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효능감 측정 도구

검색결과 115건 처리시간 0.022초

Effects of Programming-based TPACK Education Program on the Teaching Expertise of Pre-service Teachers

  • Kim, Seong-Won;Lee, Youngju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5권7호
    • /
    • pp.213-224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김성원과 이영준(2019)의 프로그래밍 기반 TPACK 교육 프로그램이 예비 교사의 수업 전문성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은 40명의 예비 교사이며, 두 집단으로 나누어 처치를 진행하였다. 실험 집단(n=20)에게는 프로그래밍 기반 TPACK 교육 프로그램을 처치하고, 통제 집단(n=20)에게는 ICT 도구 기반 TPACK 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예비 교사의 수업 전문성 변화를 분석하기 위하여 수업 전문성, 교수 효능감, 테크놀로지 통합 자아효능감을 측정하는 검사 도구를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통제 집단과 달리 실험 집단은 수업 전문성과 교수 효능감, 테크놀로지 통합 자아효능감이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사전 검사에서는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이 유의한 차이가 존재하지 않았지만, 사후 검사에서는 실험 집단이 통제 집단보다 수업 전문성이 유의하게 높았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프로그래밍을 활용한 TPACK 교육이 예비 교사의 수업 전문성 발달에 효과적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스트레스와 우울에 대한 부모의 사회적 지원, 어려움극복효능감, 스트레스 관리행동의 영향: 초, 중, 대학생 집단을 중심으로 (The influence of parental social support and resiliency of efficacy on stress, depression, and stress management behavior: Comparative analysis of elementary school, middle school and university students)

  • 김의철;박영신;김의연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16권2호
    • /
    • pp.197-219
    • /
    • 2010
  • 이 연구는 스트레스와 우울에 대한 부모의 사회적 지원, 어려움극복효능감, 스트레스 관리행동의 영향을 분석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분석대상은 총 799명(남 386명, 여 413명)으로서, 초등학생 184명, 중학생 354명, 대학생 274명이었다. 측정도구는 간편형 로드아일랜드 스트레스 척도(Horiuchi, Tsuda, Tanaka, Yajima & Tsuda, in press), 스트레스 관리행동 척도(Evers, Prochaska, Johnson, Mauriello, Padula & Prochaska, 2006), 우울 척도(BDI-II, Beck, Steer & Brown, 1996; CES-D, Radloff, 1977), 어려움극복효능감 척도(Bandura, 1995), 부모의 사회적 지원 척도(김의철, 박영신, 1999)를 활용하였다. 경로분석 및 효과분석 결과, 어려움극복효능감이 높을수록 우울과 스트레스가 현저하게 낮았고, 스트레스 관리행동을 잘 하였다. 그러나 스트레스 관리행동은 스트레스에 영향이 없었다. 그리고 부모의 사회적 지원을 많이 받을수록 자녀의 어려움극복효능감이 높았다. 따라서 스트레스와 우울에 대한 어려움극복효능감의 직접효과와 부모 사회적 지원의 간접효과가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초, 중, 대학생 집단 모두에서 일관되게 나타났다. 한편, 우울 측정도구를 BDI-II로 했을 때와 CES-D로 했을 때, 스트레스 관리행동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은 다르게 나타남으로써, 다양한 우울 측정도구의 구인에 대한 검토가 요구된다.

