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횡단경사

Search Result 108,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A Study for Measuring of Cross Slope Using Instrument Vehicle with Multiple Sensors (센서를 장착한 차량을 이용한 도로 횡단경사 측정에 관한 연구)

  • Yun Duk-Geun;Jeong Dong-Hoon;Sung Jung-Gon;Lee Sang-Hwa
    • International Journal of Highway Engineering
    • /
    • v.8 no.2 s.28
    • /
    • pp.105-116
    • /
    • 2006
  • This research introduces the method to measure cross-slope using Road Safety Survey and Analysis Vehicle(RoSSAV) with multiple sensors. Cross-slope is an important element like horizontal alignment and vertical alignment in evaluating safety of the roads. In many cases, cross-slope is different from drawings due to frequent overlays. It is extremely difficult to measure cross slope at the roads which has huge traffic volume. Therefore, the algorithm, which can be used when driving the RoSSAV with CPS/INS and Laser Scanner sensors was developed for measuring the cross-slop. Also, in order to examine the algorithm, the superelevation was measured by Laser Scanner and GPS/INS system during travelling and the result was verified by statistical verification.

  • PDF

Experimental investigation of depositional patterns of debris flow (횡단 배수로 내 토석류 퇴적 양상의 실험 연구)

  • Kim, Young-Il;Paik, Joong-Cheo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38-42
    • /
    • 2011
  • 토석류는 산간지역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가장 위험한 자연재해 중 하나로 입자-유체 혼합물인 토석류가 중력에 의해 매우 빠른 속도로 이동하는 현상을 의미한다. 산간지역에서의 토석류 발생은 도로의 횡단 배수 구조물의 통수능을 저하시키게 되며 그 결과 도로의 유실 등 막대한 피해를 발생시킨다. 잠재적인 토석류 발생 지역에서의 피해 저감을 위해서는 진보된 설계 기준이 마련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토석류의 횡단 배수구조물 내에서 토석류의 동적 거동 특성을 파악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이번 연구에서는 수리 실험을 통하여 횡단 배수구조물 내에서 토석류의 퇴적 특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수리 실험 장비는 폭이 일정한 사각형 수로로 접근 수로와 하류부 수로로 구성되어 있으며 접근수로의 상단부에서 일정한 유량의 토석류를 연속적으로 유입시켜 경사가 급변하는 하류부 수로 내에서의 토석류 퇴적 특성을 파악하였다. 실험 결과로 토석류의 거동 특성은 토석류의 체적 농도, 입자의 특성, 그리고 접근수로와 하류부 수로의 바닥 경사에 종속됨을 정량적으로 알 수 있었다. 또한, 토석류의 체적 농도나 수로 바닥경사 등과는 상관없이 토석류의 퇴적은 하류부 수로의 종단부인 자유 낙하 지점에서부터 시작되었고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퇴적 지점이 접근 수로 쪽으로 이동하며 퇴적량이 크게 증가하는 현상을 보였다. 이 때, 하류부 수로 내 퇴적된 토석류는 약 $12{\sim}15^{\circ}$의 경사를 보였다.

  • PDF

Influences of River Crossing Structures on the Frequency of Riffles (하천횡단구조물이 여울 출현빈도에 미치는 영향)

  • Kim, Ki Heung;Park, Hyun Sub;Jung, Hea Rey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465-469
    • /
    • 2018
  • 여울과 소는 하천의 물리적 특성(경사, 하상재료, 지질의 형태)에 따라 자연적으로 형성되며, 이에 따라 하도 지형이 다양하게 변화하고 생물의 서식처의 다양성이 확보됨으로써 하천의 생태환경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우리나라의 경우 하천주변의 충적평야에서 벼농사가 이루어지므로 아주 많은 농업용 취수보가 설치되어 있으며, 또한 하상경사가 급하므로 하상안정을 위하여 낙차공 등의 하상유지공도 상류에 많이 설치되어 있는 실정이다. 취수보 및 하상유지공 등의 하천횡단구조물은 하상의 종적 연속성을 단절시키고, 상류측에 대규모의 정체수역을 형성함으로써 하도의 자연적인 여울-소 지형특성을 훼손함과 더불어 흐름 다양성을 단순화시킨다. 이러한 하천횡단구조물의 부정적 영향은 수서동물의 이동통로를 차단할 뿐 아니라 수서동물의 서식처를 단순화함으로써 생태계에 부정적 영향을 미쳐서 생물종의 다양성을 훼손하는 심각한 문제를 초래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하천횡단구조물이 여울-소의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경상남도의 하천 중 유역면적이 $100km^2$ 이상인 하천 중에서 하천횡단구조물의 영향을 받는 하천의 구간과 하천횡단구조물의 영향을 받지 않는 하천의 구간을 분류하여 하천횡단구조물이 여울-소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하천횡단구조물이 여울-소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하상경사에 따라 구분하였으며 그에 따라 하천횡단구조물이 여울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였다. 상류에는 배수위의 영향으로 정체수나 인위적인 평여울이 발생하며, 하류에는 낙차로 인하여 소나 여울이 발생하지만, 그 빈도는 하천횡단구조물의 설치 간격에 따라 자연상태에서 보다는 현저히 낮게 나타났다. 경남 지방에서 유역면적 $100km^2$ 이상인 30개 하천 중에서 16개의 하천에 설치된 하천차단시설물은 보 405개소와 낙차공 129개 총 534개를 조사하였으며, 하천차단시설물의 설치간격 및 높이가 여울-소의 형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 PDF

