    • /
    • 1993
  • 후두격막은 여러가지 원인으로 생기나 선천성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비교적 두텁고 질긴 반흔 조직으로 그 상하면은 상피세포로 덮여 있다. 후두격막 치료의 궁극적 목표는 양측 성대의 전장이 상피 세포로 덮여져서 호흡 및 발성의 정상 기능을 찾게 하는 데 있다. 저자들은 최근 6예의 후두격막 환자에서 전신 경구삽관 마취하에 미세수술로 격막을 전후로 절개한 후 절개면의 상-하 상피층을 봉합하는 새로운 수술 방법을 고안하여 시도하였다. 보통의 후두미세술과 같이 익숙한 장비와 수술시야에서 격막 이외의 다른 부위에 손상을 주지 않고, 비교적 짧은 수술 시간 내에 한번의 수술로 별다른 합병증이 없고, 입원 시간도 짧은 등 장점이 있는 후두격막에 효과적인 치료법으로 생각되어 소개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