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황사 발생일

검색결과 190건 처리시간 0.023초

2002년 봄철에 관측된 황사사례에 대한 수치 모의 (Numerical simulation of Asian dust event observed in spring 2002)

  • 인희진;이은희;박순웅
    • 한국대기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대기환경학회 2002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91-92
    • /
    • 2002
  • 2002년 봄철에는 예년에 비하여 황사현상이 자주 발생하였는데 특히 3월 21-22일 과 4월 7-8일에는 예전에 찾아 볼 수 없을 정도의 강한 황사가 한반도에서 관측되었다. 이 사례들로 인하여 황사로 인한 재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황사의 정량적인 예보가 필요함을 인식하게 되었고 이를 위해서 황사의 발생과 수송과정에 대한 수치모델의 정립이 요구된다고 하겠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황사의 발생을 예측하고 정량적으로 예보하기 위한 모델을 구축하고 2002년 두 차례의 강한 황사 사례에 적용하여 그 모델을 개선하고자 한다. (중략)

  • PDF

황사 및 관련예보 정확도가 천식질환 발생빈도에 미치는 상관관계 분석 (Correlation Analysis About the Effect of Asian Dust Storm and Related Forecasts on Asthma Disease)

  • 이기광
    •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234-239
    • /
    • 2012
  • 황사(Asian dust storm, ADS)란 중국이나 몽골 등 중앙아시아 지역의 사막 지대의 작은 모래나 황토 또는 먼지가 하늘에 떠다니다가 상층풍을 타고 멀리까지 날아가 떨어지는 현상을 말하며, 주로 봄철에 우리나라를 비롯한 동아시아 지역에 영향을 준다. 이와 같은 황사에 영향을 받는 지역에서는 거주민들의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2005년도에서 2008년도까지 4년간 서울지역 거주민들 사이에서 황사현상이 천식질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황사발생일(기준일 또는 index day)과 기준일 대비 7일 전후(비교일 또는 comparison day) 황사가 발생하지 않은 날에 병의원에서 진료를 받은 천식환자 수를 황사예보의 정확도에 따라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24시간 전 제공된 황사예보가 황사발생을 정확히 예측한 경우라 하더라도 비교일 대비 기준일의 천식환자 수가 여전히 더 많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다만, 증가 정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은 아니었다는 점에서 정확한 황사예보가 최소한 어느 정도는 천식질환 발생을 저감시키는 효과는 분명히 가지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반면에 24시간 전 황사예보가 황사발생을 정확하게 예측하지 못한 경우에는 비교일 대비 기준일에서 5~6일 후에 진료 받은 천식환자 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할 수준까지 높게 나타났다. 하지만, 기준일 및 기준일 다음 날의 경우에는 오히려 천식환자 수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해 황사예보 및 황사발생의 다양한 경우에 따라 천식환자 수의 일정한 변화패턴이 발견되었으며,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황사 관련 의료서비스 체계를 보다 효율적으로 설계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발원지에서의 황사발생과 지표건조지수의 시계열 연구

  • 손혜영;김철희
    • 한국환경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환경과학회 2007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발표논문집
    • /
    • pp.97-98
    • /
    • 2007
  • 중국의 황사 발원지 4곳을 선정하여 강수량과 EDI(가뭄지수)를 사용하여 FFT를 적용한 결과 강수량보다 EDI를 사용했을 때, 2.24년, 3년, 3.37년 정도의 주기가 나타났다. 따라서 황사의 예보를 정확하게 하기 위해 가뭄과 황사 발생관계를 알아보는 것이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된다. 그래서 이후에 EDI 외 다른 가뭄지수(PNS)도 수용하여 황사발원지의 표면 상태와 황사발생현상에 대한 관계를 더 정확하게 규명할 것이다.

