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황금배

검색결과 86건 처리시간 0.018초

외관(外觀)이 수려한 추석(秋夕) 출하용 중생종 배 '신일(新一)' 육성(育成) (Breeding of Middle Season Pear Cultivar 'Shinil' with Attractive Appearance for Chuseok Season)

  • 김휘천;황해성;신용억;신일섭;이돈균;강상조;천병덕;문종열;김정호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19권1호
    • /
    • pp.60-65
    • /
    • 2001
  • 원예연구소(園藝硏究所) 과수육종과(果樹育種科)에서 '78년에 '신흥(新興)'과 '풍수(豊水)'를 교배(交配)하여 얻은 계통(系統) 중 78-29-3이 중생(中生)이면서 감미(甘味)가 높아 '91년에 1차 선발(選拔)되었다. '92년부터 '95년까지 4년간 '원교(園交) 나-13호'로 9개 지역에서 지역적응시험(地域適應試驗)을 실시한 결과, 그 특성이 우수하여 '95년에 최종(最終) 선발(選拔)하여 '신일(新一)'로 명명(命名)하였다. 수세(樹勢)는 중(中), 수자(樹姿)는 반개장형(半開張形)이며 단과지(短果枝) 형성(形成)이 잘되어 풍산성이고 배나무잎검은점병과 흑반병(黑斑病)에 강하여 재배가 용이하다. 만개기(滿開期)는 '95년 4월 27일로 장십랑(長十郞)과 같고 꽃가루가 풍부하며 '조생황금(早生黃金)' 이외의 주요(主要) 재배품종(栽培品種)과 교배친화성(交配親和性)으로 수분수(授粉樹) 품종으로도 좋다. 숙기(熟期)는 9월 25일로 풍수와 비슷하며 추석(秋夕)이 9월 하순(下旬)인 해에 유리하다. 과형(果形)은 원형이며 과피색(果皮色)은 선명한 담황갈색으로 외관(外觀)이 수려하고 과중(果重)은 370g 내외로 장십랑 정도이며 당도(糖度)는 $14.0^{\circ}Bx$로 장십랑보다 높다. 육질(肉質)은 유연다즙(柔軟多汁)하고 석세포(石細胞)가 적어 장십랑과 대비되며 과육색(果肉色)은 투명한 백색(白色)으로 아름답다.

  • PDF

국내 재배 베리류의 화학 조성 및 기능성 성분과 항산화 활성 (Chemical Composition, Functional Constitue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Berry Fruits Produced in Korea)

  • 이용철;이집호;김성단;장민수;조인순;김시정;황금택;조한빈;김정헌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9호
    • /
    • pp.1295-1303
    • /
    • 2015
  • 국내에서 주로 재배되는 대표적인 베리류에 대한 화학 조성 및 기능성을 알아보고자 일정 시기에 수확한 오디, 블랙라즈 베리, 라즈베리, 블루베리의 pH, 산도, 유리당, ${\gamma}-aminobutyric$acid(GABA), 무기질 함량, phenolic compound, 항산 화 활성을 조사하여 비교하였다. 베리류 4종의 pH는 3.3~5.2로 블루베리가 가장 낮았고 오디가 가장 높은 반면, 산도는 0.26~1.10%(w/w)로 오디가 가장 낮았고 블랙라즈 베리가 가장 높았다. 베리류에서 검출된 유리당인 fructose와 glucose는 같은 비율로 존재하였고, 그 총량은 4.80~12.93%(w/w)로 오디가 가장 높았으며 블랙라즈베리가 가장 낮았다. GABA는 오디에 69.3 mg/100 g이 함유되어 있었는데, 이는 다른 베리류에 비해 3배 이상 많은 양이다. 베리류에 함유된 주요 무기질은 칼륨, 칼슘, 마그네슘이었고, 총 무기질 함량은 92.9~256.0 mg/100 g으로 블랙라즈 베리에 유의적으로 높게 함유되어 있었으며(P<0.05) 블루베리가 가장 낮았다. Total polyphenol과 total flavonoid 함량은 각각 198.2~547.2 mg/100 g과 5.0~94.6 g/100 g의 범위로 블랙라즈베리가 가장 높았고, 라즈베리는 유의적으로 가장 낮았다(P<0.05). Total anthocyanin은 19.8~385.6 mg/100 g의 범위로 블랙라즈베리가 가장 높았고, 라즈베리가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Total PA(phenolic acids)는 블랙라즈베리와 라즈베리에 각각 14.0 mg/kg과 5.9 mg/kg이 함유되어 있었는데 이는 오디에 함유된 50.4 mg/kg보다 낮았으며, 391.4 mg/kg으로 가장 높게 함유된 블루베리에는 PA의 대부분이 chlorogenic acid였다. 베리류 4종의 항산화 활성을 DPPH 및 ABTS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를 분석하여 Trolox equivalent 값으로 나타낸 결과 Trolox equivalent antioxidant capacity와 total polyphenol, total anthocyanin, total flavonoid 함량 과는 유의적인 양(+)의 상관관계(Pearson 상관계수 r${\geq}0.85$; P<0.01)를 나타내었고, 블랙라즈베리가 DPPH 및 ABTS 항산화 활성이 가장 우수하였다.