The Road Cross Section Evaluation With The Rotational Laser Scanner (회전식 레이저를 이용한 도로 횡단경사 평가에 관한 연구)

  • Lee, Jun Seok;Yun, Duk-Geun;Sung, Jung-Gon
    • International Journal of Highway Engineering
    • /
    • v.12 no.4
    • /
    • pp.71-78
    • /
    • 2010
  • The road safety depend on many road factors like vertical alignment, horizontal alignment and road cross section angle. These data are hardly to get with drawings, and the real data are differ from drawings because of road pavement overlay, etc. To get these data, so many time and cost are needed, moreover it is dangerous work in heavy traffic road. In this study we obtained the road safety data with RoSSAV(Road Safety Survey & Analysis Vehicle) of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Technology in accordance with traffic flow, and make analysis of road safety with the vertical alignment, horizontal alignment and road cross section angle data. We derived the safety improvement method in Young-dong accident prone spot and described detail method in this paper.

Correlation Analysis of Rainfall Critical Duration and Time of Concentration by Road Surface Conditions and Rainfall Intensity (도로표면 조건과 강우강도 변화에 따른 임계지속기간과 도달시간의 상관관계 분석)

  • Lee, Sung Ho;Kim, Jung Soo;Lee, Jae J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204-204
    • /
    • 2019
  • 국지성 호우의 증가로 인해 도시 지역의 내수침수피해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특히 배수의 흐름이 집중되는 저지대 지역과 노후화된 하수관거가 설치된 지역에서 특히 피해가 집중되고 있으며, 이는 도로 측면에 설치된 빗물받이와 같은 하수시설에서 원활하게 배수가 되지 않기 때문에 강우 발생시 도로표면에 노면수가 정체되어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과거 도로 노면의 형상과 강우의 임계 지속시간을 고려한 적정 우수 유출량 산정에 관한 연구가 진행된 바 있으나, 현재 발생하는 국지성 호우의 형태나 강우강도의 변화에 따른 유출량의 변화가 발생하였으며, 도달시간 산정식에 따른 매개변수의 차이와 새로운 도달시간 산정식의 개발로 도달시간의 결과가 크게 차이가 날 수 있다. 따라서 도로의 침수피해를 막고 교통 안정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도로 조건을 고려한 도로 입구 및 하수관의 적절한 설계 등 다양한 연구가 주기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강우 유출 모델인 SWMM 모형과 계산식을 이용하여 도로 표면의 폭과 길이, 도로 종횡단의 변화량, 재 산정한 강우강도에 따른 유출량을 계산하였다. 도로 표면의 폭과 길이, 경사를 다양하게 입력하였으며, 또한 각 Case에 따라 최대 유출량을 생성하는 임계지속기간을 결정하고 다양한 도달시간 산정식의 결과와 비교하여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도달시간은 산정식의 매개변수에 따라 차이가 발생하였으며, 도로표면의 길이와 횡단경사에 크게 영향을 받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횡단경사보다 종단경사가 클 경우 도달시간이 길어져 유량의 집중을 막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Effects of Cross-Sectional Dimension and Moisture Profile of Small Specimens on Characteristics of Ultrasonic Wave Propagation (목재의 단면적과 수분경사가 초음파 전달 특성에 미치는 효과)

  • Kang, He-Yang;Lee, Kwan-Young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v.28 no.2
    • /
    • pp.19-24
    • /
    • 2000
  • Effects of the cross-sectional dimension and moisture profile of wood specimens on the ultrasonic sound velocities of radiata pine heartwood and sapwood. Each moisture profile model specimen was made by composing five wood pieces with various moisture contents. As the cross-sectional dimensions decreased the ultrasonic velocities of both heartwood and sapwood decreased by 4~8%. In the ultrasonic signals transmitted through the specimens low frequency components more dominated than high frequency components as the dimension of cross section increased. The specimens with the same average MCs and different moisture profiles showed different ultrasonic velocities. By plotting the ultrasonic velocities against the average moisture contents of the inner three pieces of the moisture profile model specimens it was revealed that three distinct plot patterns existed.