  • PDF

황사발생기간 중 초등학교 학생들의 건강영향연구 (A Study of Health Effect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of during the Asian Dust)

  • 문정숙;김윤신;홍승철;이철민;박원석;전형진
    • 한국대기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대기환경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93-194
    • /
    • 2003
  • '90년대부터 3, 4월 봄철에 부는 황사현상은 해마다 발생량이 증가되는 것은 물론 그 시기 또한 빨라지며 최근 들어는 계절과 관련 없이 가을과 겨울황사도 발생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다행이 올해의 경우는 지난 2002년 겨울 황사발생지의 강수량 증가로 인하여 다소 소강상태를 보이고 있으나 지난해 3월과 4월 최악의 황사대란을 맞이하였던 우리 나라의 경우는 단순한 월경성 대기오염을 넘어서 2002년 4월에는 황사예보제가 실시되고 있는 실정이다. (중략)

  • PDF

2000~2008년 봄철 황사와 산불발생의 관계 분석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Forest Fire Occurrence and Asian Dust during the Spring Season from 2000 to 2008)

  • 원명수;윤석희;이우균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148-156
    • /
    • 2011
  • 산불발생 위험성이 높은 봄철(2~5월)을 대상으로 2000년부터 2008년까지의 한반도 황사 관측 유무에 따른 산불발생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 황사로 인한 산불발생 패턴을 파악하기 위하여 9개의 황사 영향권역을 설정한 후 황사가 관측된 날과 황사가 관측되지 않았던 전 후 3일에 대한 지역별 자료를 ArcGIS 9.2에서 1km${\times}$1km 공간 해상도로 거리역산가중(IDW)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산불발화지 인근 기상관측소의 기온, 상대습도, 풍속 자료는 황사가 있던 날과 없던 전 후 3일에 대한 산불발생패턴을 파악하고 황사와 산불발생위험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2000~2008년 황사 관측은 3월에 36회, 4월에 30회 순으로 발생하였고, 권역별로는 황사빈도가 경기와 충북 권역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황사관측 유무에 따른 지역별 산불발생빈도는 황사 3일 전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경기와 강원 영서 권역이 경계한 인접지역과 충청 및 경북 내륙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반대로 경남 권역은 2건 이하로 가장 낮은 산불발생빈도를 보였다. 황사관측 유무에 따른 산불발생과 위험지수의 상관관계는 황사 전 후 3일에만 상관계수($R^2$)가 0.50038과 0.53978로 1% 유의수준에서 상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황사가 관측된 날에는 서로 상관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불발생빈도와 기상과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는 황사관측 유무 모두에서 풍속이 산불발생과 1% 유의수준에 -0.58623 ~ -0.61245로 상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상대습도는 황사관측 일과 3일 후에 -0.2568, -0.35309(p${\leq}$0.01)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황사3일 전은 -0.23701(p${\leq}$0.05)의 상관을 보였다. 그러나 평균기온은 황사관측 유무에 따라 산불발생이 전혀 상관하지 않았다. 따라서 우리나라 산불의 대부분은 인위적으로 발생하기 때문에 지역별로 황사 관측 유무에 따라 야외활동의 증감이 산불발생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판단되며, 기상 요소 중에서 평균풍속은 황사 관측과 무관하게 산불발생에 가장 큰 영향을 주었다.

2002년 봄철 종관관측소에서의 먼지발생 보고 분석 (An analysis of dust-occurrence reports at WMO synoptic stations in spring 2002)

  • 인희진;이은희;박순웅
    • 한국대기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대기환경학회 2002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93-94
    • /
    • 2002
  • 최근에 중국의 북서쪽 지방이 급격하게 사막화가 진행되면서 동아시아 지역에서 황사현상의 강도와 발생빈도가 증가하고 있다. 한반도에서도 2002년 봄철에는 예년에 비하여 황사현상이 자주 발생하였는데 특히 3월 21-22일 과 4월 7-8일 에는 예전에 찾아 볼 수 없을 정도의 강한 황사가 한반도에서 관측되었다 이 연구에서는 WMO 종관관측소의 먼지발생 보고 자료 (Chun, 1996; In and Park, 2002)를 분석하여 2002년 봄철에 관측된 황사의 발원지를 확인하고 먼지발생과 관련한 기상조건을 살펴보고자 한다. (중략)