Phytophthora nicotianae와 P. palmivora var. palmivora에 의한 아주까리 역병 (Leaf Blight of Castor Bean Caused by Phytophthora nicotianae and P. palmivora var palmivora)

  • 김병수;임양숙;김정훈
    • 식물병연구
    • /
    • 제10권2호
    • /
    • pp.100-104
    • /
    • 2004
  • 대구시 황금동 주택가에 자라는 아주까리에 발생한 역병(잎마름병)에서 2종의 Phytophthora 균이 분리되었다. 그 하나는 유두돌기가 뚜렷하고, 비탈락성이며, 난형 내지 서양 배 모양의 유주자낭을 형성하고, 그 크기는 31.2-58.5${\times}$25.4-44.1 $\mu\textrm{m}$의 범위에 평균 46.4$\pm$6.5${\times}$35.9$\pm$4.7 $\mu\textrm{m}$, 이주성(Heterothallic)으로서 장란기는 둥글고, 직경 22.5-35.0$\mu\textrm{m}$ 범위에 평균 30$\pm$3.3$\mu\textrm{m}$,그 안의 난포자는 충만형이었으며, 직경 18.8-30.0$\mu\textrm{m}$ 범위에 평균 25.4$\pm$2.8$\mu\textrm{m}$ 이었다. 장정기는 장란기에 저착하였다. 이 종은 Phytophthora nicotianae로 동정되었다. 다른 하나의 종은 유두돌기가 뚜렷하고, 탈락성이며, 난형 내지 타원형, 기부에 자루가 붙어있는 유주자낭을 형성하였으며, 그 크기는 21.5-54.6${\times}$l7.6-34.3$\mu\textrm{m}$ 범위에 41.7$\pm$7.1${\times}$28.4$\pm$4.0$\mu\textrm{m}$, 이주성이었으며, 장란기는 구형, 직경 21.3-26.8$\mu\textrm{m}$ 범위에 평균 23.0$\pm$1.6$\mu\textrm{m}$, 난포자는 충만형, 직경 17.5-23.8$\mu\textrm{m}$ 범위에 평균 20.2$\pm$1.8$\mu\textrm{m}$, 장정기는 저착하였다. 이 종은 P. palmivora (Butler) Butler로 동정되었다. 2종 모두 후막포자를 형성하였다. 이들 2종 Phytophthora 균은 아주까리 유묘의 잎에 강한 병원성을 나타내었다. 이들 2종에 의한 아주까리 역병의 발생은 외국에서는 이미 보고되어 있으나 국내에서는 처음이다.