  • PDF

모바일 웹 브라우징 서비스 수용에 관한 연구 (An Empirical Study on Mobile Web Browsing Service Adoption)

  • 류성렬;김문오;김효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2호
    • /
    • pp.270-278
    • /
    • 2009
  • 모바일 웹 브라우징 서비스는 컴퓨터 환경에서의 인터넷 경험을 고객의 휴대기기에서 가능하게 해 주는 새로운 서비스이다. 본 연구는 모바일 웹 브라우징 서비스의 사용 의도를 조사하기 위하여 정보기술 수용을 설명하는데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기술수용모형(TAM)을 기반으로 하여, 최근 기술수용 문헌에서 중요한 요인으로 인식되고 있는 자기효능감을 컴퓨터 자기효능감과 모바일 자기효능감으로 구분하여 실증 분석을 실시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문헌에서 제시되지 않았던 모바일 자기효능감의 개념을 명확히 하고, 이 개념을 측정하기 위한 측정 도구를 개발하였다. 연구 결과는 컴퓨터 자기효능감과 모바일 자기효능감이 사용 용이성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제시해 주었으며, 기존의 TAM에서 제시한 연구가설이 모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시한 모바일 효능감에 대한 연구 결과는 향후 지속적으로 출현할 다양한 모바일 서비스에 대한 고객의 사용 의도를 분석함에 있어 중요한 변수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유아교사의 생활지도 효능감 척도개발 연구 (A Study on Developmen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Guidance Efficacy Scale)

  • 최연화
    • 한국보육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65-176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의 생활지도 효능감 개념을 규정하고, 실제 유아교육기관에서 생활지도의 구성요인을 밝혀, 유아교사의 생활지도 효능감을 객관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척도를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유아교사에게 요구되는 생활지도의 내용을 추출하고 국내, 외 교사효능감 이론 및 척도에 대한 고찰에 근거하여 83개 예비문항을 선정하였고 델파이방법에 의해 61개 문항을 선정하여 유아교사 243명을 대상으로 예비문항에 대한 응답을 구해 탐색적 요인 분석을 한 결과, 4요인 51문항 (문제행동지도 효능감 21문항, 유아이해 효능감 11문항, 가정연계 효능감 12문항, 기본생활습관지도 효능감 9문항)이 최종 문항으로 선정되었다. 최종척도에 대한 타당도와 신뢰도 검증을 위해 SPSS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문항양호도 검증, 요인분석, 상관관계, 문항간 내적 합치도와 반분신뢰도를 산출하였다. 분석결과, 본 척도가 유아교사의 생활지도 효능감을 측정하기에 적합한 도구임이 확인되었다.

한국판 기능유지간호에 대한 간호사의 자기효능감 및 결과기대감 측정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 (Psychometric Test of Korean Version of Self-Efficacy and Outcome Expectations for Restorative Care Activities Scale among Nurses)

  • 정덕유;변진이;이민경;김혜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9호
    • /
    • pp.317-328
    • /
    • 2015
  • 본 연구는 요양시설 직접돌봄제공자의 기능유지간호에 대한 자기효능감 및 결과기대감 도구를 번역한 한국판 기능유지간호에 대한 자기효능감 및 결과기대감 도구의 타당도 및 신뢰도 분석을 통해 문화적인 차이가 있는 원 도구를 한국의 노인 요양시설에 근무하는 간호사에게 적용할 수 있는지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전국 69개의 요양시설에 근무하는 간호사 187명으로 자료수집은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1.0과 AMOS 22.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구성타당도 검정은 확인적 요인분석으로 시행하였고, 준거타당도 검증을 위해 기능유지간호에 대한 자기효능감 및 결과기대감과 기능유지간호에 대한 지식, 직무만족과의 상관관계를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구성타당도가 입증되었고, 준거타당도가 검증되었다. 또한, 신뢰도 분석을 통해 도구의 신뢰도가 확인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번역된 한국어판 기능유지간호에 대한 자기효능감 및 결과기대감 도구가 국내에서 사용할 수 있는 도구임이 검증되었고, 추후 시설 입소노인의 기능유지간호를 위한 초석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의 지식, 자기효능감 및 삶의 질과의 관계 연구 (A Study on Knowledge, Self-efficacy and Quality of Life in Rheumatic Arthritis Patients)