  • PDF

황사토양입자의 물리ㆍ화학적 특성 (Physical and Chemical Characterization of Soil in China)

  • 신선아;고준석;한진석;최덕일;여상진;박순웅;김신도
    • 한국대기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대기환경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79-180
    • /
    • 2003
  • 황사가 발생하는 중국 지역의 토양 특성은 우리나라로 이동되어온 황사성분의 특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중의 하나이다. 따라서, 황사토양입자의 특성과 지역적 차이에 대한 자료를 마련하기 위해 대표적인 황사 발생원으로 알려져 있는 중국 내륙의 황토지역과 북부 사막지역을 포함하는 총 37개의 토양 시료를 중국에서 채취하였으며, 채취한 각 토양시료의 분석을 통해 황사토양입자의 물리ㆍ화학적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중략)

  • PDF

2002년 11월 황사의 기상학적 특성 및 강도추정 (Meteorological characteristics of Asian dust and estimation of its intensity in November, 2002)

  • 송상근;김유근
    • 한국대기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대기환경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19-120
    • /
    • 2003
  • 최근 중국에서 발생한 황사는 대기환경적 및 기후변화 측면에 이르기까지 심각한 피해를 주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어 더 이상 황사는 동아시아에 국한된 문제가 아닌 전 세계의 환경이슈로 떠오르고 있다. 물론 과거에도 황사에 의한 피해는 계속되어 왔지만 중국 건조지대의 기온 증가, 강수량 감소로 인한 사막화 현상과 삼림감소 등의 영향으로 황사현상의 발생빈도는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중국의 급속한 경제성장 및 산업화로 인해 배출된 다량의 오염물질이 황사와 섞여 함께 수송되므로 그 피해는 훨씬 심각하다. (중략)

  • PDF

대기 확산 모형을 이용한 황사 사례 모의 (Simulations of Yellow Sand by using atmospheric dispersion model)

  • 김수현;신혜정;최병철;한문희
    • 한국대기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대기환경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401-402
    • /
    • 2001
  • 우리나라에서는 봄철 중국대륙에서 수송된 황사가 빈번히 관측된다. 황사의 발원지는 고비사막, 타클라마칸 사막, 황토고원, 만주 지역 등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건조 지역의 지표에서 강한 바람이 불면 전단응력에 의하여 침식된 모래와 토양 입자가 주풍인 편서풍에 의해 이동하게 된다. 특히 우리나라는 발원지의 동쪽에 위치하여 황사의 영향을 많이 받아 왔다. 최근의 황사 관측 자료를 살펴보면 황사 발생 횟수와 발생 일수는 과거에 비하여 현저히 증가하는 추세이다. (중략)

  • PDF

2002년 봄철 서울에서 관측된 황사 입자의 크기분포 (Size Distribution of Asian Dust Measured at Seoul during the Spring of 2002)

  • 배귀남;임득용;김민철;문길주;심상규
    • 한국대기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대기환경학회 2002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02-203
    • /
    • 2002
  • 황사는 아시아 대륙의 중심부에 위치한 건조지대와 황토지대의 작은 모래나 황토가 공중에 부유하거나 상층 바람을 타고 멀리 수송되어 다시 지면 가까이 낙하하는 현상을 말한다(오성남 등, 1999). 최근 황사가 빈번하게 발생됨에 따라 황사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1990년대 초부터 황사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수행되고 있다(배귀남 등, 2002b; Chun et al., 2001; 오성남 등, 1999). 본 연구에서는 2002년 봄철에 발생된 황사기간 동안 측정한 에어로졸의 농도 및 크기분포 특성을 고찰하였다.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