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황제내경(黄帝内经)

검색결과 202건 처리시간 0.021초

"황제내경(黃帝內經)"의 치료(治療) 이법(理法)에 관(關)한 연구(硏究)

  • 유재경;윤창열
    • 혜화의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25-41
    • /
    • 2007
  • 內經在確立治則後具體提示了治療理法, 其大體可分爲四種理法. 首先, 應根據邪氣侵入之深淺, 傳變之順序, 病位之表裏, 詳查其陰陽表裏內外而分别施行各自不同領域的治療;對於有無表病或裏病的診斷問題上, 一般當先查表病之有無. 其次, 強調了隨陰陽盛衰而顯現變化的寒熱溫涼症候的調節, 而寒熱的具體情況又有虛實之分, 故當詳查具體病症的陰陽虛 實情況. 同时, 还提示了在扶正祛邪治則下施行補瀉之法的具體方法, 其中補法用於正氣(氣血)虛的情況, 瀉法則用於邪氣實的情況. 具體的讲, 補法包括補氣, 益血, 滋陰, 壯陽等法, 瀉法包括通氣, 散火, 逐水, 開鬱等法. 另外, 尚有正治法與反治法, 正治法用於病性與藥性相逆的病症, 屬於比較單純的情況, 而反治法則用於藥性與病之假象相 從的病症, 屬於病情比較複雜和嚴重的情況, 但二者皆以把握病情的本質, 除去根本病因爲目的, 故皆屬'治病求本'之治療原則 下的治療理法. 綜合"內經"所提示的治療理法, 可看出在諸多辨證方法當中首重陰陽, 表裏, 寒熱, 虛實之八綱辨證. 對此, 李梴在"醫學入門 雜治賦"中談道: "百病難逃乎八要, 經曰病有八要, 不知其要, 病將安去. 表裏寒熱虛實邪正而己." 而程國彭在"醫學心悟 寒熱虛實表裏陰陽辨"中亦說道: "病有總要, 寒熱虛實表裏陰陽八字而已. 病情旣不外此, 則辨症之法, 亦不出外. "可見二人都在強調和說明"內經"的治療理法.

  • PDF

"황제내경(黃帝內經)"에서 간(肝)의 발생(發生)과 생리(生理)에 대한 고찰(考察)

  • 도영민;윤창렬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 /
    • 제18권2호통권29호
    • /
    • pp.213-228
    • /
    • 2005
  • ${\ulcorner}$재(在)${\ulcorner}$황제내경(黃帝內經)${\lrcorner}$중(中)${\ulcorner}$음양응상대론(陰陽應象大論)${\lrcorner}$여(與)${\ulcorner}$오운행대론(五運行大論)${\lrcorner}$소언급적(所言及的)‘동방생풍(東方生風) 풍생목(風生木) 목생산(木生酸) 산생간(酸生肝)’, 시설명관어간발생적문장(是說明關於肝發生的文章). 간장혈시간지발생학특성중속산생간(肝臧血是肝之發生學特性中屬酸生肝), 즉종음식소공응적음형물질전화위양기적생리현상(卽從飮食所供應的陰形物質轉化爲陽氣的生理現象), 간적저장혈액공능가시위수곡지기적산미적작용(肝的貯藏血液功能可視爲水穀之氣的酸味的作用). 간적발생논설명천지지조합작용시인류적생성근본인소(肝的發生論說明天地之調合作用是人類的生成根本因素). 설명재천지육기화지지오행중개입오미(說明在天之六氣和地之五行中介入五味), 기가생성인류(旣可生成人類). 종이재차가이확인관우인류발생지(從而再次可以確認關于人類發生之)‘천지합기명왈인(天地合氣命曰人)’적함의(的含意). 간적발생원리설명료간시통과무극(肝的發生原理說明了肝是通過無極), 태극(太極), 음양급소생성적육기화오행상조합이생성적(陰陽及所生成的六氣和五行相組合而生成的), 저일점확인료차위양화기(這一點確認了此爲陽化氣), 음성형적과정(陰成形的過程), 시설명우주만물화인류생성적근본원리(是說明宇宙萬物和人類生成的根本原理).

  • PDF

금각본(金刻本) "소문(素問)"에 대하여 (金刻本 "素問" 楬秘)

  • 전초진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81-88
    • /
    • 2004
  • "황제내경 소문(黃帝內經 素問)" 24권에서 1권이 망실(亡失)되었다. 금각본(金刻本)은 지금 권3에서 권5, 권11에서 권20이 현존하고 있고 1권이 망실(亡失)되고 모두 13권으로 되어 있다. 이 책의 권3앞 페이지의 "황제내경 소문(黃帝內經 素問)" 제목밑에 "국립북평도서관수장(國立北平圖書館收藏)"이라는 도장이 찍혀 있는데, 이는 바로 1949년전에 원래 국립북평도서관(國立北平圖書館)(지금은 북경도서관(北京圖書館)으로 이름을 바꾸었음)에 수장(收藏)되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도서관(圖書館)에서는 이 책의 갈피에 다음과 같은 감정(勘定)문자를 적어 놓았다. "황제내경 소문(黃帝內經 素問)24권에서 l권이 망실(亡失)되고 13권이 보존되어 있는데 권3에서 권5까지, 권11에서 권18까지, 권20이다. 망실(亡失)된 편장(篇章)이 있다. 당대(唐代)의 왕빙(王冰)이 주석을 달았다. 금각본(金刻本) 5책(冊)이 있다." 왕빙(王冰)이 편차(編次)하고 주역(註譯)을 단 "소문(素問)"(즉 왕빙본(王冰本))은 모두 24권인데 그 당시에 이미 권7인 "자법론(刺法論)", "본병론(本病論)"이 망실(亡失)된 상태이다. 현존(現存)하고 있는 "소문(素問)" 금각본(金刻本)은 그 분량이 비록 왕빙본(王冰本)의 1/2정도밖에 되지 않지만 양(量)으로 판정할 수 없을 정도로 큰 가치를 가지고 있다. 이 책은 "소문(素問)" 판본학(版本學), 교감학(校勘學) 및 "소문(素問)"석음(釋音)의 연구에 있어서 모두 엄청난 가치를 지닌다. 현존(現存)하고 있는 금각본(金刻本)13권은 "소문(素問)"판본 중에서 가장 오래 된 각본(刻本)이다. 이 책은 비록 중국의서목록(中國醫書目錄)에 기재되어 있지만 중국에서 간행(刊行)된 적이 없고 의서문헌(醫書文獻)을 연구하는 사람들도 이 책에 대하여 알고 있는 사람이 드물다. 금각본(金刻本)과 "중광보주황제내경소문(重廣補注黃帝內經素問)의 가장 다른 곳은 석음(釋音)부분이다. 금각본(金刻本)은 석음(釋音)이 비교적 많고 글자 밑에 훈고(訓詁) 또한 많다. "중광보주(重廣補註)"본(本)은 석음(釋音)이 비교적 적고 글자 밑에 훈고(訓詁)가 거의 없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