  • 박혜숙;김인숙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25권2호
    • /
    • pp.275-292
    • /
    • 2000
  • 본 연구는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들을 대상으로 지식, 자기효능감 및 삶의 질과의 관계를 파악하고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의 삶의 질을 증진시킬 수 있는 간호중재를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자료수집은 1999년 3월 2일부터 3월 22일까지 광주광역시에 위치한 1개 대학병원과 K 류마티스 내과 개인 병원에 등록된 광주 광역시 주변 농천지역에 거주하는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 100명을 임의표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도구는 구조화된 질문지로서, 김순봉(1998)이 개발한 류마티스 관절염에 대한 지식 측정도구와 Lorig 등1989) 이 개발한 도구를 근거로 김종임(1994)이 수정 보완한 자기 효능감 측정도구 및 노유자(1988)가 개발한 삶의 질 측정도구를 이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AS를 이용하여 전산처리하였으며, 일반석 특성과 지식, 자기효능감 및 삶의 질과의 관계는 t-test, ANOVA로, 지식, 자기효능감 및 삶의 질과의 상관관계 Peason's Correlation Coefficient로,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인자는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지식 정도는 평균 15.01점, 자기효능감 정도 평균 1030.40점, 삶의 질 정도 총 평균 135.19점으로 나타났다. 2. 일반적 특성과 지식과의 관계에서는 성별(t=19.03, p=.00), 직업 (F=2.34, p=.03), 운동종류(F=2.95, p=.03), 운동시간(F=3.20, p=.02)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3. 일반적 특성과 자기효능감과의 관계에서는 월수입(F=3.64, p=.01), 직업(F=2.30, p=.03), 관절염 앓은 기간(F=2.70, p=.03), 운동시간(F=3.77, p=.01), 운동효과(F=4.56, p=.01)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4. 일반적 특성과 삶의 질과의 관계에서는 연령(F=3.36, p=01), 월수입(F=3.11, p=.02), 주거형태(t=4.93, p=.02). 운동시간(F=3.03, p=.03)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5. 대상자의 지식과 삶의 질과의 관계에서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r=.154, p>.05). 6. 대상자의 자가효능감과 삶의 질과의 관계에서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462, p<.001). 7. 대상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자기효능감으로 삶의 질을 21.4%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한국판 의사소통 자기효능감 측정도구의 타당도 및 신뢰도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Korean Version of Self-Efficacy Questionnaire(KSE-12))

  • 길초롱;성경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5호
    • /
    • pp.337-345
    • /
    • 2020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Korean Version of Self-Efficacy Questionnaire (KSE-12)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2020년 3원 2일부터 3일 사이에 일개 지역 3개 대학에 재학 중인 간호대학생 155명을 대상으로 KSE-12 설문지를 작성하도록 하였다. 도구의 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Varimax 직각회전방식을 이용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시행하였으며, 단일요인의 12문항이 도출되었다. KSE-12는 포괄적 대인관계 의사소통능력(GICC)과 정적상관관계를 보여(p<.001) 준거타당도가 확보되었으며 Conbach's α값이 .98로 나타나 타당도와 신뢰도가 높은 도구임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도구를 사용하여 한국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 자기효능감을 평가하고 이들을 위한 의사소통 자기효능감 증진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근거자료를 마련해 나가길 바란다.

정보문해 자기효능감 척도의 적용을 위한 탐색적 연구 (Exploring the Dimensions of Self Efficacy Scale for Information Literacy)

