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활성MgO

검색결과 814건 처리시간 0.024초

MgB$_4$O$_{7}$ (Mn) TLD에 의한 $^{60}$ Co 강내 치료 환자의 직장의 흡수선량 평가 (The evaluation of absorbed dose of rectum for the patient of intracavitary treatment $^{60}$ Co by MgB$_4$O$_{7}$ (Mn) TLD)

  • 유명진;신병철;문창우;정태식;염하용;도시홍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5권2호
    • /
    • pp.21-26
    • /
    • 1994
  • 자궁강내 치료시 직장의 흡수선량을 TLD로 직접 측정함으로써 컴퓨터에 의한 계산값과 비교하여 보다 더 정확한 흡수선량을 결정하고자 한다. 마그네슘 보레이트에 Mn을 활성제로 첨가한 MgB$_4$O$_{7}$ (Mn) TLD를 제작하여 기본적인 특성조사를 하였다. 1994년 4월부터 9윌까지 고신의료원 치료방사선과에서 $^{60}$Co 강내치료를 받은 환자 33명을 대상으로 직장의 흡수선량 측정을 하였다. 직장의 흡수선량을 컴퓨터로 계산한 값과 TLD로 측정한 값을 비교한 결과 대부분이 10-59%이내의 차이를 보였다. Tandem과 Ovoid를 같이 사용한 환자보다 Ovoid만 사용한 환자에게 있어서 차이가 적게 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수종 생약의 항혈전활성 (Antithrombotic Effects of Some Traditional Plant Medicines)

  • 윤혜숙;정교순;김문희;오재희
    • 생약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54-158
    • /
    • 1995
  • Twentyfive plant crude drugs with traditional reputation were selected for the antithrombotic screening. MeOH (80%) extract of each plant was given (500 mg/Kg, p.o.) to mice 1 hr prior to the thrombotic challenge (1.8 mg collagen plus 180 ug epinephrine/Kg, i.v.). Seven extracts (1, 2, 8, 10, 18, 22 and 23) showed either comparable or better recovery than aspirin (50 mg/Kg, p.o.) from paralysis caused by the pulmonary thrombosis. 1, 2, 8, 10, 18, 22 and 23 were fractionated to $CH_2Cl_2$ soluble (fr I) and $H_2O$ soluble (fr II) fractions and each fraction (100 mg/Kg, p.o.) was also tested. Mice treated with fr I of 2 (Angelica koreana), 10 (Corydalis spp.) or 23 (Schizonepeta tenuifolia) showed higher recovery and lower mortality rates than aspirin (50 mg/Kg, p.o.) treated mice.

  • PDF

우리나라 재래 소주에 관한 미생물학적 연구 -제1보. 영광 토종국에서 분리한 곰팡이의 Amylase 활성- (Microbial Studies on the Korean Traditional Soju -Part 1. Characteristics of Fungal Amylases Produced by the Isolate from the Native Youngkwang Koji-)

  • 정원휘;강성훈;정지흔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0권3호
    • /
    • pp.250-257
    • /
    • 1987
  • 영광 토종국에서 분리된 곰팡이중, amylase 생산성이 우수한 Asp. awamori의 ${\alpha}-amylase$, glucoamylase의 생산 및 활성에 대해 밀기울을 기본배지로 하여 배양조건을 검토한 결과, 본 균주에 대한 두 효소의 생산성은 $30^{\circ}C$에서 72시간 배양했을 때 최대에 달하였고 기본배지에 maltose, urea, $MgSO_4{\cdot}7H_2O$, $K_2HPO_4$, $CaCl_2{\cdot}2H_2O$를 첨가했을 때 현저히 증대되었다. 최대효소활성은 pH 5.0 및 $50^{\circ}C$에서 나타났고, $pH\;5.0{\sim}6.0$에서 안정하였으며 $CaCl_2{\cdot}2H_2O$를 첨가하면 pH 안정성이 증가하였다. 열안정성은 $50^{\circ}C$애서 ${\alpha}-amylase$는 20분, glucoamylase는 40분간 열처리 후에도 유지되었고, ${\alpha}-amylase$$MgSO_4{\cdot}7H_2O$, $K_2HPO_4$를 glucoamylase는 $CaCl_2{\cdot}2H_2O$를 첨가했을 때 열에 대한 안정성이 증대되었다.