아이스크림 제품류에 함유되어 있는 지방함량 및 지방산조성 (Contents and Fatty Acid Compositions in Fats Extracted from Ice Creams and Ice Cream-Related Products)

  • 신민경;오현희;황금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721-728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시중에 유통되는 일반 '아이스크림' 22개 제품과 프리미엄 '아이스크림' 10개 제품, '아이스밀크' 22개 제품, '샤베트' 4개 제품, '비유지방 아이스크림' 11개 제품과 '빙과류'인 '비유제품 아이스크림' 5개 제품을 수집하여, 이들 아이스크림 제품류에서 추출한 지방의 조지방 함량과 지방산조성을 분석하였다. 일반 '아이스크림', 프리미엄 '아이스크림', '아이스밀크'에는 지방이 각각 $5{\sim}11%,\;13{\sim}17%,\;2{\sim}10%$ 함유되어 있었다. '샤베트', '비유지방 아이스크림', '비유제품 아이스크림'에는 지방이 각각 $2{\sim}7%,\;4{\sim}11%,\;1{\sim}2%$함유되어 있었다. 일반 '아이스크림' 22개 제품 중 14개 제품, 프리미엄 '아이스크림' 10개 모든 제품, '아이스밀크' 22개 제품 중 11개 제품에서 분리한 지방에는 포화지방산이 $63{\sim}75%$, 트랜스지방산이 $2{\sim}5%$ 함유되어 있었는데, 이는 우유나 버터에 있는 지방과 유사한 조성이었다. 그러나 일반 '아이스크림' 8개 제품과 '아이스밀크' 11개 제품에서 추출한 지방에는 lauric acid가 각각 $11{\sim}28%$$11{\sim}34%$ 함유되어 있었는데, 이는 우유나 버터의 지방을 조성하고 있는 lauric acid 함량보다 3배 이상 높은 값으로서 유지방만을 지방원료로 사용하였다고 보기는 어렵다. 이들 19개 제품 중에서 5개 제품에서만 유지방 이외에 '야자유'나 '정제가공유지'를 사용하였다고 표시하였다. '샤베트', '비유지방 아이스크림', '비유제품 아이스크림'에서 분리한 지방에는 포화지방산이 각각 $81{\sim}92%,\;76{\sim}99%,\;84{\sim}99%$ 함유되어 있었으며, lauric acid가 각각 $33{\sim}34%,\;17{\sim}45%,\;27{\sim}46%$로써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었다.

생약복합물의 지방세포형성억제 기전규명을 위한 전사체 분석 (Transcriptome Analyses for the Anti-Adipogenic Mechanism of an Herbal Composition)

  • 이해용;강련화;배성민;채수안;이정주;오동진;박석원;조수현;심예지;윤유식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7호
    • /
    • pp.1054-1065
    • /
    • 2010
  • 생약복합물인 SH21B는 황금(Scutellaria baicalensis Georgi), 행인(Prunus armeniaca Maxim), 마황(Ephedra sinica Stapf), 석창포(Acorus gramineus Soland), 포황(Typha orientalis Presl), 원지(Polygala tenuifolia Willd), 하엽(Nelumbo nucifera Gaertner)의 혼합(비율 3:3:3:3:3:2:2)으로 이루어졌다. SH21B는 예로부터 한의학에서 비만의 치료에 사용되어 왔으나 자세한 분자적 메커니즘과 효능에 대한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연구진은 선행연구를 통해 SH21B가 지방세포의 분화에서 adipogenesis (지방세포형성)와 관련된 유전자를 조절하여 중성지방의 축적을 억제함을 밝혔다. 본 연구에서는, microarray 기술을 이용하여 adipogenesis의 in vitro 모델인, 3T3-L1 세포에서 SH21B에 의한 지방세포형성 억제의 분자적 기작을 보다 상세하게 연구하고자 하였다. 전지방세포, 분화된 세포 그리고 SH21B에 의해 분화가 억제된 세포의 각각의 유전자 발현을 분석하기 위해 각 시료들에서 total RNA를 분리하여 cDNA를 합성한 후 microarray에 적용시켰다. 그 결과, 각각의 시료들의 비교에서 2배 이상의 유의한 발현 변화를 가지는 2,568개의 유전자를 확보하였다. 이 유전자들에 대해 Hierarchical clustering과 K-means clustering 분석을 진행하였고 서로 다른 양상을 가지는 9개의 군집(cluster)들을 분류하였다. 그 중, SH21B의 첨가에 의해 뚜렷하게 감소(cluster 4, cluster 6 및 cluster 9)하거나 반대로 뚜렷하게 증가(cluster 7와 cluster 8)하는 양상을 보이는 군집들을 따로 선별하여 그 군집들에 포함되어 있는 유전자들을 분석하였다. 선택 된 5개의 군집에는 지방세포형성과 세포증식에 관련된 유전자가 다수 포함되어 있었다. Cluster 4, cluster 6 그리고 cluster 9에는 peroxisome proliferator activated receptor gamma $\gamma$ ($PPAR{\gamma}$), CCAAT/enhancer binding protein $\alpha$ (C/$EBP{\alpha}$), sterol regulatory element binding transcription factor 1 (SREBF1), adiponectin (ADIPOQ), fatty acid synthase (FASN), lipoprotein lipase (LPL) 등의 지방세포형성 유도 및 관련 인자와 B-cell leukemia/lymphoma6 (BCL6), retinoblastoma 1 (RB1), cyclin-dependent kinase inhibitor 2C (CDKN2c), ras homolog gene family, member B (RHOB) 등의 많은 세포증식 억제 유전자가 포함되었다. 이와는 반대로, cluster 7과 cluster 8에는 $\beta$-catenin, cyclin D1 (CCND1), WNT1 inducible signaling pathway protein 2 (WISP2) 등과 같은 지방 세포형성 억제 조절자와 MARCKS-like1 (MARCKSL1), colony stimulating factor 1 (CSF1), discoidin domain receptor family, member 2 (DDR2), leukemia inhibitory factor receptor (LIFR) 등의 세포증식을 유도하는 조절자가 다수 포함되었다. 결론적으로, 이러한 결과들은 SH21B가 지방세포형성과 관련된 조절자 및 세포증식과 관련 된 조절자들의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여 지방세포형성을 억제함을 제시한다.