  • 심원식;안혜연;김현수;김성환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307-326
    • /
    • 2009
  • 자기효능감 개념은 Bandura가 이론화한 이후에 교육, 심리, 경영 등의 분야에서 활발하게 적용되어 왔으며 이를 구체적으로 측정하고자 하는 노력은 관련된 척도의 개발로 나타났다. 하지만 일반적인 자기효능감 척도는 문헌정보학 영역의 상황을 반영하지 못한 점이 있어 정보문해 상황에서의 자기효능감을 보다 잘 표현하고 측정할 수 있는 도구의 개발이 요구되어 왔다. 본 연구는 기존에 유일하게 제시된 척도인 터키의 연구자 Kurbanoglu의 ILSES 척도를 평가하였다. 7개 구성 요소 아래 40문항으로 만들어진 ILSES 척도를 검증하기 위해 400명이 넘는 서울 시내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을 시행하였고 신뢰성 분석과 요인분석을 통해 척도를 평가하였다. 분석의 결과 ILSES 항목들은 비교적 높은 내적 신뢰도를 보인 반면 Kurbanoglu의 연구에서 도출된 요인과 상당히 다른 요인이 도출되었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6개의 정보문해 자기효능감 요인은 우리나라 대학생들의 정보탐색 및 이용의 독특한 경향을 보여주는 요소들이 포함되어 있다. 한편 도출된 여섯 개의 요소에 대해 문헌정보학 전공자와 비전공자, 저학년과 고학년 사이에서 자기효능감 평균값의 차이는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등학생의 수학 불안 측정 도구 개발 연구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Mathematics Anxiety Scale for Elementary Students)

  • 김리나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21권4호
    • /
    • pp.431-444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문헌연구와 초등학교 3-6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의 통계적 검증을 토대로 초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수학 불안 측정 도구를 개발하였다. 측정 도구는 수학 사교육 여부와 상관없이 수학 불안을 측정할 수 있는 도구와 수학 사교육에 참여하는 학생들에게 추가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도구, 총 2종으로 개발되었다. 문헌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수학 불안 측정 도구는 수학 시험, 수학 수업, 수학 교사, 수학 수업과 관련한 부모님의 태도, 수학 상황에 대한 걱정이라는 다섯 가지 요인을 기반으로 설계되었다. 수학 사교육 관련 수학 불안 측정 도구는 사교육 수학 시험, 사교육 수학 수업, 사교육 교사라는 세 가지 요인을 기반으로 제작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신뢰도 검증을 위해 두 측정 도구에 대해 주성분분석(Principal Component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또한 연구 참여자에게 수학 불안과 음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수학 자기 효능감 측정 도구를 적용, 본 연구에서 개발한 측정도구와의 상관관계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타당도 검증을 실시하였다. 문헌연구, 통계적 분석을 기반으로 한 신뢰도 타당도 검증을 통해 본 연구에서는 21개의 수학 불안 측정도구 문항과 7개의 수학 사교육 관련 수학 불안 측정 도구 문항을 확정하였다.

가상강좌의 성과에 영향을 주는 정보기술, 수업내용, 서비스의 품질과 자기효능감 - 측정도구의 타당성 검증

  • 이웅규;이종기
    • 한국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시스템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88-95
    • /
    • 2004
  • 가상강좌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고 각종 교육기관에서 다양한 방식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음에도 가상강좌의 효과 즉, 가상강좌 수강생들의 만족을 측정하는 도구의 개발은 상대적으로 미흡한 실정이다. 특히 초기의 가상강좌가 정보기술을 이용한 실험적인 형태에서 벗어나 기존의 오프라인 교육을 대치할 수 있는 중요한 도구로 대두되고 있다는 점을 감안할 때 가상강좌의 효과를 측정하기 위한 도구는 좀 더 종합적인 접근 방식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가상강좌 특히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가상강좌의 네 가지 요소인 학습관리시스템, 강의 컨텐츠, 학습에 대한 인적 서비스 그리고 학생 자신의 심리적 상태 등을 고려한 종합적인 접근에 의한 가상강좌 만족 모형을 제시하고 그 측정도구에 대한 타당성을 검증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정보기술 사용 측면, 정보품질적 측면, 서비스 관리적 측면 그리고 사회심리학적 측면에서 가상강좌 측면에 만족을 주는 이론적 변수 및 측정도구를 제시하고 측정도구에 대한 타당성을 실증적으로 검증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