  • PDF

산마늘 발효추출물의 항산화활성과 세포독성 (Antioxidative Activity and Cytotoxicity of Fermented Allium victorialis L. Extract)

  • 도은수;장준복;길기정;최명석;양재경;윤충원;정선미;정윤혜;이건희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30-39
    • /
    • 2011
  • 산마늘 잎 에탄올추출물을 Steptococcus thermophilus 를 이용하여 발효시킨 후 항산화활성 및 세포독성을 검정한 결과, 총 폴리페놀 함량은 발효 전에는 2.63 mg/g, 발효 후에는 1.65 mg/g이었으며 발효 후 함량이 감소하였고,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발효 전에는 57.77 mg/g, 발효 후에는 62.27 mg/g으로 발효 후에 증가하였다. 전자공여능은 발효 전에는 82.29%, 발효 후에는 81.40%로 vitamin C (97.71%) 보다 낮았으나 우수한 활성을 나타냈으며, 아질산염소거능은 발효전 후 추출물 모두 pH 2.5에서는 BHT 보다는 낮지만 활성이 우수하였고, pH 4.2에서는 발효하지 않았을 때 BHT보다 더 좋은 활성을 나타냈으며. SOD 유사활성능은 15% 정도로 낮은 효과를 나타냈다. NO 생성능은 발효 전에 오히려 더 많은 NO를 생성하였고 발효 후에는 생성이 억제되었다. 산마늘 추출물이 LPO 생성에 미치는 영향은 H2O2 처리군에 비하여 발효 여부와 관련 없이 산마늘 추출물처리에 따라 농도가 증가할수록 MDA 함량이 감소하여 LPO 생성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섬유아세포의 생존율은 산마늘 추출물 처리 농도의 증가에 따라 약간 감소하는 경향이나 대조구와 차이가 거의 없었다.

철, 구리, 은 첨착활성탄을 이용한 브롬산염의 제거 (Removal of Bromate by Iron, Copper and Silver Impregnated Activated Carbon)

  • 최성우;박승조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78-182
    • /
    • 2006
  • 오존으로 상수처리시 생성되는 소독부산물로써 독성이 강한 브롬산염을 철, 구리, 은 첨착활성탄을 이용하여 제거할 목적으로 회분식과 연속식으로 실험하였다. 활성탄 주입량별 브롬산염 제거 실험에서 각각의 활성탄을 0.1, 0.3, 0.5, 1.0 g씩 주입하여 240분 반응시킨 결과 브롬산염의 제거량은 주입량에 비례하였다. 그리고 산 처리한 활성탄을 사용할 때에는 브롬산염 제거 효율이 약 20%정도 증대되었다. 철, 구리, 은 첨착활성탄은 일반 활성탄보다 약 $30{\sim}50%$ 정도 제거 효율이 좋았으며 특히 철 첨착활성탄은 브롬산염을 약 92%제거하였다. 일반 활성탄을 이용하여 브롬산염을 제거하였을 경우 약 $0.02{\sim}0.45mg\;{BrO_3}^-/g$ AC이였지만 철, 구리, 은 첨착활성탄은 약 $0.9{\sim}1.5mg\;{BrO_3}^-/g$이었다. 연속식 칼럼 반응에서 브롬산염 유입량을 $15.6{\sim}46.8mL/min$으로 변화시켜 EBCT를 1, 2, 3 분으로 실험한 결과 96, 180, 252 시간에서 파과 현상을 보였다.