  • PDF

The Study of Methods for Improve the Linearity of the Walking Assistant Robot to Move on Lateral Slopes (횡단경사면에서 지능형 보행보조로봇의 직진성 향상 방안 연구)

  • Lee, Won-Young;Eom, Su-Hong;Jang, Mun-Suck;Kwon, O-Sang;Lee, Eung-Hyuk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and Information Engineers
    • /
    • v.50 no.1
    • /
    • pp.261-268
    • /
    • 2013
  •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algorithm that improves the linearity of the walking assistant robot on lateral slopes. The walking assistant robot goes out of the course due to the rotational moment which is caused by the weight of the robot and the slope. To compensate this, we give the weight to each driving axle after comparing the real rotational angular velocity with the target rotational angular velocity which is entered by an user. The results of applying the algorithm to the real walking assistant robot show that the yaw axis deviation of the robot without the algorithm diverges, but the yaw axis deviation of the robot with the algorithm lies within 20cm, which can be recognized as stable. In addition, the changing rate of the course deviation is stabilized and shows no more course deviation, after moving 300cm.

Analysis for Difference of Water Surface Elevation at Cross Section in Pyungchang River Contained Junction Using Hydraulic Model (수리모형을 이용한 평창강 합류구간의 횡단면 수위차 분석)

  • Kim, Gee-Hyoung;Choi, Gye-Woo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 /
    • v.6 no.4 s.23
    • /
    • pp.57-65
    • /
    • 2006
  • In this study, hydraulic model same as natural channel with junction area and curved reach is constructed, and after that the variation of difference of the water surface elevation at cross section in junction area is analyzed using constructed hydraulic model. In junction area, the variation of maximum water level based on downstream section is more affected in discharge ratio at upstream than downstream. The maximum water level increased as closed to junction and the peak level appeared at just downstream of junction. The slope of water elevation at cross section is affected in section shape and decreased as discharge ratio is reduce. The expressed formulas developed in the channel consist of constant curvature and section shape showed difference of 60% with measured value, but the suggested formula in this study to compute difference of water surface elevation showed difference of 10% with measured value.

Development of Stream Bed-slope Estimation Equation for Preparing Data in a Grid-based Storm Runoff Model (분포형 강우-유출 모형 자료구축을 위한 하상경사 산정공식 개발)

  • Jung, In-Kyun;Joh, Hyung-Kyung;Park, Jong-Yoon;Park, Min-Ji;Kim, Seong-J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160-163
    • /
    • 2010
  • 분포형 강우-유출모형의 모의결과는 지형, 토지피복 및 토양 특성에 영향을 받는다. 그 중에서 지형과 관련하여 하도에 위치한 셀의 경사는 첨두 유출량의 도달시간과 매우 밀접한 관계가 있다. 분포형 강우-유출모형에서 하도의 지형적 특성은 모든 하도 셀마다 입력되어야 하는데 셀이 위치한 지점별로 실제 하천측량을 통해 입력하는 것이 가장 정확한 방법일 수 있으나 시간과 많은 비용이 소요되므로 DEM(Digital Elevation Model)으로부터 산정된 경사 값을 주로 적용한다. 본 연구에서는 충주댐유역의 2006~2008년 수립된 13개 하천의 하천정비기본계획을 참고하여 1,100개 횡단측점에 대한 하상경사를 구축하고 유역의 흐름경로길이와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서 분포형 강우-유출모형의 하상경사를 적용할 수 있는 산정공식을 개발하였다. 4개 강우사상에 대하여 적용하여 DEM으로부터 산정된 경사를 적용한 경우와 비교한 결과 첨두유량이 증가하고 첨두유출 발생시간이 단축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 PDF

Design of Road Surface Drainage Facilities Based on Varied Flow Analysis (부등류 해석을 기반으로 한 노면배수시설 설계)

  • Ku, Hye-Jin;Kim, Jin-Soo;Park, Hyung-Seop;Jun, Kyung-Soo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1 no.12
    • /
    • pp.1173-1185
    • /
    • 2008
  • The design methods of the road surface drainage facilities were compared for the improvement of design method. We have developed four computational design models classified by the methods to determine the duration of design rainfall and to analyze the flow of a linear drainage channel. The critical duration was determined by assuming the critical duration to be 10 minutes or by finding the duration of design storm being similar to the travel time of flow by trial and error. The flow of a linear drainage channel was analyzed as the uniform flow or the varied flow. The design models were applied to the artificial road surface drainage facilities with various channel slopes and road shoulder slopes. If the rainfall intensity of the 10 minutes duration was applied, the outlet spacing obtained from the design based on the varied flow analysis was larger than the uniform flow analysis only when the channel slope and the road shoulder slope was small. On the other hands, if the duration of design rainfall was determined by calculating the travel time, the varied flow analysis brought about larger outlet spacing than the uniform analysis for all conditions. However, the model of the critical duration concept and the varied flow analysis resulted in smaller outlet spacing than the current design method employing the rainfall of 10 minutes duration and the uniform flow analys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