일반메밀과 쓴메밀의 식초 추출물의 알코올 대사 및 숙취개선 효능 평가 (Evaluation of the Effects of Hangover-Releasing Agent Containing Vinegar Extract in Common Buckwheat and Tartary Buckwheat on Alcohol Metabolism and Hangover Improvement)

  • 김수정;손황배;박아현;이종남;박수형;남정환;김도연;장동칠;김율호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435-445
    • /
    • 2023
  • 메밀은 루틴과 콜린을 많이 함유한 기능성 작물로 항산화, 항염증, 항당뇨 등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일반메밀과 쓴메밀 식초추출물의 알코올대사와 숙취해소에 대한 효능을 비교 평가하기 위해 혈중 알코올 분해능, 혈액과 간조직의 Alcohol dehydrogenase (ADH) 및 Acetaldehyde dehydrogenase (ALDH) 효소 측정, 간 조직의 Superoxide Dismutase (SOD)와 Catalase 농도를 분석하였다. 루틴 함량은 쓴메밀 종실에서 일반메밀 종실보다 55배 높았다. 콜린 함량은 쓴메밀 식초 추출물에서 약간 높게 나타났다. 알코올 분해능은 대조군에 비해 쓴메밀군에서 36.0%의 알코올 농도 감소 효과를 보여 유의한 알코올 분해 효과가 인정되었다. 혈중 아세트알데하이드 농도는 대조군에서는 시간이 경과할수록 증가하였으나, 일반메밀군은 120분, 쓴메밀군은 90분에 최고치 도달 후 감소하여 숙취 개선 효능이 확인되었다. 또한, 혈액과 간 조직의 ADH와 ALDH 효소 활성은 대조군에 비해 메밀처리군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 숙취해소 효과가 모두 인정되었으며, 일반메밀군보다 쓴메밀군에서 더 우수하였다. 간 조직의 SOD와 Catalase 활성도 일반메밀보다 쓴메밀군에서 각각23%, 37% 고도로 유의미하게 높았다. 이상의 결과를 요약하면, 일반메밀과 쓴메밀 식초추출물은 모두 숙취해소에 효과가 있었으며, 특히 루틴 함량이 높은 쓴메밀 '황금미소'는 일반메밀보다 숙취해소 소재로 개발하는데 활용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