소목 추출물의 항균활성과 Brazilin의 구조분석 (Antibacterial Activities of Caesalpinia sappan L. Extract and Structural Analysis of Its Related Brazilin)

  • 권현정;김용현;남궁우;김선기;방인석;한만덕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105-111
    • /
    • 2010
  • 소목은 전통적으로 타박상, 염증 등의 질병치료를 위해 민간의학에서 오래 동안 사용되어 온 한약재야다. 소목의 섬재로부터 항균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MeOH 추출에 의한 hexane, $CHCl_3$, EtOAc, n-BuOH, MeOH 및 $H_2O$ 분획을 얻었다. 분획 시료 중 3.94%의 가장 높은 수율의 EtOAc 분획이 조사된 인채 병원성 세균에 대해 가장 강한 항균활성 나타냈다. 또한 EtOAc 분획의 항균활성은 Gram (-) 균주 보다 Gram (+) 균주에 더 효과적이며, Gram (-) 균주에 대해서는 세균에 따른 항균활성의 차이를 보였다. EtOAc 분획은 silica gel adsorption column chromatography 및 Sephadex LH-20을 이용하여 분리하였으며 수득한 주요 성분은 채결정을 통하여 얻어진 단일물질을 HPLC를 이용하여 순도를 측정하였다. 300g의 C. sappan으로부터 3.94%의 EtOAc 분획을 얻었으며 EtOAc분획물은 분석한 결과 10 mg에는 1.67 mg의 brazilin을 포함하였다. 분리된 활성울질은 짧은 황색 결정의 단일 화합물로 MS에 의해 분자량이 285로 나타났으며, $^1H$-NMR, $^{13}C$-NMR에 의한 구조분석으로 brazilin($C_{16}H_{14}O_5$을 동정하였다. 이 같은 결과는 소목의 MeOH 추출에 의한 EtOAc 분획에 존재하는 brazilin이 S. aureus와 같은 인체 병원성 Gram (+) 균주에 대한 생약치료제로 활용이 가능할 것을 시사한다.

경소백운석(輕燒白雲石) 부산물(副産物)을 활용(活用)한 바닥 몰탈용 팽창재(膨脹材)의 특성검토(特性檢討) (A Study on Characterization of Expansion Agent in Mortar with Light Burned Dolomite By-Product)

  • 이건호;민승의;이형우;조진상;조계홍;한춘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21권6호
    • /
    • pp.12-22
    • /
    • 2012
  • 본 연구는 제강용도로 사용하기 위해 돌로마이트를 하소후 남은 2 mm 이하의 경소백운석 부산물을 건축용 바닥 몰탈의 기존 팽창재로서 활용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경소백운석은 $600{\sim}800^{\circ}C$ 정도에서 하소하였을 때 반응성이 높은 준결정상태의 활성 마그네시아로 존재하게 되며, 이 활성화된 마그네시아는 수화초기 Brucite gel을 형성하여 수화물 비율을 상대적으로 줄여 치밀한 조직을 형성하는 원인으로 작용하고, 수화후기에는 결정질의 Brucite가 형성되어 수축 현상을 억제하며 부피가 2배 이상 팽창하여 화학적 수축균열 방지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실험결과 경소백운석은 기존 사용 중인 팽창재 대비 동일량 적용시 압축강도는 우수하게 확인되었으나, 반응성은 기존 팽창재(생석회+무수석고)에 비해 다소 낮게 측정되었다. 하지만 팽창재로서의 역할은 충분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공사기간 단축 등 부가적인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매패류 3종 소화맹낭의 소화효소 구성 및 활성도 (Digestive Enzymatic Compositions and Activities of the Digestive Diverticula in Three Species of Bivalves)

  • 주선미;권오남;이정식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371-376
    • /
    • 2011
  • 본 연구는 3종의 이매패류를 대상으로 소화맹낭의 소화효소 구성 및 활성도에 대해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이매패류는 지중해담치, 개조개 및 꼬막이며, 이들은 한국 남해안에서 2010년 11월에 채집하였다. 지중해담치, 개조개, 꼬막의 소화맹낭을 구성하는 소화효소는 amylase와 cellulase가 약 95%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소화맹낭에서 amylase와 cellulase 활성도는 지중해담치는 2.6과 0.8 U/mg, 개조개는 2.4와 8.8 U/mg, 꼬막은 7.3과 11.8 U/mg였다. 그리고 소화맹낭의 소화효소 가운데 protease의 활성도는 지중해담치, 개조개, 꼬막에서 각각 0.00019, 0.00028, 0.00022 U/mg로 가장 낮았다.

