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황기(astragalus membranaceus)

검색결과 154건 처리시간 0.03초

황기분말을 첨가한 어묵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Fish Paste Prepared with Astragalus membranaceus Powder)

  • 김동호
    • 산업식품공학
    • /
    • 제15권4호
    • /
    • pp.362-369
    • /
    • 2011
  • 본 연구는 식품소재로서의 활용가능성이 높고 생리활성 효과가 우수한 황기분말을 농도별로 첨가(0.5%, 1.0%, 1.5%, 2.0%)하여 어묵을 제조하고 품질특성을 측정하였다. 수분함량은 황기분말의 첨가여부에 관계없이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pH는 전체적으로 6.75-6.86의 범위를 나타내었다. L값은 황기분말의 첨가량 증가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a값은 높아지고 b값은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황기분말 첨가 어묵의 절곡 검사 결과는 모든 시료에서 AA로 측정되어 황기분말의 첨가가 어묵의 유연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기계적 조직감 중 강도(strength)는 황기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높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검성(gumminess), 응집성 (cohesiveness), 파쇄성(brittleness)은 황기분말 2.0% 첨가구가 가장 높게 측정되었다. 황기분말 첨가 어묵의 관능적특성 중 생선 비린내 정도(fishy smell)는 황기분말의 첨가량 증가에 따라 강도의 정도가 약해졌으며 구수한 냄새의 정도(savory smell)는 황기분말 1.0% 첨가구가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다. 구수한 맛의 정도(savory taste)는 황기분말 1.0% 첨가구가 6.27로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으며 느끼한 맛의 정도(oily taste)는 황기분말 첨가량의 증가에 따라 약해지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황기맛의 정도(Astragalus membranaceus taste)는 황기냄새의 정도와 마찬가지로 황기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강하게 평가되었으며 관능적 조직감의 정도는 각 시료간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관능적 선호도 평가결과, 황기분말 1% 첨가구가 냄새, 맛, 조직감, 전반적인 선호도 항목에서 가장 우수함을 나타내었다.

황기의 첨가.급여가 육계의 생산성 및 혈액의 성상과 육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etary Supplemental Astragalus membranaceus on Performance, Blood Components and Meat Quality of Broiler Chicks)

  • 류경선;강창원;송근섭;백승운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185-193
    • /
    • 1998
  • 본 연구는 황기의 사료내 첨가·급여가 육계의 항병성, 생산성 및 계육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시행하였다. 기초사료는 전기 3주와 후기 2주에 각각 21과 19% 수준의 조단백질이 함유되었다. 시험설계는 황기의 첨가수준을 0, 0.25, 0.50, 1.00%로 4개의 처리구로 하였고, 처리구당 4반복으로 하였으며, 반복당 50수씩 800수를 이용하였다. 증체량, 사료섭취량, 사료요구율은 5주동안 매주 측정하였고, 시험 종료시에 혈액의 성상 및 계육의 지방과 단백질함량을 조사하였다. 황기 첨가구는 대조구에 비하여 성장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으나, 사료섭취량은 대조구에 비하여 현저하게 감소하였고(P<0.05), 사료효율은 0.25%첨가구에서 개선되는 경향을 보였다. 육계용 사료에 황기의 첨가수준이 증가함에 따라서 혈청 콜레스테롤과 AST는 감소하였으며, 헤마토크릿, 지방, 인과 BUN의 수준은 0.25%첨가구에서 감소하였다. 혈청 GH와 IGF-1은 0.50과 1.00% 황기 급여구에서 대조구에 비하여 낮았다. 0.25와 0.50%황기 첨가구에서 가슴육의 지방과 단백질함량은 대조구에 비하여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0.50%이상의 수준에서는 일관성이 없었다. 본 시험의 결과 육계용 사료에 황기의 적정 첨가수준은 0.25%이하에서 생산성과 항병성 및 계육의 품질을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서울, 경기지역의 황기에 대한 인지도 및 이용실태 조사 (An Investigative Analysis of Recognition and Uses for Astragalus Membranaceus in Seoul and Kyunggido Area)

  • 김명선;오윤재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7권7호
    • /
    • pp.109-116
    • /
    • 2009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recognition and uses of Astragalus membranaceus. The survey methodology employed was a questionnaire, which interviewed 272(37.8%) males and 448(62.2%) females from the Seoul and Kyunggido area.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40-50 years old like and eat Astragalus membranaceus more frequently than 10-30 years old. The most popular reason provided for the preference of Astragalus membranaceus was good health benefits. People indicating a dislike for Astragalus membranaceus had generally fewer previous experiences of eating this plant. The main purchasing place appears to be traditional markets and supermarkets. Astragalus membranaceus was acknowledged as having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excellent nutrition’(3.82), ‘natural food’(3.76), ‘possessing anti-cancer and anti-oxidization characteristics’(3.70) and ‘good for liver function, a depressant and good coelenteron effects’(3.62). However, it was not associated with a ‘cheap price’(3.02) and was regarded as ‘difficult for buy’(3.10). Recognition and eating experience was low for Astragalus membranaceus kimchi and rice bread, bread, sauce and Astragalus membranaceus added health drinks. However opinion of its taste was regarded highly.

황기 추출액이 함유된 된장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Doenjang containing Astragalus membranaceus water extracts)

  • 민성희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2권4호통권94호
    • /
    • pp.514-520
    • /
    • 2006
  •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doenjang which contained Astragalus membranaceus water extracts were investigated in this study. The contents of moisture, crude protein, and crude fat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the doenjang which contained Astragalus membranaceus water extracts. The crude ash content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doenjang which contained Astragalus membranaceus water extracts. The doenjang which contained Astragalus membranaceus water extracts showed higher a-value. Antioxidative activity was evaluated by using the thiobarbituric acid reaction products assay and peroxide value. Antioxidative activity and hydrogen donating activity were increased in doenjang which contained Astragalus membranaceus water extracts. Doenjang which contained Astragalus membranaceus water extracts showed no differences with traditional doenjang in sensory profiles of taste, color, flavor, and overall quality. These result showed the applicability and higher quality of doenjang which contained Astragalus membranaceus water extracts.