엉겅퀴의 항산화 활성 및 손상된 흰쥐 간세포(BNL CL.2)에 대한 간 보호 효과 (Antioxidant Activity and Protective Effects of Cirsium japonicum against Damaged Mouse Liver Cell (BNL CL.2))

  • 김선정;강승미;고건희;남상해
    • 생명과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442-449
    • /
    • 2017
  • 엉겅퀴(C. japonicum) 부위별 추출물을 기능성 식품소재로 활용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해서 총 페놀 및 silymarin 화합물의 함량분석, 항산화 및 간 보호효과를 서양엉겅퀴와 비교하였다. 엉겅퀴의 총 페놀함량은 지상부($97.22{\pm}5.51mg/g$)가 지하부($85.32{\pm}3.06mg/g$)보다 많았으며, 서양엉겅퀴의 전초보다 다소 낮은 함량을 보였다. 엉겅퀴의 silymarin 화합물의 총 함량은 서양엉겅퀴의 55.56%이었으며, 지하부($0.47{\pm}0.03mg/g$)는 지상부($0.18{\pm}0.02mg/g$)보다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또한 지상부에서는 silychristin, silydianin이, 지하부에서는 silychristin, silydianin, silybin B, isosilybin B 등이 검출되었다. 엉겅퀴의 항산화활성은 대체로 서양엉겅퀴보다는 약간 낮았고, 지하부가 지상부보다 높은 활성을 보였다. 엉겅퀴 추출물을 1 mg/ml 농도로 처리하였을 때, DPPH 활성은 지상부와 지하부에서 각각 $83.76{\pm}0.60%$, $88.28{\pm}0.17%$의 활성을 나타났으며, FRAP 활성은 지상부와 지하부에서 각각 $77.63{\pm}0.70$, $82.83{\pm}0.39%$로 나타났다. ABTS 활성도 엉겅퀴 추출물을 0.1 mg/ml 농도로 처리하였을 때, 지하부와 지상부에서 각각 $68.60{\pm}1.24%$$63.41{\pm}0.57%$로 나타났다. 엉겅퀴 추출물의 간 보호효과는 지하부에서 지상부보다 다소 높은 활성이 나타났으나 서양엉겅퀴 지상부의 활성보다는 낮았다. t-BHP, $H_2O_2$ 및 Ethanol의 처리에 따른 손상된 간세포에 엉겅퀴 추출물을 0.2 mg/ml씩 처리하였을 때, 세포생존율은 각각 $49.58{\pm}0.34$, $76.87{\pm}1.10$$71.73{\pm}0.58%$로서 추출물을 처리하지 않았을 때보다 각각 24.78, 61.32 및 38.04%씩 높아졌다. 이와 같은 결과로 볼 때, 본 연구에서는 국내산 엉겅퀴의 간 보호효과를 활용한 기능성 식품의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환삼덩굴(Humulus japonicus) 추출물의 항돌연변이 효과와 Flavonoid 성분의 분리 (Antimutagenic Effects and Isolation of Flavonoids from Humulus japonicus Extract)

  • 박승우;김성환;정신교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897-901
    • /
    • 1995
  • 환삼덩굴의 생리활성물질을 구명하기 위하여 환삼덩굴을 물과 메탄올로 추출하여 돌연변이원성과 항돌연변이 효과를 조사하고 TLC와 HPLC로 flavonoid 성분을 분리하였다. 환삼덩굴의 물 추출물과 메탄올 추출물은 Salmonella typhimurium TA98과 TA100을 이용한 Ames test에서 돌연변이원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환삼덩굴의 메탄올 추출물은 NPD와 NQO로 돌연변이를 유도한 Salmonella typhimurium TA98과 TA100에 대하여 항돌연변이 효과를 나타내었다. 분획별 항돌연변이 효과는 헥산분획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50% 돌연변이 억제농도($IC_{50}$)는 TA98에 대하여는 2.O mg/plate, TA100에 대하여는 0.5 mg/plate 였으며, 4.O mg/plate의 농도에서 TA98에 대하여는 약 58%, TA100에 대하여는 약 88% 정도의 돌연변이 억제활성을 나타내었다. 환삼덩굴의 에칠아세테이트 분획에서 quercitrin과 luteolin을 확인하였다.

  • PDF