황기분말 첨가 설기떡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Added with Astragalus membranaceus Powder)

  • 이세희;조성현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233-239
    • /
    • 2013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rheolog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added with Astragalus membranaceus powder. The moisture content of the Sulgidduk ranged from 42.03% to 43.38%. The addition of Astragalus membranaceus powder in the Sulgidduk tended to decrease the pH value, but did not change $brix^{\circ}$ values of the samples. the addition of Astragalus membranaceus powder in the Sulgidduk tended to decrease the lightness (L) in Hunter color value, but to increase the redness (a) and yellowness (b). For the textural characteristics, the addition of Astragalus membranaceus powder decreased the hardness and springiness. In sensory evaluation, the addition of 1.5% Astragalus membranaceus powder had the best score in taste and overall preference. Therefore, this results suggest that adding 1.5% Astragalus membranaceus powder could be applied for making Astragalus membranaceus Sulgidduk.

황기(Astragalus membranaceus Bunge) 뿌리의 성분연구 (III) (A Study on the Constituents from the roots of Astragalus membranaceus(Bunge) (III))

  • 김정숙;김진숙
    • 생약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09-111
    • /
    • 2000
  • Two compounds were isolated from the root of Astragalus membranaceus(Bunge). On the basis of spectroscopic data their structures were identified as stigmast-4-en-3-one and a mixture of 2'-angeloyloxy-1',2'-dihydroxanthyletin and 2'-senecioyloxy-1',2'-dihydroxanthyletin. They were first isolated from the genus of Astragalus.

  • PDF

황기(Astragalus membranaceus Bunge) 뿌리의 성분 연구 (II) (A Study on the Constituents from the Roots of Astragalus membranaceus (II))

  • 김진숙;김정숙
    • 생약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75-79
    • /
    • 1997
  • Two compounds were isolated from roots of Astragalus membranaceus Bunge. On the basis of chemical spectro scopic evidence, they were identified as Formononetin (compound E) and Linoleic acid (9Z,12Z-Octadecadienoic acid) (compound F). Linoleic acid (9Z,12Z-Octadecadienoic acid) was reported the first time from the genus Astragalus.

  • PDF

황기가루를 첨가한 식빵의 품질 특성 (Effect of Astragalus membranaceus Powder on Yeast Bread Baking Quality)

  • 민성희;이보람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228-234
    • /
    • 2008
  • In this study, Astragalus membranaceus powder was added (3, 6, 9%) during yeast bread preparation and its effect on product quality was examin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dough pH increased as the Astragalus membranaceus powder content increased. However, dough volume during fermentation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among the samples. Bread volume decreased (p<0.001) with an increasing amount of Astragalus membranaceus powder. Also, as the Astragalus membranaceus powder content increased, the Hunter’s color ‘L’ value of the crust decreased and the ‘a’ value increased, and for the crumb, the ‘L’ value decreased and the ‘a’ value increased. Textural property analysis indicated that hardness increased with an increasing amount of Astragalus membranaceus powder. However, up to the 6% level, there were no sensory attribute differences among the samples.

지황과 황기의 화학적 잡초 방제 (Chemical Weed Control in Rehmannia glutinosa and Astragalus membranaceus)

  • 김영국;방진기;유홍섭;성낙술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221-226
    • /
    • 1998
  • 지황과 황기의 적합한 제초제를 선발하여 제초의 생력화를 향상코자 지황에 5약제를 처리 하고 황기에 7약제를 공시하여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지황의 약효시험에서 경엽처리제인 Paraquat는 다년생 잡초의 방제가가 매우 높았다. 2. 정식후 토양처리형 제초제인 Napropamide와 Linuron도 약해 피해 없이 제초 효과가 있었다. 3. 지황 수량은 손제초구의 509kg/10a에 비해 Paraquat 처리구(524kg)에서 3% 증가하였으며, Napropamide, Linuron 처리구는 101%, 94% 수준이었다. 4. 황기는 파종후 토양처리형 제초제인 Nafropamide구에서 약해증상이 나타나지 않았고 1년생 잡초의 제초효과는 87%이었다. 5. Ethalfluralin과 Metolachlor은 제초효과는 높았지만 발아후 초기 생육시 생육지연 현상이 나타났다. 6. 황기 수량은 약해가 발생하지 않은 Napropamide 처리구가 양호하여 대비구의 129kg/10a 대비 98% 수준이었다.

  • PDF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서의 황기 에탄올 추출물과 황기 생물전환 추출물의 생리활성 특성 (Bioactive Characteristics of the Astragalus Membranaceus Ethanol & Bioconversion Extracts as functional Cosmetic materials)

  • 배혜경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1265-1272
    • /
    • 2021
  • 본 연구는 황기 에탄올 추출물과 황기 생물전환 추출물의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서 가능성 여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항산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측정하였고, 세포실험을 통해 피부 세포에 대한 독성과 피부 세포 노화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항산화 실험 결과,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효과에서는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이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고, 생물전환 추출물에 비해 에탄올 추출물에서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황기 추출물과 생물전환된 황기추출물이 HDF 세포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MMP1 발현 억제 효과가 증가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황기 추출물과 황기 생물전환 추출물의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 사용 시 항산화와 피부 노화 예방 관점에서의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 매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